||<-6><#0000FF><:> '''{{{#fff {{{+2 정글 스토리 }}} [br] Jungle World}}}''' || ||<-2>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133_Jungle%20Story_thumbnail.jpg]] ||<-2>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96_Neo%20Jungle%20Story_thumbnail.jpg]] ||<-2>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113_WCG_Neo%20Jungle%20Story_thumbnail.jpg]] || ||<-2> '''정글 스토리''' ||<-2> '''네오 정글 스토리''' ||<-2> '''WCG 네오 정글 스토리''' || ||<-6><#FF2400> '''{{{#white 사용된 공식 리그}}}''' || ||<-6><:> [[2000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br][[2001 한빛소프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br][[2001 코카콜라배 온게임넷 스타리그]][br][[WCG]] 2002[br][[KTF EVER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2003 KTF EVER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 || ||<-6><#FF2400><:> '''{{{#white 맵 정보}}}''' || ||<:><-3> '''타 입''' ||<-3> 평지형 || ||<:><-3> '''사이즈''' ||<-3> 128 × 128 || ||<:><-3> '''인원수''' ||<-3> 4인용 || ||<:><-3> '''타일셋''' ||<-3> Jungle (정글) || ||<:><-3> '''맵 제작자''' ||<-3> [[엄재경]] || ||<-6><#FF2400> '''{{{#white 종족간 전적}}}''' || ||<-2> '''정글 스토리''' ||<-2> '''네오 정글 스토리''' ||<-2> '''WCG 네오 정글 스토리''' || || TvZ || 3 : 2 || TvZ || 22 : 18 || TvZ || 18 : 12 || || ZvP || 1 : 2 || ZvP || 16 : 9 || ZvP || 11 : 8 || || TvP || 1 : 0 || TvP || 7 : 13 || TvP || 4 : 6 || || 동족전 || 0 TvT[br]10 ZvZ[br]1 PvP || 동족전 || 8 TvT[br]25 ZvZ[br]3 PvP || 동족전 || 5 TvT[br]19 ZvZ[br]2 PvP || [목차] == 개요 == [[엄재경]] 해설이 제작한 [[스타크래프트]] 공식맵. 실질적인 초대 [[스타리그]]였던 [[2000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프리챌배 스타리그]]부터 사용되어 [[2001 한빛소프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한빛소프트배 스타리그]], [[2001 코카콜라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코카콜라배 스타리그]]까지 사용되었으며 [[WCG]] 공식맵으로도 사용됐다. [[팀플레이(스타크래프트)|팀플레이]] 맵으로도 사용되었으며 덕분에 당시 최약체에 가까웠던 [[AMD 드림팀]][* 後 헥사트론 드림팀 → 이네이쳐 탑 → [[eSTRO]].]의 마지막 희망이기도 했다.[* 주로 [[장진남]] + [[조정현(프로게이머)|조정현]]이 팀플로 출전했다.] == 특징 == [[블레이즈#s-9]]와 같은 [[케이스]]로, [[앞마당#s-2]]까지의 동선이 멀고, 본진도 평지라 [[저그]] 입장에선 수비도 힘들다. 그나마 많이 사용되다 보니 앞마당을 먹지 않고, 본진 이외의 확장은 전부 언덕 멀티로 가져가는 전략이 나오면서 어느 정도 해법이 나왔다. 맵이 전체적으로 가난한 편이지만 센터에 16[[광물(스타크래프트 시리즈)|미네랄]]+2[[베스핀 가스|가스]]라는 경악스러운 [[멀티#s-4.1]]가 있었고, 이곳을 먹고 사수만 잘하면 물량이 터져나오기에 센터 멀티를 먹는 게 필승 조건 중 하나였다. 실제로 팀플에서 거의 망해가던 [[박정석]]이 이곳을 기적적으로 지킨 뒤 [[충격과 공포]]의 전구러시를 선보이면서 승리를 한 적도 있다. 이 경기에서 [[전구러시]]라는 말이 처음 나왔다. [[2017년]], [[아프리카TV]]에서 30살 이상의 전 [[프로게이머]]들이 하는 프로리그인 [[아재리그]]에서 자주 선택이 되는 맵이기도 하다. 테란전 최상위권인 프토 [[윤용태]]가 [[올드 게이머]]인 [[이윤열]]에게 지기도 하고, 전태규보다 래더 점수가 300~400점 낮은 [[차재욱]]이 [[전태규]]를 이기는 전적도 있다. 이 맵에서 가장 승률이 좋았던 선수는 저그인 [[홍진호]]로, 모든 버전을 포함하여 23승 4패를 기록했다. 특히 테저전 전적이 104 : 84인데, 이 중에서 홍진호가 10승 2패로 테란을 패고 다녀서 이 만큼 따라온 것. 공식적 전적만 보면 종족 상성을 따르지만 전체적으로는 테란에게 다소 유리한 맵으로 평가된다. 6시 섬멀티에서 커맨드 센터 옆에 스캔이 안 달리고 5시 스타팅 미네랄이 잘 분배되어 있지 않아 한 덩이는 뒤로 돌아서 캐야하기도 하고 다른 섬멀티에 비해 8시 섬멀티는 매우 넓은 등 문제점도 좀 보인다. 일부 문제점은 시즌이 진행되면서 개선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정글 스토리, version=16)] [각주] [[분류:스타크래프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