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가철도 및 전용철도 노선)] ||<-2> {{{#fff '''{{{+2 전주김천선}}}''' [br] 全州金泉線 / Jeonju Gimcheon Line}}} || ||<-2>[[파일:김천전주선.jpg|width=100%]] ||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br]([[국가철도공단]]이 위임) ||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 || '''노선번호''' || 미정 || || '''종류''' || 일반철도 || || '''영업거리''' || 108.1km || || '''궤간''' || 1435㎜ || || '''역 수''' || 2 || || '''기점''' || [[전주역]] || || '''종점''' || [[김천역]] || || '''전기''' ||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 || '''신호''' || [[열차자동정지장치|ATS]], [[열차자동방호장치|ATP]] || || '''선로 수''' || [[단선|1]] || || '''개업일''' || 미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주역]]와 [[김천역]]를 이을 새로운 철도 노선. 계획중인 [[달빛고속철도]]와 함께 동서축 철도노선이며, 새만금에서 익산, 전주, 김천, 의성, 영덕을 이을 예정이다. 새만금~대야역은 [[새만금항인입철도]], 대야역~익산역은 [[군장산단인입철도]], 익산역~전주역은 [[전라선]]으로 이어진다.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추가검토노선으로 포함되었다. == 진행 상황 == * 2006년 3월 건설교통부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추가 검토대상사업으로 포함 (완공목표 미정) - 김전선 단선전철 97.4km * 2009년 3월 11일 김천시, 김천시의회, 전주시, 전주시의회, 군산시, 군산시의회, 무주군, 무주군의회 > 동서횡단철도(새만금-전주-김천) 복선전철 조기건설 촉구 공동건의문 서명, 발표 * 2011년 4월 3일 국토해양부 >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추가 검토대상 사업(중장기 계획)으로 포함 * 2016년 2월 국토교통부 >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공청회(교통연구원 주최)에 추가 검토사업으로 포함 * 2016년 6월 국토교통부 >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추가 검토사업으로 포함 * 2021년 10월 국토교통부 > 사전타당성조사 추진 == 상세 == 영호남을 잇는 철도망은 경전선이 유일하고 그마저도 경남~전남 지역에만 걸쳐있으며, 경북 지역과 전라도를 잇는 철도는 현재까지 아예 없다. 사실 인구밀집 두 지역인 대구~전주를 잇는 방법이 좋지만 이 구간은 중간에 덕유산이 있어 수요가 저조해 [[새만금포항고속도로]] 무주~대구 구간 사업조차 진척이 안나는 상황이다. 그래서 대체 철도로 전주~김천을 잇는다는 계획이다.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전무하다. 총 길이는 108.1km로 2조 7,541억원이 투입되어 만들어질 계획이며 복선전철노선으로 구상되었다. 하지만 한차례 예타조사에서 탈락되었으며 단선이어도 수요가 저조한 결과가 나와 현재는 사업이 어려운 상태이다. 꾸준히 말이 나오고 있는 사업이긴 하지만 [[달빛고속철도]]에 비하면 미약하다. [[전주시]]와 [[김천시]]보다는 [[대구광역시]]와 [[광주광역시]]의 정치, 행정 위상이 크기 때문이다. 2023년 상반기에 사전타당성검토를 마치고 정식으로 발표할 예정이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407473?sid=101|#]] == 역 목록 ==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아래 역 목록은 노선이 지나는 [[기초자치단체]]마다 역이 하나씩 세워진다는 가정 하에 임의로 작성한 것으로, [[전주역]], [[김천역]]을 제외한 역 이름은 가칭이며 역 위치와 개수도 아직 확정된 것이 아니다. || ㎞ ||<-2> 역명 || 코드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0.0 || [[전주역|전 주]] || 全 州 || 045 || KSMN || ─ || ⊙ || [[전라선]] || [[전라북도]][br][[전주시]] [[덕진구]] || || || 소 양 || 所 陽 || || || || || || [[전라북도]] [[완주군]] || || || 진 안 || 鎭 安 || || || || || || [[전라북도]] [[진안군]] || || || 무 주 || 茂 朱 || || || || || || [[전라북도]] [[무주군]] || || 97.4 || [[김천역|김 천]] || 金 泉 || 012 || SM~~t~~ || ─ || ⊙ || [[경부선]][br][[경북선]][br][[남부내륙선]][br]~~[[중부내륙선]]~~ || [[경상북도]] [[김천시]] || 진안-무주 구간 노선은 3가지 경우를 예상할 수 있다. * 안천-적상 경유 : 진안-무주 구간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노선이지만 아래의 두 구간에 비해 연선 인구가 적다. * 동향-안성-적상 경유 : 안천 경유보다 다소 돌아가지만 진안군 동향면과 무주군 안성면이 어느 정도 인구가 받쳐 주기에 안천 경유보다는 수요가 있다. * 장계-안성-적상 경유 : 드리프트 수준으로 돌아가는 노선이지만 무진장권 교통의 요지인 장수군 장계면을 경유하는 데다 철도 오지로 남을 뻔한 장수군에도 철도가 도입된다는 점에서 명분이 있다. [[분류:전주김천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