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의 고등학교)] ---- ||<-2> '''{{{#ffffff {{{+1 전주중앙여자고등학교}}}[br]全州中央女子高等學校[br]Jeonju Jungang Girl's High School}}}''' || ||<-2> [[파일:전주중앙여자고등학교 교표.png|width=50%]] || ||<-2> [[파일:전주중앙여고로고.png|width=50%]] || ||<-2> [include(틀:지도, 장소=전주중앙여자고등학교, 너비=100%)] || || {{{#ffffff '''개교'''}}} || [[1982년]] || || {{{#ffffff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ffffff '''성별'''}}} || [[여학교]] || || {{{#ffffff '''운영 형태'''}}} || [[사립]] || || {{{#ffffff '''학교 법인'''}}} || 인애학원 || || {{{#ffffff '''교장'''}}} || 이정송 || || {{{#ffffff '''교감'''}}} || 황혜영 || || {{{#ffffff '''교사 수'''}}} || 60명[br](2022학년도 기준) || || {{{#ffffff '''학생 수'''}}} || 696명[br](2022학년도 기준) || || {{{#ffffff '''주소'''}}}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석소로 25 ([[인후동1가]]) || ||<-2> [[http://jungang.hs.kr|{{{#ffffff '''웹 사이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주중앙여자고등학교[* 전국적으로 '중앙여자고등학교'라는 교명을 사용하는 학교는 열두 곳이 있다.](全州中央女子高等學校)는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에 있는 [[사립]] 일반계 [[고등학교]]. == 연혁 == *1981년 05월 01일: 학교법인 인애(仁愛)학원 설립 인가 *1981년 11월 25일: 설립 인가 *1982년 03월 02일: 개교 *2015년 02월 05일: 제31회 졸업생 336명 졸업 *2022년 02월 28일: 학습자 중심 생활 공간 구성 4층(30개 교실) 리모델링 == 교훈 == 교훈: 사랑, 믿음, 성실(誠實) == 교가 == || [[파일:NUFGKQV.png|width=400]] || == 학교 상징 == 교목: 소나무 교화: 백일홍 == 역사 == 1981년 학교법인 인애(仁愛)학원 설립 인가를 받고 동년 11월 25일 학교 설립인가를 받았다. 이듬해인 1983년 교명을 '전주중앙여자고등학교'로 하고 개교 한 후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015년 31회 졸업생들이 졸업하였고, 누적 졸업생 13,402명을 배출했다. == 출신 인물 == * [[이수진(1968)|이수진]] - 정치인 * [[장진영(배우)|장진영]] - [[순풍산부인과]], [[반칙왕]], [[국화꽃 향기]] 등에 출연한 배우. == 기타 == === 109대 골든벨 탄생 === 과거에 비해 골든벨 울리기가 쉬워졌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50문제의 벽을 넘어 골든벨을 울리는 학생이 1%가 안되는 상황임을 감안하면 골든벨을 울리는게 쉬운 일은 아니다. 이 어려움을 뚫고 2015년 6월 29일 전주대 체육관에서 촬영된 KBS 골든벨 '전주중앙여고'편에서 109대 골든벨 이예지(1학년)이 탄생했으며 더욱이 놀라운 점은 골든벨을 울린 주인공이 1학년 학생이란 것이다. 전주시 전체로 보면 [[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성심여고]], [[전북여자고등학교|전북여고]], [[상산고등학교|상산고]]에 이어 4번째[* 공식 골든벨은 아니지만 [[완산고등학교|완산고]]에서 명예 골든벨이 탄생하기도 했다.] 골든벨 탄생이었다. 이 경사스러운 일을 맞이하여 학교에서 전교생에게 치킨을 샀으며, 109대 골든벨은 2015년 왕중왕전에서 준우승을 했다. [[분류:전주시의 고등학교]][[분류:전라북도의 여자고등학교]][[분류:1982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