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전편보다 뛰어난 속편]]의 [[목록]]을 정리한 문서. || {{{#ffffff '''토론 합의사항: 예시 등재 기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eaeaea * [[https://namu.wiki/thread/WackyFlutteringDeepWinter|토론 1]] * '''「전편보다 뛰어난 속편」으로 등재하기 위해서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를 만족하여야 하며, 해당 조항의 충족 근거를 서술 내에 동시 서술하여야 한다.''' * similarweb TOP 20 기준의 다음 사이트에서 인기글 3곳 이상 존재.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커뮤니티 기준 디시인사이드, 루리웹, 엠엘비파크, 인벤, 일베저장소, 에펨코리아, 뽐뿌, 더쿠, 클리앙, 이토랜드, 웃긴대학, 오늘의유머, 와이고수, 보배드림, 개드립넷, 인스티즈, SLR클럽, 딴지일보, 가생이닷컴, 82쿡 * 제도권 언론사에서 해당 작품을 주체로 한 기사 1건 이상 }}} ||}}}}}}}}} || == 목록 == === 애니메이션 및 만화 === * [[기동전사 건담]] → [[기동전사 Z건담]] 한국에서는 Z건담의 평이 굉장히 높고 실제로 팬들도 더 많기에 Z건담을 더 높게 보는 경향이 쎄지만 본토에선 퍼스트 건담이 신격화된 작품이라서 Z에게 악평을 주는 경우가 꽤 있다. 제타에선 "퍼스트의 주제의식이 퇴보했다", "로봇디자인이 [[마크로스]] 짝퉁이다" 등. 실제로 건담의 원작자인 [[토미노 요시유키]]는 제타는 만들 생각도 없었고 좋아서 만든 것도 아니라 퍼스트보다 제타에게 더 애정을 주지 않는다.[* 원치 않게 만들었다고는 해도 공을 들였던지라 작화와 연출의 퀄리티가 높은 편인데, Z건담을 기획할 당시에는 [[중전기 엘가임]]의 제작을 [[나가노 마모루]]한테 거의 맡기다시피 했다.] 다만 시대적인 기술력 발전과 [[반다이|거대자본]]의 일관성있는 스폰싱덕분에[* 원래 퍼스트 건담은 반다이가 시작시킨 기획이 아니라 중간에 대체스폰서로 들어왔다. 원래는 클로버라는 완구회사였다. 그래서인지 Z부터는 기체들의 디자인부터 반다이가 관여했다. [[나가노 마모루]]의 일화를 보면 Z건담이 기획될 당시 얼마나 시끄러웠는지 알 수 있다.] 시각효과는 Z가 당연히 퍼스트보단 우세하다. *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 →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1편도 영상미와 캐릭터 묘사, 멀티버스의 주제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2편은 [[스파이더 소사이어티|수많은 멀티버스 스파이더맨]]들과 스케일, 영상미, 캐릭터의 서사 등 발전된 모습[* 멀티버스의 활용도 또한 우수하여 대중들도 복잡하면서도 이해하기 쉬운, 관객 입장에선 전율을 느끼기 쉬운 활용을 보여주며 호평받았다. 이 작품 또한 [[MCU]]의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멀티버스]]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행보]]를 갖고 일관적으로 편견을 가진 채 비판하는 관객은 영화를 제대로 안 본 것에 가깝다.]을 보여서 '''[[스타워즈: 제국의 역습|스파이더맨판 제국의 역습]]'''이라고 불릴 만큼 압도적으로 호평이 많다. * [[5등분의 신부(애니메이션 1기)|5등분의 신부]] → [[5등분의 신부 ∬]], [[극장판 5등분의 신부]] → [[5등분의 신부 ∽]] [[데즈카 프로덕션]]에서 제작한 1기는 안 좋은 퀄리티로 [[5등분의 신부(애니메이션 1기)/평가|괴작 취급을 받았지만]] 제작사가 [[바이브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로 바뀐 2기부터는 나아진 퀄리티로 호평을 받았다. === 특촬물 === * [[가면라이더 시리즈]] * [[가면라이더(초대)|가면라이더]] → [[가면라이더 V3]] * [[슈퍼전대 시리즈]] * [[기계전대 젠카이저]]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젠카이저]]는 전작들보다 완구판매가 부진했지만 [[돈브라더즈]]는 완구 판매가 양호한 편이다. * [[울트라 시리즈]] * [[울트라 Q]] → [[울트라맨(1966)|울트라맨]] → [[울트라 세븐]] === 영화 === * [[스타워즈]]: [[새로운 희망]] → ''' [[제국의 역습]]''' [[I Am Your Father|그 반전]]이 나온 작품. 전작보다 나은 속편 영화 카테고리의 선구자적인 작품이다. * [[탑건(영화)|탑건]] → [[탑건: 매버릭]][* [[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220530/113690123/1|톰 크루즈 '탑건:매버릭' 터졌다…美 개봉 첫 주말 1550억원(동아일보)]]][* [[https://www.asiae.co.kr/article/world-all/2022053110140202644|36년 만의 화려한 귀환…'탑 건' 후속작 첫 주말 대박(아시아경제)]]] '''개봉 첫 주만에 제작비 회수'''에 성공할 정도로 어마어마한 극장 수익을 올렸으며, 5월 말 전 세계 박스오피스를 강타하는 등 흥행 신화를 쓰고 있다. 로튼 토마토 신선도 지수 100%로 출발해 현재 90% 후반 대를 유지하고 있고[* 참고로 [[탑건(영화)|전작]]은 58%다. 하지만 전작의 냉전시절에 관련된 프로파간다적 성격이 있었던 관계로 평론가들 점수는 낮았지만 액션이나 드라마적 재미와 비주얼 등에선 충분히 만족스러운 수준.], 한국에서도 개봉 한달도 채 안돼 500만 관객을 돌파하면서 외신 등지에서 매우 뛰어난 작품성을 인정받았으며, 최종적으로 한국에서 약 817만을 달성하여 국내 상영 외화 12위에 등극하였다. *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 → [[미션 임파서블: 로그 네이션]] →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 [[터미네이터 시리즈]]: [[터미네이터(영화)|터미네이터]] →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 * [[배트맨 비긴즈]] → '''[[다크나이트(영화)| 다크 나이트]]''' [[다크 나이트 트릴로지]] 삼부작중 첫 번째 작품인 배트맨 비긴즈도 준수한 평가를 받았지만, 두 번째 작품이자 그 후속작에 해당하는 다크 나이트는 '''히어로 영화계에 한 획을 그은 불후의 명작'''으로 여겨지며 압도적인 호평을 받았다. 다만 최종장이자 세 번째 작품인 [[다크 나이트 라이즈]]는 이에 비해 아쉬운 평가를 받았다. 어찌 따져 보면 [[3의 저주]] 속성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 [[수퍼 소닉]] → [[수퍼 소닉 2]] * [[스파이더맨(영화)|스파이더맨 1]] → [[스파이더맨 2]] 위의 다크 나이트 트릴로지와 비슷하다. 1편이 준수한 평가를 받고 2편이 가장 압도적인 호평을 받는 명작이라고 여겨지는 반면 [[스파이더맨 3]]는 여러모로 아쉬운 평을 받았다. * [[슈렉]] → [[슈렉 2]] * [[슈퍼히어로 영화|슈퍼히어로]] [[시네마틱 유니버스]] * [[DC 확장 유니버스]] * [[수어사이드 스쿼드(영화)|수어사이드 스쿼드]] → [[더 수어사이드 스쿼드]] * [[저스티스 리그(영화)|저스티스 리그]] → [[잭 스나이더의 저스티스 리그]]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퍼스트 어벤져]] →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 [[토르: 천둥의 신]], [[토르: 다크 월드]] → '''[[토르: 라그나로크]]''' *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어벤져스: 엔드게임]] * [[스파이더맨: 홈커밍]],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 [[명량]] → [[한산: 용의 출현]][* 다만 한산은 천만 관객을 찍은 명량보다는 흥행하지 못했다.] * [[가메라 시리즈|헤이세이 가메라 시리즈]] * [[가메라: 대괴수 공중 결전]] → [[가메라 2: 레기온 습래]] * [[토이 스토리]] → [[토이 스토리 2]] → [[토이 스토리 3]] * [[장화신은 고양이(영화)|장화신은 고양이]] →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 [[존 윅 3: 파라벨룸]] → [[존 윅 4]] === 드라마 === * [[응답하라 1997]] → [[응답하라 1994]] → '''[[응답하라 1988]]''' 응답하라 시리즈는 소포모어 징크스를 비웃듯 시리즈가 거듭될 수록 더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어 나날이 시청률 상승 곡선을 그렸고 응답하라 1988은 케이블 최고 시청률을 경신했다. * [[아스달 연대기]] → [[아라문의 검]] 흥행이나 화제성은 전작보다 뒤떨어지지만 모든 면에서 부진했던 전작과 달리, 스토리와 연출면에서 큰 진전을 이뤘으며 시청자들의 평가도 전작보다 훨씬 좋다. === 음악 === * [[서태지와 아이들 1집]] → [[서태지와 아이들 2집]] 가요계의 판도를 뒤집으며 신드롬을 일으켰던 1집의 판매량을 넘어서며 국내 최초 더블 밀리언셀러를 기록했다. 또한 2집의 타이틀곡인 '''[[하여가(서태지와 아이들)|하여가]]'''는 음악 평론가들에게 서태지 커리어 최고의 곡으로 평가받고 있다. * [[김건모/음반#s-1.1|김건모 1집]] → [[김건모 2|김건모 2집]] → [[Kim Gun Mo 3|김건모 3집]] 1집 후속곡 [[첫인상(김건모)|첫인상]]으로 가요톱텐 골든컵을 수상한 뒤, 2집에서는 [[핑계(김건모)|핑계]]로 음반 판매량 180만장과 가요대상 5관왕을 석권. 3집은 90년대 최고의 히트곡 중 하나인 '''[[잘못된 만남]]'''이 대히트하며 음반 판매량 '''286만장'''을 기록했다. * [[The Slim Shady LP]] → [[The Marshall Mathers LP]] [[에미넴]]의 정규 2집은 에미넴의 이름을 세상에 알리고 스타로 급부상시킨 앨범이며 평론가들은 이 2집에 모든 것을 쏟아부은 탓에 더 이상 가사 쓸 거리가 없을 것이라고도 했는데 다음 앨범인 정규 3집에선 이런 평가를 개나 줘 버릴 정도의 힙합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중 하나가 나왔다. * Can I Borrow A Dollar → Resurrection [[커먼]]의 1집 Can I Borrow A Dollar도 상당히 괜찮은 작품으로 평가받지만 힙합 명반으로 평가받는 2집 Resurrection을 통해 큰 발전을 보였다. * Juvenile Hell → [[The Infamous]] [[Mobb Deep]]의 1집 Juvenile Hell은 여러 동료 래퍼들의 더움에도 불구하고 폭망했다. 하지만 다음 앨범인 [[The Infamous]]는 이스트 코스트를 넘어 힙합 전체에서도 손꼽히는 클래식으로 평가받는다. * A People's Instinctive Travel and the Paths of Rhymes → [[The Low End Theory]] [[A Tribe Called Quest]]의 1집 앨범인 A People's Instinctive Travel and the Paths of Rhymes은 발매 후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후 나온 2집인 [[The Low End Theory]]는 재즈 힙합이라는 분야를 개척한, 힙합 역사에 큰 획을 남긴 명반 중의 명반이라는 타이틀을 달게 된다. * [[Flesh of My Flesh, Blood of My Blood]] → [[...And Then There Was X]] [[DMX]]의 데뷔작이자 1집인 [[It's Dark and Hell Is Hot]]은 큰 성공을 거두었고 짧은 시간 안에 만든 2집인 [[Flesh of My Flesh, Blood of My Blood]]도 1집에 못지않은 성공을 거뒀다. 그 후 3집인 [[...And Then There Was X]]는 전작들을 뛰어넘는 성공을 거뒀으며 첫 주에만 698,000장이 팔린 후덜덜한 앨범이다. * [[Aquemini|AQUEMINI]] → [[Stankonia]] [[Outkast]]의 3집인 [[Aquemini|AQUEMINI]]는 획기적인 앨범이라는 평을 내렸을 정도로 호평받았는데 4집인 [[Stankonia]]는 [[Outkast]]의 최고작 중 하나이자 힙합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중 하나로 분류됐다. * [[Morning of Buzz]] → '''[[Buzz Effect]]''' [[버즈(한국 밴드)|버즈]]의 1집인 [[Morning of Buzz]]는 모놀로그,어쩌면 등으로 나름 히트를 쳤으나 [[Buzz Effect]]는 겁쟁이, 가시 등으로 대상을 싹쓸이 했으며 1집 보다도 훨씬 대히트를 치며 버즈에게 최전성기도 가져다 줬다. === 게임 === * [[검은방]] → [[검은방2]] 전작보다 다양하고 능동적인 게임 진행이 가능해지고 기승전결이 뚜렷한 훌륭한 스토리와 생각지도 못한 반전을 보여주어 지금 현재까지도 검은방 시리즈 중에 명작이라고 하면 무조건 시즌2를 꼽는다. * [[던전 앤 드래곤 타워 오브 둠]] → [[던전 앤 드래곤 섀도 오버 미스타라]] * [[던전 앤 파이터:혼]] →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 [[룬 팩토리 시리즈]] * [[룬 팩토리]] → [[룬 팩토리 프론티어]] * [[룬 팩토리 2]] → [[룬 팩토리 3]] * [[마리오 카트 7]] → [[마리오 카트 8]] → [[마리오 카트 8 디럭스]] * [[메탈기어]], [[메탈기어 2 솔리드 스네이크]] → '''[[메탈기어 솔리드]]''' * [[메탈슬러그 X]] → '''[[메탈슬러그 3]]''' * [[뿌요뿌요 시리즈]] * [[뿌요뿌요]] → '''[[뿌요뿌요 2]]''' * [[뿌요뿌요 7]] → [[뿌요뿌요!!]] *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 [[바이오하자드]] → [[바이오하자드 2]] * [[바이오하자드 3: 라스트 이스케이프]] → '''[[바이오하자드 4]]''' * [[바이오하자드 RE:3]] → '''[[바이오하자드 RE:4]]''' * [[버추어 캅]] → 버추어 캅 2 * [[버추어 파이터]] → [[버추어 파이터 2]] 버파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게임이다. * [[소닉 언리쉬드]] → [[소닉 컬러즈]] → [[소닉 제너레이션즈]] * [[소울 칼리버 5]] → [[소울 칼리버 6]] * [[슈퍼 마리오 시리즈]] * [[슈퍼 마리오 Wii 갤럭시 어드벤처]] → [[슈퍼 마리오 Wii 2 갤럭시 어드벤처 투게더]] * [[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2]], [[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U]]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원더]]''' * [[스트리트 파이터]] → '''[[스트리트 파이터 2]]'''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설명이 필요없다.]] * [[언차티드 1]] → '''[[언차티드 2]]''' 언차티드 1편 자체의 게임성도 꽤나 괜찮은 편이었지만 언차티드 1의 단점들을 대폭 수정, 보완하여 내놓은 언차티드 2는 역대 최고의 어드벤처 게임 중 하나가 된다. * [[역전재판 시리즈]] * [[역전재판 2]] → [[역전재판 3]] * [[역전검사]] → [[역전검사 2]] * [[대역전재판 -나루호도 류노스케의 모험-]] → [[대역전재판 2 -나루호도 류노스케의 각오-]] [[대역전재판 시리즈]]의 경우 2편이 사실상 하편이어서 속편이라고 부르기에는 애매하다. * [[앨런 웨이크]] → [[앨런 웨이크 2]] * [[이스: 사라진 고대 왕국 이스]] → [[이스 Ⅱ: 사라진 고대 왕국 이스 - 최종장]] * [[젤다의 전설 시리즈]] *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 [[젤다의 전설 무쥬라의 가면]] *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 전작도 오픈월드계의 혁명을 불러왔다는 평을 받았지만 후속작은 그것의 완성형이라고 불리며 일부 요소를 제외하면 전작의 완성형이라는 대호평을 받았다. * [[철권 시리즈]] * [[철권 4]] → [[철권 5]] 부진했던 철권의 흥행성적을 다시 멱살잡고 끌어올린 게임.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 [[철권 7]] 철권 4보다도 부진했던 태그 2가 오와콘으로 몰고간 시리즈를 다시 멱살잡고 끌어올린 시리즈 최대 흥행작. * [[코룸]] 시리즈 * [[코룸#s-1.1|코룸 : 저주받은 땅]] → '''[[코룸#s-1.2|코룸 2 : 암흑 군주]]''' 수 많은 버그, 있으나마나한 스토리성, 매력없는 게임성 등 총체적 난국으로 인해 첫 작품부터 대실패한 후 제작진이 [[절치부심]]하여 코룸 2를 만들었고, 제작사 하이콤이 부도 위기를 맞이한 와중에도 암흑 군주에서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면서 RPG 매니아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고, 이는 코룸 시리즈가 국산 RPG계에 한 획을 그은 수작으로 거듭나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고, 이후 아래에서 후술할 코룸 3에서 대박을 친다. * 코룸 2 : 암흑 군주 → '''[[코룸#s-1.3|코룸 3 : 혼돈의 마법 쥬마리온]]''' 전작 저주받은 땅의 대부분의 단점들을 상당수 해소하여 상당히 잘 만들었다고 좋은 평가를 받았던 그 코룸 2를 뛰어넘는 명실상부 코룸 시리즈 최고의 흥행작. * [[타이탄폴]] → [[타이탄폴 2]] 게임성만 좋고 묻힐 뻔한 게임을 말 그대로 멱살잡고 끌어올렸다. * [[테트리스 더 그랜드 마스터 시리즈]] 시리즈를 거듭하면서 난이도는 치솟고 완성도는 더 높아져 갔다. * '''[[프롬 소프트웨어]]''' 만드는 시리즈의 2편마다 전작보다 평가가 좋다. 전작보다 평가가 안좋은 2편은 [[섀도우 타워]] 어비스 정도가 전부. * [[킹스 필드]] → [[킹스 필드 2]] 도전욕을 자극시키는 난이도와 어두운 테마의 분위기, 플레이어를 당황시키는 함정 등 현재의 [[소울 시리즈]]의 특징들을 정립시켰다고 평가받는다. * [[아머드 코어]] → [[아머드 코어 2]] 새로운 시스템을 많이 도입하여 아머드 코어 시리즈만의 특징을 확립시켰고 입문 난이도도 가장 쉬우며 평점 또한 [[아머드 코어 6]] 출시 이전까진 시리즈 내에서 가장 높았다. * [[오토기#s-2]] → 오토기 2 전작의 단점을 대부분 개선시켰으며 흥행에 실패한 것과는 별개로 평점은 높게 받은 비운의 수작이라고 평가받는다. * [[Another Century's Episode]] → [[Another Century's Episode 2]] 평가가 몹시 좋지 않았던 전작을 개선시켰고 게임성이나 밸런스 측면에서도 시리즈 내에서 평가가 가장 좋다. * [[다크 소울]] → [[다크 소울 2]] 이쪽은 유저 평점은 낮지만 평론가 점수는 소울 시리즈 중 가장 높은 특이케이스. 레벨디자인의 쇠퇴와 발전되지 않은 그래픽은 혹평을 받지만 방대한 분량과 DLC는 호평을 받았으며 2편의 발전된 유저 편의성을 기점으로 후속작의 불친절함이 상당히 낮아지게 되었다. * [[프린세스 메이커 시리즈]] * [[프린세스 메이커]] → '''[[프린세스 메이커 2]]''' 프린세스 메이커 2는 출시한지 20년이 넘었지만 현재까지도 육성시뮬레이션 게임계의 바이블로 칭송받는다. * [[프린세스 커넥트!]]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저질스러운 게임 UI 때문에 고작 1년만에 서비스 종료한 전작과는 다르게, 한층 발전한 UI와 [[미식전|신규 주인공 팀]]의 케미 덕분에 4년 넘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 [[Portal(게임)|Portal]] → '''[[Portal 2]]''' * [[하프라이프]] → '''[[하프라이프 2]]''' * [[회색도시]] → [[회색도시2]] 개연성이나 이해가 가지 않는 캐릭터 심리 등으로 비판을 받았던 시즌 1과는 달리 시즌 2는 그야말로 전작보다 몰입감 있는 전개와 훌륭한 완성도를 보여줘 상당한 호평을 받았다. ==== 콘솔 및 아케이드 시스템 ==== * [[게임기|비디오 게임 콘솔]] * [[닌텐도]] * [[패밀리 컴퓨터]] → '''[[슈퍼 패미컴]]''' * [[게임보이 어드밴스]] → '''[[닌텐도 DS]]''' * [[게임큐브]] → '''[[Wii]]''' * [[New 닌텐도 3DS]], [[Wii U]] → '''[[Nintendo Switch]]''' * [[닌텐도 2DS]] → [[New 닌텐도 2DS XL]] *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 [[PlayStation(콘솔)|PlayStation]] → '''[[PlayStation 2]]''' * [[PlayStation 3]] → '''[[PlayStation 4]]''' → '''[[PlayStation 5]]''' * [[Microsoft]] * [[Xbox(콘솔)|Xbox]] → [[Xbox 360]] * [[아케이드 시스템]] * [[ST-V]] → [[NAOMI]] === TV 프로그램 === * [[공범(웹예능)]] → [[공범2]] * [[태어난 김에 세계일주]] → [[태어난 김에 세계일주 2]] 시즌 1도 호평을 받아 2,3시즌이 제작 확정이라는 이야기가 나왔지만, 시즌 2에서 시즌 1 이상의 시청률과 반응과 호평을 받고 있다. * [[피의 게임]] → [[피의 게임2]] 하지만 마무리를 말아먹어 종영 당시의 평가는 그렇게 좋지 않다. * [[히든싱어1]] → [[히든싱어2]] === 기타 미디어 믹스 === === 전자 기기 === * [[삼성 갤럭시]] * [[갤럭시 Z 플립]] → [[갤럭시 Z 플립3]] → [[갤럭시 Z 플립4]] → [[갤럭시 Z 플립5]] * [[갤럭시 S22]] → [[갤럭시 S23]] * [[갤럭시 S9]] → [[갤럭시 S10]] * [[Apple]] * [[iPhone 11]] → [[iPhone 12]] == 반례: [[소포모어 징크스]][anchor(반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소포모어 징크스/목록)] [[분류:시리즈]][[분류: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