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영문법]]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절(언어))] [목차] == 개요 == 이 문서에서는 [[영어]]의 [[절(언어)|절]](clause)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절은 주어와 동사를 가지고 있는 단어들의 덩어리로, 문장(sentence)의 일종으로 비춰질 수도 있다. 정확히 말한다면 절들이 모여서 문장이 생기는 것이지만. == 상세 == [[한국어]]의 절과는 조금 다르다. [[절(언어)/한국어]] 문서에서 서술 되어있듯이 한국어의 절은 주어-서술어 관계를 갖추어서 안긴문장으로 쓰이는 단위다. 그러나 영어의 절은 하나의 큰 문장 내에서 외부의 주어와 동사를 제외하고 별도로 [[주어]]와 '''본[[동사(품사)|동사]]'''가 갖추어진 안긴 어구를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 차이는 양 언어에서 용언, 즉 동사류의 활용형을 분류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한국어에서는 동사와 형용사가 파생이 아닌 활용을 한 형태를 모두 그대로 동사 내지는 형용사로 보지만, 영어에서는 동사가 to부정사나 현재분사, 과거분사 등으로 활용하면 '''동사가 아닌 것으로 간주한다'''. 여기서 동사가 아니라는 것은, 품사 분류상 동사가 아니라기보다는 문장 내 기능상으로 동사가 아니라는, 바꿔 말하면 한국어 문법에서 말하는 '''서술어가 아니라는 말'''이다. 즉, 영어의 절에서는 통사적 기능체로서의 동사, 즉 '''본동사(=국문법의 서술어)'''가 필수적이다. 절의 기능에서도 차이가 있다. 한국어에서는 서술절이라고 절이 서술어가 될 수 있지만, 영어는 절이 여기에 대응하는 동사 자리에 올 수 없다. == 구분 == === 주절(독립절) === 문장 내의 메인 파트를 {{{#FF007F 독립절}}}이라고 부른다. 문법적 표현으로는 '스스로 설 수 있는 완전한 문장' 등으로 정의하는 모양이다. 이 때문에 다른 말로 흔히 '주절'이라고도 한다. === 종속절(의존절) === 문장 내에서 독립절에 대한 설명을 보충해주거나 문장 요소를 마저 채워주는 절을 {{{#blue 의존절}}}이라고 부른다. 물론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쉬운 설명일 뿐이지, 비공식적인 설명이므로 시험 등을 볼 때 의존절의 정의를 이따위로 적을 일은 없도록 하자. 문법적 표현을 빌리자면 '스스로 서지 못 하는 불완전한 문장'으로 정의하는 모양이다. 예: {{{#FF007F I got up late this morning}}} {{{#blue because my phone was dead}}}. 의존절은 문장 내의 기능에 따라 다시 세 가지로 구분된다. ==== 명사절 ==== 문장 내에서 명사의 역할을 한다. [[영어/형식]]에서는 주어(S) 또는 목적어(O)의 자리를 맡는다. 예: Charlie told me __what he wanted__. ==== 형용사절 ==== 문장 내에서 형용사의 역할을 한다. 관계대명사절이 대표적인 예시로, 선행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한다. ===== 제한적 용법 ===== restrictive clause. 선행사를 수식할 때 쉼표(,)를 붙이지 않는다. 제한적 용법의 절은 문장에서 꼭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예: Last night, I found a cockroach __which seemed to be roughly 5cm__ in my room. So, I could not get asleep all night long. ===== 비제한적 용법 ===== non-restrictive clause. 선행사에 대해서 알아도 되고 몰라도 될 설명을 더해주며, 쉼표를 붙인다. 예: I have been to Seoul, which is the capital of Republic of Korea. 위의 예문과 같이, 보통 비제한적 용법의 선행사로는 고유명사가 붙는다. 한정적 용법이라 부르기도 한다. ==== 부사절 ==== 문장 내에서 부사의 역할을 한다. 관계부사절이 대표적인 예시로, 문장의 내용을 보충한다. 이외에도 when (~할 때), while (~하는 동안), because (~때문에), (al)though (~에도 불과하고) 같은 접속사들도 있다. 예: I always take off the watch __when I work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