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21년 개교]][[분류:공립학교]][[분류:의성군의 초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경상북도 의성군의 초등학교)] ||<-2> '''{{{#fff {{{+1 점곡초등학교}}}[br]點谷初等學校[br]Jeomgok Elementary School}}}'''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점곡초등학교, 너비=100%)]}}}|| || '''개교''' ||1921년 04월 16일 점곡공립보통학교|| || '''유형''' ||단설 초등학교|| || '''성별''' ||남녀공학|| || '''형태''' ||공립|| || '''교장''' ||박정현|| || '''교훈''' ||학생 개개인을 존중하고 꿈을 가꾸는 학교|| || '''교화''' ||장미|| || '''교목''' ||소나무|| || '''학생 수''' ||14명[*기준 2023년]|| || '''교직원 수''' ||7명[*기준 2023년]|| || '''관할 교육청''' ||경상북도의성교육지원청|| || '''주소'''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점곡길 8|| || '''홈페이지''' ||[[http://school.gyo6.net/jeomgok|[[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에 위치한 [[초등교육기관]]이다. == 학교 연혁 == || 1920년 ||03월 31일 점곡공립보통학교 설립인가|| || 1921년 ||04월 16일 점곡공립보통학교 개교 (4년제)|| || 1924년 ||03월 22일 제1회 졸업 (64명)|| || 1925년 ||03월 31일 6년제 승격|| || 1938년 ||04월 01일 점곡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 || 1940년 ||04월 01일 점곡공립국민학교로 개칭|| || 1981년 ||03월 02일 병설유치원 개원|| || 1995년 ||09월 01일 동원국민학교 폐교로 통합|| || 1996년 ||03월 01일 점곡초등학교로 개칭|| || 1999년 ||03월 01일 구암분교장 폐교로 통합|| || 2022년 ||09월 01일 제35대 박정현 교장 부임|| || 2023년 ||01월 03일 제99회 3명 졸업 (총 졸업생수 4,957명)|| == 교훈 및 상징 == * 출처: [[http://school.gyo6.net/jeomgok|점곡초등학교 홈페이지]] === 교화 === [[장미]]를 교화로 삼고 있다.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며 낙엽 활엽 덩굴나무로서 겹꽃을 피운다.[* [[https://species.nibr.go.kr/home/mainHome.do?cont_link=009&subMenu=009002&contCd=009002&ktsn=120000061891|덩굴장미]] 국립생물자원관] 점곡초교 재학생들의 아름다움을 상징한다. === 교목 === [[소나무]]를 교목으로 삼고 있다. 소나무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이다. 햇볕이 잘 들고 건조한 산지의 능선과 사면에서 자라는 침엽 큰키나무이다.[* [[https://species.nibr.go.kr/home/mainHome.do?cont_link=009&subMenu=009002&contCd=009002&ktsn=120000059963|소나무]] 국립생물자원관] 점곡초교 재학생들의 높고 푸른 기상을 상징한다. === 교훈 === >'''학생 개개인을 존중하고 꿈을 가꾸는 학교''' >---- >점곡초등학교 교훈[* [[http://uiseong.grandculture.net/uiseong/search/GC05201502?keyword=%EC%A0%90%EA%B3%A1%20%EC%B4%88%EB%93%B1%ED%95%99%EA%B5%90&page=1|점곡초등학교]] 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교육목표 === || '''의(義)와 예(禮)를 실천하는 행복한 점곡인 육성''' || ||<|6>
<#cc5c5c> {{{+1 점곡 인재}}} ||<#f9a19a>  자신을 사랑하는 어린이|| ||<#eeb59a>  꿈을 가꾸는 어린이|| ||<#eedf9a>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d3ee9a>  새롭게 생각하는 어린이|| ||<#9ad3ee>  공감하고 소통하는 어린이|| ||<#9aeedf>  미래를 준비하는 어린이|| ||
<#cd00cd> {{{+1 교육 중점}}} || ||    1. 앎을 삶으로 이어가는 행복 교실[br]    2. 미래 역량을 갖춘 인재 교육[br]    3. 더불어 누리는 어울림 교육[br]    4. 공감과 소통이 있는 안전한 교육 환경|| ||
<#329999> {{{+1 특색 교육}}} || ||1. 꾸준한 악기 연주를 통해 음악 소양과 예술 감성 기르기[br]2. 다양한 신체 활동을 통해 건강한 몸과 마음 만들기|| === 교가 === >1절 >높이 솟은 매봉산 희망의 날개 >길게 뻗은 가래 쑤 줄기찬 맥박 >어버이 마련하신 배움의 요람에서 >우리들 한데 모여 몸과 맘을 갈고닦아 >계레의 꽃이 되리 점곡의 어린이 >---- >2절 >면면히 이어온 우리의 요람 >화랑의 후예들 이곳에 모여 >선배들 남긴 교훈 갈고 다듬어서 >나라와 겨레 위해 정성을 다하리 >그 이름 아름답다 점곡의 어린이 >---- >점곡초등학교 교가, 작사 김강호·작곡 석종환[[http://school.gyo6.net/jeomgok|#]] == 학교 시설 == || 교수학습공간 ||일반교실 4실[br]특별교실 3실|| || 학습지원공간 ||컴퓨터실 1실|| || 관리행정공간 ||5실|| || 체육집회공간 ||1실|| || 보건위생공간 ||보건실 1실[br]남자화장실 2실[br]여자화장실 2실|| || 학생식당 ||2실|| || 기타공간 ||2실|| == 학교 생활 == === 학교 일과 === ||<-3> 2023학년도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현황,,,(단위:일,명),,, || ||<|6> 수업일수 || 1학년 || 191 || || 2학년 || 191 || || 3학년 || 191 || || 4학년 || 191 || || 5학년 || 191 || || 6학년 || 191 || ||<-2> 주당 수업시수 || 79 || ||<-2> 수업교원수 || 4 || ||<-2> 주당 평균 수업시수(교사 1인당) || 19.8 || ||<-4> 2023학년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단위:개,명),,, || || 구분 || 교과 || 특기적성 || 계 || || 프로그램 수 || 3 || 7 || 10 || || 수강학생 수 || 14 || 104 || 118 || ||<-3> 참여학생 수 || 14 ||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8>사촌[br](서변2리 방향)||162-2||고운사-사촌-의성역|| ||511||의성시외버스터미널-사촌-실업2리|| ||511||의성시외버스터미널-사촌-의성역|| ||513||의성시외버스터미널-사촌-금봉리|| ||514||의성시외버스터미널-사촌-신계·상신|| ||516||의성시외버스터미널-사촌-길안정류장|| ||516-1||의성시외버스터미널-사촌-길안정류장|| ||516-2||의성시외버스터미널-사촌-길안정류장|| ||<^|7>사촌[br](사촌2리 방향)||154||의성시외버스터미널-사촌-고운사|| ||162-2||고운사-사촌-의성역|| ||511||실업2리-사촌-의성역|| ||512||오류리-사촌-의성역|| ||514||신계·상신-사촌-의성역|| ||516||길안정류장-사촌-의성역|| ||516-2||길안정류장-사촌-의성역|| ||사촌 (서변2리 방향)|| 도보 1분 || 80m ||<#f8f8f8>|| ||사촌 (사촌2리 방향)|| 도보 1분 || 100m || 횡단보도 1회 || 노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의성군 농어촌버스/옥산면, 점곡면]], [[의성군 농어촌버스/단촌면#162번, 162-1~2번]] 문서 참조. == 기타 == * 교가에 등장하는 매봉산은 의성군 안평면 하령리와 창길리에 걸쳐 있는 응봉산(鷹峰山)을 가리킨다. 높이는 386.4m의 구릉성 산지로서, 주변에는 소나무 군락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에 복숭아나무, 산벚나무, 조팝나무, 칡 등이 분포해 있다. 동물로는 다람쥐, 고라니, 멧돼지, 멧토끼, 너구리 등이 서식하고 있다. 소나무가 주변을 조망하기 어려울 정도로 우거져 있는 까닭에 과거 [[전설의 고향]] 촬영지로 이용되었다.[* [[http://uiseong.grandculture.net/uiseong/search/GC05200105?keyword=%EB%A7%A4%EB%B4%89%EC%82%B0&page=1|응봉산]] 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교가에 등장하는 '가래 쑤'는 점곡초교 서쪽에 조성된 [[사촌가로숲|의성 사촌리 가로숲]]을 가리킨다. 총 면적은 약 3만 7164㎡이며, 길이는 1,050m로서 고려 말에 안동 김씨 가문의 김자첨이 사촌으로 이주하여 방풀림으로 조성했다고 전해진다. 문화재청 고시를 통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http://uiseong.grandculture.net/uiseong/toc/GC05200423|의성 사촌리 가로숲]]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 1979년 제8회 전국소년체전 공던지기에서 점곡초교 학생이 3위에 입상했다.[* [[http://uiseong.grandculture.net/uiseong/search/GC052P01818?keyword=%EC%A0%90%EA%B3%A1%20%EC%B4%88%EB%93%B1%ED%95%99%EA%B5%90&page=1|점곡 초등학교 제8회 전국소년체전 입상 축하 행진]] 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점곡초교 동쪽에 위치한 사촌(沙村) 마을에는 의성만취당(義城晩翠堂)이라는 조선시대 가옥이 있다. [[이황]]의 제자 만취당(晩翠堂) 김사원(金士元)이 학문을 닦고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세운 곳으로 김사원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장으로 활동했다. 의성만취당은 문화재청 고시를 통해 보물로 지정된 유형 유산이다.[* [[http://uiseong.grandculture.net/uiseong/search/GC05200544?keyword=%EC%A0%90%EA%B3%A1%20%EC%B4%88%EB%93%B1%ED%95%99%EA%B5%90&page=1|의성 만취당]] 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