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헌법재판소|[[파일:헌법재판소 휘장.svg|width=30px]]]] {{{#E4B477 '''[[헌법재판소 재판관|{{{#E4B477 헌법재판소 재판관}}}]] ([[대법원장|{{{#E4B477 대법원장 지명}}}]], [[대한민국 대통령|{{{#E4B477 대통령 임명}}}]])'''}}} || || [[한대현]][br]{{{-2 {{{#911B2B [[윤관(법조인)|윤관]] [[대법원장|대법원장 지명]], [[김영삼]]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임명]]}}}}}} || → || '''전효숙'''[br]{{{-2 {{{#911B2B [[최종영]] [[대법원장|대법원장 지명]], [[노무현]]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임명]]}}}}}} || → || [[김종대(법조인)|김종대]][br]{{{-2 {{{#911B2B [[이용훈(1942)|이용훈]] [[대법원장|대법원장 지명]], [[노무현]]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임명]]}}}}}} || [include(틀:양형위원회 위원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全孝淑 [[1951년]] [[2월 28일]] ~ ([age(1951-02-28)]세)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다. == 생애 == 1951년 [[전라남도]] [[광양시]] 진상면 황죽리 구황마을[[http://m.xn--hc0bk2yb5hribo85b.kr/shop_contents/myboard_read.htm?load_type=&page_idx=0&tag_on=&h_search_c=0&h_search_v=&me_popup=&myboard_code=myboard4&page_limit=10&idx=83277&page=1&category_idx=12930|#]]에서 태어났다. [[순천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75년 제17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 [[노무현]], [[진영(정치인)|진영]], [[안대희]], [[안상수(창원)|안상수]]와 사법연수원 동기로, 당시 사법시험 합격자 중 유일한 여성이었다. 이후 [[판사]]로 근무하였다. 2003년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로 재직하며 [[이재명]]의 검사사칭 사건에 유죄를 선고했다. 2003년 8월 [[최종영]] [[대법원장]]의 지명으로 [[헌법재판소 재판관]]을 역임하였다. 2004년 10월 [[노무현]] 대통령의 행정수도 이전에 대해 [[헌법재판소]]에서 관습헌법을 사유로 위헌 결정할 때 소수의견을 표출하였다. 2006년 8월 노무현 대통령으로부터 [[헌법재판소장]]으로 지명되었다. 새로 임기를 시작하기 위해 헌법재판소 재판관직을 사직하였다. 그러나 2006년 9월 [[민주당(2005년)|민주당]]의 [[조순형]] 의원이 헌법재판소장 인사청문회 도중, [[대한민국 헌법]] 제111조 제4항 "헌법재판소의 장은 국회의 동의를 얻어 재판관 중에서 대통령이 임명한다."는 조항을 근거로 재판관직 사임으로 민간인이 된 전효숙 전 재판관의 헌법재판소장 임명 절차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에 논란이 커지자 지명철회를 요청하였다. 남편 이태운(1948~2018)도 판사로서(사시 16회) 서울고등법원장을 역임했다. [[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헌법재판소 재판관]][[분류:양형위원회 위원장]][[분류:1951년 출생]][[분류:광양시 출신 인물]][[분류:순천여자고등학교 출신]][[분류:이화여자대학교 출신]][[분류:참여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