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BD%C5%BC%BC%B5%BF_7%C3%FE_%C0%FC.jpg|width=100%]]}}} ||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탑([[塼]][[塔]])은 [[벽돌]]을 쌓아 만들어진 [[탑]]을 말한다. [[인도]]와 [[중국]]에서 유래한 양식이며 벽돌을 만들 황토가 풍부하고 인력을 쉽게 동원할 수 있었던 나라인 만큼 인도와 중국에는 전탑이 매우 많다. 중국은 [[523년]] 지어진 숭악사(嵩岳寺) 15층 전탑(40m)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는 [[돌]]로 만든 [[석탑]]보다 드문 편이다. [[한반도]]에는 [[신라]] [[의상(신라)|의상]]대사가 본격적으로 전파시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당나라 유학을 마치고 돌아왔을 때 수도인 [[경주시|서라벌]]로 가지 않은 대신 [[영주시|영주]]([[부석사]]), [[안동시|안동]]([[봉정사]]) 등에서 자리를 잡았고 현존하는 전탑도 대개 이 지역에 있기 때문이다. 물론 [[분황사]] 모전석탑을 보면 그 이전에도 이미 양식 자체는 알려져 있었을 것이다. 아무튼 통일신라시대에도 기술이 약간 발전하나 전탑은 벽돌을 쌓아 만든 것이어서 내구도가 낮고 파손된 벽돌은 새 벽돌로 교체하는 식으로 보존 및 관리를 꾸준히 해줘야 하는데 여러 혼란기를 거치다보니 온전히 남아있는 것은 몇 기에 불과하다. 벽돌은 흙을 불에 구워 만드므로 불에 안 탄다는 점은 [[목탑]]보다 낫지만, 벽돌쌓기 특성상 어느 일부만 약해져도 급속도로 무너질 수 있으니 내구도는 오히려 목탑보다 못하다. 실제로 남아 있는 탑들은 마을 주민들이 무너지면 다시 쌓는 식으로 지켜져왔다고 하며, 그 과정에서 본래 형태에서의 변형이 이루어졌을 개연성 또한 충분히 존재한다. 가장 큰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도 [[중앙선]] 철길의 진동으로 [[피사의 사탑]]마냥 기울어져 있다. 또한 한국은 인도 불교문화를 받아들임으로서 공덕, 즉 노력을 쌓아 만드는 걸 중시한 경향과 벽돌 재료인 흙 대신에 좋은 돌을 쉽게 구할 수 있는 자연환경 특성상 전탑은 보기 힘들다. 그래서 가장 최근 것이 여주 [[신륵사]] 전탑으로, 고려시대에 만들어졌다. 그 이후로는 거의 안 만들어 졌다. 대신 [[분황사]] 전탑 같이 구하기 쉬운 재료인 돌을 벽돌 모양으로 깎아서 흉내낸 [[모전석탑]] 양식이 또한 발달했다. 모전석탑(模塼石塔)이라는 낱말 자체가 '''전탑을 모방한(模塼) 석탑(石塔)'''이라는 뜻이다. 각종 역사 시험에서 모전석탑을 전탑과 비교하거나 끼워넣는 함정문제가 많이 출제된다. 모전석탑은 국내에서도 진짜 전탑보다 더 자주 지어진 양식. 한편 지금까지 현존하는 전탑과 무너진 전탑 유적 등은 대부분 [[안동시|안동]]을 중심으로 하는 경북 북부에 있고 정작 신라 불교문화의 중심이었던 수도 경주는 전탑 유적이 별로 없다.[* 순수하게 벽돌로 만든 전탑을 따지면 그렇다는 것이고, 전탑을 모방해 만든 이른바 '모전석탑'의 경우는 아예 없는 것도 아니다.] 때문에 안동과 그 주변 지역에서만 전탑이 [[유행]]한 게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혹은 안동지방은 우수한 화강석이 많지 않아서 전탑을 대신 많이 세웠다는 가설도 있으며, 안동의 3개 전탑이 모두 [[낙동강]]을 남쪽으로 바라보는 강 연안에 만들어진 점을 보아 강가에서 흔한 양질인 점토와 모래를 구워 벽돌로 만들기 좋은 조건 덕분에 특이하게 전탑을 쌓았을 것이란 가설도 있다. 혹은 강의 남쪽이 [[풍수지리]]적으로 허하기 때문에 전탑을 세워 보강하려 했다는 설도 있고, 불교 특정 종파가 경북 북부에서 자리잡아 유독 유행했다는 설도 있다. 한편 [[석탑]]이지만 전탑 형식을 흉내낸 [[모전석탑]]도 주로 경북 북부 [[의성군]], [[영양군]] 등지에 많이 모여있어서 형식이 경북 북부에서 유행했다는 설이 신빙성을 얻고 있다. 순수 전탑은 안동에만 3개가 있고[* 신세동 7층 전탑, 동부동 5층 전탑, 조탑동 5층 전탑], 칠곡에 1개[* 송림사 5층 전탑], 청도에 1개[* 불령사 전탑], 그리고 중부 권역인 경기도 여주에 1개[* 신륵사 다층 전탑]로 총 6개 밖에 없다. 이 외에 터만 남은 걸로 따지면 안동 금계동 다층전탑과 경기도 안양 [[안양사]] 전탑터를 비롯하여 여러 전탑터가 있기는 하다. 한국 학계에서는 한국사에서 한반도 중부 지역 이북으로는 전탑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 왔는데, [[요령성]]의 [[선양시]] 북쪽으로 40㎞ 거리에 석불사(石佛寺)라는 절의 전탑이 고구려 전탑이라는 지적도 있고, 발해 지역인 지린성 장백조선족자치주에 있는 발해 전탑인 영광탑이나 함경북도 갑산 백탑동유전탑 등 한반도 북부에서 전탑을 아예 만들지 않았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오래된 전탑은 [[태풍 사라]]로 인해 무너져버린 안동 금계동 폐전탑처럼 자연재해로 인해 무너져버리는 예도 있어 한국에서 현재 남은 전탑은 총 5개라고 한다. 또한 현재까지 남아 있는 관련 기록에 의거해도 21개소만이 알려져 있는 것으로 보아 전탑 자체가 굉장히 희귀한 양식이었던 듯. 때문에 권역 내에 전탑 혹은 전탑지가 12개나 있는 [[안동시]]는 전탑의 고장이라는 별명이 존재한다. 특히 안동은 관련 기록에서 전탑을 대대로 보수하였다는 기록이 많이 남아있는데, 이는 지역의 [[풍수]] 관점에서 관리했기 때문이라 한다. == 한국의 전탑 목록 == * 현존(총 5기)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통일신라]], [[대한민국의 국보|국보]] 제16호) : 국내에 현존하는 가장 거대한 전탑으로 안동댐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시멘트로 엉망진창으로 보수해 원형이 상당히 훼손됐으며 한때 탑 바로 옆으로 [[중앙선]] 철길이 지나가는 악조건에 있었으나[* 진동은 문화재에 거대한 영향을 준다. 그 때문에 밑에 4호선이 지나가는 서울 흥인지문도 골머리를 앓고 있다.] 현재는 철길이 이설돼 많은 개선이 이뤄졌다. * 안동 운흥동 오층전탑(통일신라,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제56호) : 구 [[안동역]] 옆에 있다.[* [[안동시 시내버스]] 대부분의 종점인 교보생명 정류장 바로 뒤다.] 신세동 7층 전탑보다 보존 상태가 좋은 편이다. 나름 국가지정 문화재인데 경비원 한 명 없다. *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통일신라, 보물 제57호) : [[남안동IC]] 입구에 있다. 원래는 사과밭 한가운데에 있어 관람에 불편했는데 부지를 문화재청과 안동시가 사들여 복원작업을 하고 있다. 그 때문에 2026년 12월까지 관람이 불가능하다. 다른 전탑에 비해서도 균형이 잡히고 자태가 빼어나다. 주변에 절터로 추측할 수 있는 유물이 발굴되지 않아 평야에 탑만 지어 놓았다는 추측이 있다. * [[칠곡군|칠곡]] [[송림사]] 오층전탑(통일신라, 보물 제189호) : 두 번째로 큰 16m인 전탑으로, 신라에서 국가제사의 대상이었던 [[팔공산]] 자락에 위치해 있다. 상륜부 등의 보존상태는 상당히 좋은 편이다. * [[여주시|여주]] [[신륵사]] 다층전탑([[고려]] 추정, 보물 제226호) * 붕괴 후 잔존(총 2기) * 안동 금계리 다층전탑 : 본래 5~7층 높이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4층으로 남아있다가 1959년 [[태풍]] [[사라(태풍)|사라]]가 지나간 후 무너져 버렸다. 현재는 단층인데 마을주민들이 흩어진 벽돌들을 모아 만들어놓은 것이다. 다행히 완전히 무너지기 전 찍어놓은 사진은 남아있다. * [[청도군|청도]] 불령사 전탑(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2호) : 오래전에 무너져있던 것을 1968년 6층으로 복원했다가, 다시 무너졌는지 탑 앞 안내판에는 2009년 3층으로 복원했다고 써있다. 원형은 알 수 없다. * 완전소실(총 14기?) 간신히 전탑이었던 흔적만 남아있는 정도부터 무너진 돌무더기 정도 상태. * 안동 임하사지 전탑 * 안동 장기동 옥산사지 전탑 - 월천 전탑? * 안동 서후면 개목사 전탑 * [[영주시|영주]] 무신탑(無信塔) - 공민왕 때 정습인이라는 사람이 탑을 헐어 객관을 보수하는데 썼다고 전해진다. 다시 쌓았다고 하는데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 청도 운문사 작압전(수리 전에는 전탑의 모습이 남아 있었음) - 지금은 사방을 감쌌던 돌로 만든 사천왕상만 남음. * [[경주시|경주]] 덕동 전탑 * 경주 인왕동사지 전탑 * 경주 삼랑사지 전탑 * 경주 모량리사지 전탑 * 경주 석장사지 전탑(경주 전탑 중 유일하게 문헌기록 존재) * [[울산광역시|울산]] 농소 중산리사지 전탑 * [[창녕군|창녕]] 전탑 * [[안양시|안양]] [[안양사|안양사지]] 7층 전탑 -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최영]]이 세웠는데 [[우왕]]이 향을 보냈고 천 명의 승려가 불사를 올렸다고 한다. 사방에 그림을 그려넣는 등 매우 크고 독특한 형태였을 것이다. 조선 초까지는 남아 있었을 것으로 짐작되지만 실록의 기록을 보면 그때도 이미 쇠락한 상태였던 것 같고 그 후 절 자체가 아예 사라져버렸다. * 함경북도 갑산 백탑동 전탑 -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탑. 압록강 바깥이라는 기록으로 보아 장백현의 [[영광탑(발해)]]으로 보이나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관련 자료 [[http://blog.ohmynews.com/cornerstone/157456|#]] [[분류:건축 소재별 탑]] [[분류:불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