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1969년 출생]][[분류:동의대학교 출신]][[분류:한국의 미술가]] ||||
<-2><:> [[파일:전준호 미술가.jpg|width=400]]|| || '''{{{#white 이름}}}''' ||전준호(Jeon, Joonho) || || '''{{{#white 출생}}}''' ||[[1969년]], [[부산광역시]] || || '''{{{#white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 '''{{{#white 학력}}}''' ||[[동의대학교]] {{{-2 (미술학과 / 학사)}}}[br] 영국 [[첼시 예술대학|첼시 미술대학교]] 대학원 {{{-2 (석사)}}} || || '''{{{#white 링크}}}''' ||[[https://newsfromnowhere.kr/|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미술가]]. == 생애 == 1969년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나 [[동의대학교]] 미술학과와 영국 첼시 미술대학교 대학원 석사 졸업을 했다. 2004년 광주비엔날레, 2008년 루이비통 탈출, 파리 변신 등 다수의 전시에 참여했다. 2009년에는 초기 정치 비디오 작품 The White House(2005-2006) 그룹전 Your 밝은 미래: LACMA ,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리는 12명의 한국 현대 미술가 중 한 명인데, 린 젤레반스키, 크리스틴 스타크만, 김선정이 공동 기획을 했는데, The White House가 Time Out New York 및 LA Times에 기록이 된 적이 있었다. 또 다른 한국 작가인 문경원과 콜라보레이션을 시작하여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설리번 갤러리에서 대규모 전시인 News From Nowhere : Chicago Laboratory (2013)를 포함해 미국 전역에서 그들의 작품을 전시하였고, 2015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에 문경원 작가와 함께 협업 영상 작업이 접는 공간과 비행의 새로운 방식으로 설치하여 주목받았다. == 수상 == * 2013 멀티튜드 아트 프라이즈 * 2012 광주비엔날레 대상 눈예술상 * 2012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 * 2007 루뷸라냐비엔날레 대상 * 2004 광주비엔날레 광주은행상 * 1995 대한민국 미술대전 특선 * 1992 부산미술대전 대상 == 작품 == * 13번 선수 * 관폭도 * 뉴욕 타임즈 * 또 다른 기념비를 위하여 * 무제 * 부유하다 * 부활상 * 알프로졸랑, 그 절대적 명령권 * 형제의 동상 * 운문댐 지도 * 운문댐 프로젝트 * 잠자는 물 * 하이퍼 리얼리즘 * 형제의 상 * IN GOD WE TRUST * PANIC DISODEIUS * THE WHITE HOUSE * 아카이브 == 방송 영상 == [youtube(6mSiVs-BUSk)] [youtube(YK_oEohEPhg)] [youtube(5wmV2lm-va8)] [youtube(_vmZu7HoyBA)] [youtube(Q-8HZKM3tn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