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의 업무를 전자화하여 행정기관등의 상호 간의 행정업무 및 국민에 대한 행정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정부를 말한다(전자정부법 제2조 제1호). 오프라인의 은행에 가지 않고 은행 서비스를 인터넷으로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핀테크]]라고 부르듯이, [[동사무소]]에 가지 않고 행정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이용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정부에서 발급하는 [[전자서명]], 등본이나 증명서 같은 공문서, 정부에 보내는 민원 등을 온라인으로 할 수 있다. == 관련 기술 및 서비스 == * [[전자서명]] * 온라인 [[민원]]상담 * 공문서 발급 * 알림 및 안내 서비스 * 과태료, 범칙금 납부 안내. * 코로나 백신 안내 * 국가 장학금 안내 == 한국의 전자정부 == 국민들은 체감이 안 되지만, UN 평가에 의하면 '''세계 3위'''다. 1위는 [[덴마크]], 2위는 핀란드이다. 이게 얼마나 대단한 거냐면 2010년부터 전세계 3위권을 계속 유지하는 나라는 오직 한국 뿐이고, 10위권은 에스토니아, 네덜란드같은 인구 소국이 대부분이다. 심지어 저 3위도 이전에 1위였다가 내려온 것이다. 다른 부분에선 1~2위 국가와 비슷하거나 더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인적자원 부분에서 다소 낮은 점수를 받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27|UN 전자정부평가(2020)]] [[https://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78516|국제연합(UN), 2020년 전자정부평가 발표]] [[https://m.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528341#pressRelease|2022발표]] * [[정부24]]: [[민원24]], 문서24라 불렸다. 온라인 민원, 전자서류, 정책정보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 [[대법원]] - [[https://efamily.scourt.go.kr/index_conn_limit.jsp|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 시스템]] * [[디지털원패스]] * [[교육행정정보시스템]]: 통칭 "나이스"로 불린다. * [[전자정부표준프레임워크]] * [[국민비서]]: 해당 국민과 관련된 행정 사항(코로나 백신 접종 예약 같은 것)을 휴대전화 문자와 인스턴트 메신저로 알람해주는 서비스. [[분류:전자정부]] [[분류:행정학]] [[분류:행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