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일반 == {{{+1 Jump / [[跳]][[躍]] / 뜀뛰기}}} "제자리에서 뛰다"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 특이하게도 [[고대 영어]]/[[중세 영어]] 선대형을 찾을 수 없다고 한다. 한국에서도 '점프'라는 표기로서 외래어로 자주 쓰인다. [[점퍼]]는 점프에 er이 붙은 파생어, [[점핑]](jumping)은 ing가 붙은 형식이다. [[도움닫기]] 없이 뛰는 점프를 '[[서전트 점프]]'라고 한다. [[점프 스케어]]는 말 그대로 뛰어나와서(Jump) 무섭게 하는 것이다. === 점프 사진 === [[파일:/20150520_4/jypesixteen_1432125378377gelGl_JPEG/mug_obj_143212539139142895.jpg]] TWICE의 나연이 SIXTEEN 2번째 미션에서 찍은 개인 사진. 말 그대로 점프를 한 순간을 찍은 사진. 일반 대중들에게는 점프의 순간 다양한 포즈를 취해서[* 가부좌를 틀어 공중 부양을 연출한다던지.] 역동적인 사진, 개그 사진을 만든다거나 하는 용도로 쓰인다. 한편 프로 사진 작가들 사이에선 모델이 아무리 해도 답이 안 보일때 시키는 포즈가 점프다. 실제로 위의 나연 사진은 하도 다양한 포즈를 요구해도 그림이 안나와서 결국 사진 작가가 점프를 시킨 것이다. == 잡지 == === 점프, [[슈에이샤]]의 [[소년만화]]/[[청년만화]] 잡지 브랜드 === 다른 출판사와는 달리 슈에이샤는 소년/청년만화 잡지가 전부 점프 이름을 달고 나온다. 현재 발간되는 소년만화잡지는 [[소년 점프|주간 소년 점프]], [[점프 스퀘어]]가 있으며, 아동용만화잡지는 [[최강 점프]], 청년만화잡지는 [[영 점프|주간 영 점프]], [[비즈니스 점프]], [[슈퍼 점프]], [[울트라 점프]], [[점프改]] 가 있다. 보통 '점프'라고 하면 역시 [[소년 점프]]를 가리킨다. === [[아이큐 점프]], [[서울문화사]]의 만화 잡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이큐 점프)] 한국의 '''전''' 주간(現 격주간) 만화잡지 [[아이큐 점프]]의 약칭 == 드라마 == === [[점프(EBS)|점프]], EBS 드라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점프(EBS))] === [[점프(시트콤)|점프]], MBC 시트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점프(시트콤))] == 음악 == === [[밴 헤일런]]의 곡 [[Jump(밴 헤일런)]] === [youtube(SwYN7mTi6HM)] 미국의 하드록 그룹 [[밴 헤일런]](Van Halen)의 대표곡 중 하나로, 데이빗 리 로스시대 마지막이었던 6집 <1984>의 리드 싱글로 나와 1984년 빌보드 hot 100 5주 연속 1위를 기록한 명실상부한 밴 헤일런의 최대 히트작이다. 인트로의 신디사이저 사운드가 특히 잘 알려져있다. === Arcaea의 노래 [[Jump(Arcaea)]] === === 방탄소년단의 노래 [[Jump(방탄소년단)]] === === 펌프 잇 업의 노래 [[Jump(펌프 잇 업)]] === === 나카무라 슈고의 노래 [[JUMP(나카무라 슈고)]] === == 기타 고유명사 == ===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시리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갤럭시 점프 시리즈)] === [[점프JUMP]], 공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점프JUMP)] === 점프, 분유 브랜드 === 위에서 언급한 잡지 외에도 다른 분야의 브랜드도 있는데, [[남양유업]]이 만들었던 분유 브랜드이기도 했다. == 용어 == === 점프, 경제/사회 용어 === 개발도상에 있는 어떤 분야에서 후발국이나 후발주자들이 선두주자를 따라잡기 위해 개발도상의 중간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최신 기술분야로 진출하여 단번에 변화를 꾀하는 것. 가장 대표적인 시장이 [[핀테크]]이다. 대한민국은 전통적인 현금 결제시장에서 은행 거래 → 신용카드라는 중간단계를 거쳐 핀테크로 갔지만, 중국이나 아프리카 같은 거대한 영토를 가진 IT 후발주자국은 현금 결제시장에서 바로 모바일 핀테크로 기술 점프를 시도해 한국보다도 빠르게 [[현금 없는 사회]]에 진입했다. === [[점프(게임 용어)|점프]], 게임 동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점프(게임 용어))] ==== [[점프(대전액션게임)|점프]], [[대전액션게임]] 테크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점프(대전액션게임))] === 점프, [[무단이탈]]을 뜻하는 군대 [[은어(언어학)|은어]] === [[위수지역]]을 폴짝 뛰어넘는다고 그런 이름이 붙었다. 자세한 내용은 정식 용어인 [[무단이탈]] 항목으로. === 점프, 차량 정비 용어 === [[파일:자동차 배터리 점프 방법.png]] [[자동차]]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응급조치로 타 차량의 배터리와 전선으로 연결시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을 [[https://en.wikipedia.org/wiki/Jump_start_(vehicle)|jump start]]라고 하며, 한국에서는 '점프뛴다'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일반적으로는 이런 상황이 벌어질 경우 보험사 긴급출동 서비스를 부르거나 정비소에 의뢰하면 되기 때문에 잘 쓰이지 않지만, 비상시나 군대에서 이런 방법이 쓰인다. 보통 점프선 연결 순서는 ||'''" 멀쩡한차+ → 방전난차+ → 멀쩡한차- → 방전난차- " 순으로 연결한다'''.|| ++-- 라고 외워두면 수월하며, 접지선 역할인 음극 단자를 '''무조건 마지막에 연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점프선 제거시에는 역순으로 하면 된다. 만일 음극부터 연결하거나 양극부터 탈거한다면 그 즉시 쇼트가 발생하며, 운좋으면 쇼트로만 끝나지만 배터리 터미널 단자가 녹거나, '''최악의 경우 배터리가 폭발한다'''. 배터리 안에 충전되어 있는 전해액이 황산이기 때문에 폭발시 피부, 특히 눈에 튀면 실명 할 수도 있다.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도 잘 확인해서 연결해야 한다. 보통 양극에는 빨간색 선이나 빨간색으로 칠해져 있고, 음극에는 검은색 선이나 검은색으로 칠해져 있으며, 또는 +/- 표기가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만약에 자신이 잘 모르겠다면 주변인에게 물어봐서 확인하거나 보험사나 정비사를 불러 확인해야 한다. 만약 양극과 음극을 반대로 연결한다면 쇼트가 발생하여 배터리에 손상이 생기거나 잘못하면 스파크가 생기고 폭발할 수도 있다. 특히 배터리를 2개 사용하는 큰 차량들은 메인 단자를 잘 구분해서 연결 하도록 하자, 배터리 용량을 잘 확인하고 해야하는데 방전이 난 자동차보다 용량이 작은 배터리로 점프를 시도하면 그 차도 사이좋게 같이 방전이 날 수도 있다. 휴대용 IT기기 보급 등으로 휴대용 [[보조 배터리]] 기술이 발전하고 흔히 쓰이게 된 요즘은 소형 점프스타터가 시중에 많이 나와 있다. 다른 차 배터리 대신 휴대용 대용량 보조배터리로 (방전된) 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개념. 대개 USB단자가 있어 일반 보조배터리처럼 휴대폰이나 캠핑용품을 충전할 수도 있고 손전등 기능이 추가되기도 하니, 차에 하나쯤 구비해 두면 유용하게 쓰일 수도 있다. === 점프, [[자전거 애호가]]의 은어 === --[[BMX|자전거로 뛰어오르는 것이 아니다!]]-- [* 실제로 자전거로 뛰어오르는 동작은 [[버니합|버니홉(Bunny hop)]]이라고 한다.] 장시간 자전거를 타다가 장시간 기상상황이 나빠지는 경우, 너무 지친 경우, 자전거가 고장나는 경우 등 도저히 라이딩이 불가능할 때 [[자동차]], [[시외버스]], [[고속버스]], [[철도]], [[지하철]], [[택시]] 등에 자전거를 싣고 복귀하는 것을 말한다. [[가족]], [[친척]]이나 [[친구]]의 [[자가용]]을 호출하여 복귀할 수도 있다. 또는 시작 지점 대신 중간부터 시작하기 위해서 건너뛰거나 난이도가 높은 구간을 건너뛰는 것도 점프를 하는 경우도 점프에 해당된다. [[스트라이다]]나 [[브롬톤]] 등의 접이식 [[미니벨로]]라면 어떤 대중교통이라도 적재가 가능하지만 일반 자전거로는 불가능하거나 힘든 편이다. 거기다가 [[시내버스]]의 경우는 말할 것도 없이 불가능한데 그에 반해 [[농어촌버스]]는 가능한 경우도 있다. 경우에 따라 자전거를 타고 [[국경]]을 통과하기 불가능한 경우도 있는데[* 대부분은 자전거에서 내린 뒤 걸어들어가서 출국심사와 입국심사를 받아야한다. 자동차처럼 타고 가서 입국심사를 받을 수 없다.], 자전거를 타고 국경을 통과하기 불가능한 경우에는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양 국경 사이에서 점프를 뛰어야 한다. 약간 유사한 형태로 [[택배]]가 있다. 해당 문서로. === 점프, [[노래방]] 기능 === 노래방에도 '''점프''' 기능이 있다. 절 점프, 마디 점프, 간주 점프 등이 해당되며, 금영과 SM브라보는 1절모드 처리 방식도 이거다. === [[점프(피겨 스케이팅)|점프]], [[피겨 스케이팅]]의 기술요소 === 피겨 스케이팅에서 점프는 [[싱글 스케이팅|싱글]], [[페어 스케이팅|페어]]에서 수행해야 하는 기술 요소이다. == 작품 내 개념 == === 점프, [[파이널 판타지]]의 특기 === [[파이널 판타지]]에 등장하는 특기. 전통적으로 [[용기사]]들이 사용한다. 사용하면 냅다 고공 점프를 해 화면에서 이탈한다. 그리곤 다음 턴에 급강하해서 지정한 적에게 창을 내리꽂는다. 대미지는 대체로 통상의 2배로, 요컨대 1턴 버리고 다음턴에 2배 대미지를 주는 매커니즘.[* 실시간 턴제를 채용한 작품에선 1.5턴 정도만에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특기할 점은 화면 이탈 중에는 적의 공격을 받지 않는다. 문제는 적에게 조준당하지도 않지만, 아군의 버프 같은 것도 일절 들어가지 않는다는 점. 공격 모션의 박력에 비해 일반적으로 실제 성능은 그다지 효율적이지 못하다. 그냥 매 턴 공격하나 1턴 버리고 다음턴에 2배로 때리나 거기서 거기인데다, 버리는 1턴에 버프 스킬을 못받기에 오히려 유저의 컨트롤만 꼬이는 결과를 낳는다. 이건 시리즈를 불문하고 항상 단일 대상만 공격하기 때문에 자잘하게 적이 많이 나온 상황이라면 괜히 턴만 질질 끄는 꼴이 된다. 시리즈에 따라 기본은 1.5배 창을 장비해야 2배라거나 추가장비로 더블점프를 하기도 한다. 자코몹 상대로 다같이 마구 점프를 하면 피격이 많이 적어져 체력온존에는 좋지만 점프할 세팅을 다른 걸로 맞추년 더 빠른 진행이 가능하다. 굳이 분류하자면 대 강적 전용 기술. 적의 패턴을 숙지하고 있다면 점프로 적의 공격을 피하고, 다음 턴에 확실한 대미지를 주는 전략적 활용이 가능하다. 저레벨 야리코미로 보스를 잡을 땐 패턴을 파악하고 [[하메]]에 빠뜨려 많은 곳에서 승리의 열쇠가 된다. 또한 사용시 다음 공격을 2배로 줄 수 있는 효과의 버프 기술과의 조합이 뛰어나[* 파이널 판타지 IV의 데칸트 어빌리티 중 '암흑'이 좋은 예.], 버프 후 점프로 3턴을 들여 4배의 대미지를 줄 수 있다거나 식의 활용도 가능. 최신작 [[파이널 판타지 XV]]에서는 [[이그니스 스키엔티아|이그니스]]가 '''하이 점프'''라는 이름으로 사용한다. 사용 시 이그니스가 창을 들고 높이 점프하며 잠시 후 점프한 위치에 내려찍어 주위에 피해와 경직을 유발한다. [[사이퍼즈]]의 [[검룡 로라스]]의 궁극기는 이 점프의 오마쥬이다. 용을 잡기 위한 기술이지만 FF7AC에서 시드가 바하무트에게 썼을 땐 씨알도 먹히지 않았다. === 매직 더 개더링의 카드 === ||<:>'''영어판 명칭'''||<:>'''Jump'''||<|5>[[파일:Jump card.png]]|| ||<:>'''한글판 명칭'''||<:>'''-'''|| ||<:>'''마나비용'''||<:>{{{#000 {U} }}}|| ||<:>'''[[매직 더 개더링/유형|유형]]'''||<:>순간마법|| ||<-2>생물 하나를 목표로 정한다. 그 생물은 턴종료까지 비행을 얻는다.|| ||<:><-2>'''[[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희귀도'''|| ||<:><-2>[[Limited Edition Alpha]]||<:>커먼|| ||<:><-2>[[Limited Edition Beta]]||<:>커먼|| ||<:><-2>[[Unlimited Edition]]||<:>커먼|| ||<:><-2>Revised Edition||<:>커먼|| ||<:><-2>Fourth Edition||<:>커먼|| ||<:><-2>Magic 2010||<:>커먼|| ||<:><-2>The List||<:>커먼|| [[분류:영어 단어]][[분류:동음이의어]][[분류:스포츠]][[분류:제목이 같은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