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주시 시내버스)] || [[파일:정지선을넘어서.jpg|width=100%]] || [[파일:제일여객1519.jpg|width=100%]] || || '''6001번''' || '''6002번'''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전주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전주시 간선버스 600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전주6001노선도3.png|width=100%]]}}} || ||<-2> 기점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2가(전주비전대학교) ||<-2> 종점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2가(전주비전대학교) || ||<|2> 종점[br]행 || 첫차 || 06:00 ||<|2> 기점[br]행 || 첫차 || - || || 막차 || 21:54[br]22:05 (객사 종착) || 막차 || - || ||<-2> 평일배차 || 12~17분 ||<-2> 주말배차 || 12~34분 || ||<-2> 운수사명 || [[전일여객]] ||<-2> 인가대수 || 8대[* 휴일 5대 운행] || ||<-2> 노선 ||<-4> [[전주비전대학교]] → 효자휴먼시아2.3단지 → 호남제일고 → 신시가지 서부지구대 → 서곡초교 → 전주세무서.한국환경공단 → 거성경기장아파트 → 한국건강관리협회 → [[전북대학교]] → 금암광장 → [[전주시청]].노송동시외버스정류소 → [[객사길|객사]] → [[예수병원]] → 효자광진맨션아파트 → 삼천동막걸리골목 → 효문중학교 → 완산소방서 → 효천초등학교 → [[전주비전대학교]] || ||<-6> [[파일:전주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전주시 간선버스 6002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전주6002노선도3.png|width=100%]]}}} || ||<-2> 기점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2가(전주비전대학교) ||<-2> 종점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2가(전주비전대학교) || ||<|2> 종점[br]행 || 첫차 || 06:00 ||<|2> 기점[br]행 || 첫차 || - || || 막차 || 21:54[br]22:05 (전북대 종착) || 막차 || - || ||<-2> 평일배차 || 12~17분 ||<-2> 주말배차 || 12~34분 || ||<-2> 운수사명 || [[제일여객(전주)|제일여객]] ||<-2> 인가대수 || 8대[* 휴일 5대 운행] || ||<-2> 노선 ||<-4> '''6001번의 역순으로 운행.''' || ||<-2> {{{#fff '''중간 출발 정류장'''}}} || || '''6001번''' ||전북대학교^^06:05^^ || || '''6002번''' ||객사^^06:05^^ || ||<-2> {{{#fff '''중간 종료 정류장'''}}} || || '''6001번''' ||객사^^22:05^^ || || '''6002번''' ||전북대학교^^22:05^^ || == 개요 == 전주비전대학교를 출발해 천잠로와 기린대로, 용리로를 이용해 순환하는 간선노선. == 역사 == * [[2022년 2월 전주 시내버스 개편]]으로 2022년 2월 19일에 신설되었다. * [[2022년 6월 전주 시내버스 개편]]으로 2022년 6월 4일부로 '전주비전대학교 - 전주대학교 - 신시가지서부지구대' 구간이 '전주비전대학교 - 효자휴먼시아2.3단지 - 호남제일고 - 신시가지서부지구대'로 변경되었다. 또한 각 노선별로 2대씩 감차되어 11~13분이던 배차간격이 12~17분으로 늘어났고, 휴일에는 각 노선별로 3대씩 감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특징 == * 폐선된 [[전주 버스 381|381번]](비전대, 삼천동 - 객사 구간), [[전주 버스 190|190번]](비전대, 서곡-전북대 구간), [[전주 버스 7-1, 7-2|순환7번]](전북대-예수병원 구간)을 대체한다. * 완산구의 주거 밀집지역인 효천지구, 삼천동, 효자동, 서신동, 서곡지구와 전주의 원도심 전북대학교, 시청, 객사를 이어준다. 따라서 아침, 저녁 Rh시간대에는 출퇴근, 등하교 수요가 많으며 가축수송도 자주 한다. 비전대~서신동 구간은 아침에는 서신동에서 엄청나게 타서 서곡부터는 승차조차 못하는 경우가 많고, 저녁에는 효자휴먼시아를 지나면 비전대와 동암고 학생들로 이미 입석승객이 발생한데다 호남제일고, 영생고에서 수십명의 학생들이 타서 결국 다 태우지 못하고 영생고에서 중간에 앞문을 닫고 가버린다. 전북대-효천지구 구간은 중앙시장 대신 전주시청을 경유하지만 비전대에서 충경로 객사까지의 381번 노선을 대부분 계승해서 역시나 혼잡하다.[* 그래서 충경로 객사에서 물갈이가 많이 되는 편이다.] * 2021년 12월 말에 개통된 효천교를 통과한다. * 간선노선중에서는 막차가 제일 이르다. 전구간 막차가 '''21:53'''에 출발하고 중간종착 최종 막차(6001번 객사, 6002번 전북대)는 '''22:05'''에 출발하여 주요 일반노선보다도 막차가 빨리 끊긴다. * 간선노선이지만 평균 대당 승하차량은 전주시 시내버스 전체의 평균 정도로 엄청 많진 않다. 실제로 일 승차량은 5000회 정도이지만 인가대수는 '''통합 16대'''로 상당히 비효율적으로 굴라고 있는 노선들이다. 이런 현상의 원인은 운행시간에 비해 운행횟수가 적은 것이 큰 원인으로, 전 구간 소요시간이 60-70분 정도인데[* 그러나 낮시간에도 1시간 안에 끊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80-90분정도 걸리는 [[전주 버스 6|6번]], [[전주 버스 119|119번]], [[전주 버스 165|165번]]과 동일하게 1대당 일 8회만 운행한다. * 개편 초기에는 그래도 381번의 삼천동 구간과 190번의 서신동, 효자동 구간을 계승하여 비슷한 입지의 노선인 [[전주 버스 5002|5000번대]]보다 조금 더 인기가 좋았지만, 5000번대는 노선이 알려지면서 전주대와 터미널의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 승차량이 전주시내버스의 평균 정도는 되는 반면, 이 노선은 평균만큼도 못 태운다. 쉽게 말해, 완주군의 삼례읍과 비봉면을 오가는 [[전주 버스 32|32번]] 수준이다. ~~3000번대는 그것보다도 더 못태운다~~ === 시간표 === == 연계 철도역 == 없음. [[분류:전주시의 시내버스]][[분류:2022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