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전자기파)] [목차] == 전자기파 스펙트럼 완성의 역사 == 당연하게도 인류가 가장 먼저 발견한 빛의 종류는 [[빛|가시광선]]이었다. 고대부터 빛에 대한 연구, 즉 광학은 계속되어 왔고, [[아이작 뉴턴]]이 빛에 대한 모든 것을 바꿔놓고 빛 스펙트럼을 발견한 [[17세기]]까지 다른 종류의 전자기파는 발견되지 못한 상태였다. 1800년에 [[윌리엄 허셜]]이라는, [[천왕성]]을 발견한 바로 그 과학자가 다른 파장의(색의) 빛에 따른 온도차에 대한 연구를 하려 [[프리즘]]의 빛 스펙트럼에 [[온도계]]를 갖다 대 보는데 가장 높은 온도가 알고 보니 빨간색 너머라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파장은 길수록 에너지가 낮은데 왜 파장이 긴 적외선의 온도가 가장 높냐 할 수 있는데, 이는 빛의 파장이 길수록 프리즘에서 굴절이 적게 일어나서 빛에너지가 흩어지지 않고 더 잘 모이기 때문이다.] 또 이 광선은 [[빛]]과 매우 흡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었다. 이걸 보고 '더 높은 열의 빛선'이라는 뜻으로 '''열선'''(calorific rays)이라 명명했고 이것이 후에 '''[[적외선]]'''으로 불리게 되는 광선이다. 이걸 보고 독일의 과학자 요한 빌헬름 리터는 1년 후 "빨간색 너머에 무언가가 있다면 보라색 너머에도 무언가가 있겠지?"라는 단순무식하면서도 설득력있는 생각으로 조사에 착수하기 시작했는데, 자외선은 적외선과 다르게 대부분이 지구의 오존층에 걸러져서 온도가 크게 낮아지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몇 번 다른 시도를 해 보다 염화은에다가 보라색 바깥의 무언 빛을 쐬니 빛보다 더[* 말린 염화은에 강한 빛을 쐬면 점점 검은색으로 변한다. 참고 동영상 [[http://youtu.be/8e0-AbwBDYM|#]]] 진하고 빠르게 검은색으로 변했는데, 이걸 화학적 효과를 발휘하는 빛 너머의 광선이란 의미로 '''화학선'''(chemical rays)이라 명명했고 이것이 후에 '''[[자외선]]'''으로 불리게 되는 광선이다. 1845년, [[마이클 패러데이]]가 빛이 자기장을 지나갈 때 빛이 자기화되는 효과를 발견하여전 자기력과 빛의 연관성에 대한 실마리를 얻었고, 1860년 [[제임스 맥스웰]]이 [[맥스웰 방정식]]을 유도하였고, 그 중 두 식은 [[전자기장]]에 의한 [[파동]]을 예언하는 식이었다. 그 식에 따르면 파동의 속도는 빛의 속도와 거의 같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전자기파와 빛이 같다는 것을 추정했고, 드디어 빛을 전자기파로 통합시키는 데 성공한 것이다. 1887년, [[하인리히 헤르츠]]가 맥스웰의 이론대로 실험을 설계하여 [[적외선]] 너머에 있는 [[전파]]를 감지해낸다. 그리고 전파 역시 빛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는 것을 알아냈고, 같은 방법으로 마이크로파를 발견해내며 전자기파라는 것이 실존한다는 것을 알아내고 이론적으로 증명했다. 이 공적을 인정받은 헤르츠의 이름에서 주파수나 진동수의 단위로 [[헤르츠]]라는 단위를 따오게 되었다. 그 후, 독일의 물리학자 [[빌헬름 뢴트겐]]이 [[1895년]]에 [[X선]]을 발견했다. 발견 당시의 재미있는 일화가 있는데, 원래 매우 신중한 성격에 강박증, 신경증까지 있었던 사람이었던 뢴트겐은 어느날 크룩스관을 이용하여 기체의 방전 현상을 연구하고 있었는데 [[바륨]]을 바른 마분지가 발광하는 걸 보게 된다. 이를 연구해보기 위해 책을 차폐막으로 썼다가 책 안에 책갈피로 끼워놓은 열쇠와 책을 든 자기 손 뼈가 투과되어 비치는 X선 현상을 처음 발견하게 되었다. 그걸 보고 '''혹시 자신이 미친 거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며 수 차례 다른 대상을 제물로 바쳐 확인을 한 뒤 그제서야 자신이 미치지 않았다는 걸 확신했지만, 학계 발표 중에서도 자신이 미치지 않았나 수 차례 의심했다고. 당연히 전세계에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고, 뢴트겐은 이 사건으로 인해 최초의 [[노벨물리학상]]을 받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뢴트겐 항목 참고. 1900년 프랑스 과학자 폴 빌라흐는 [[마리 퀴리]]가 발견했던 [[라듐]]의 방사선을 연구하다 [[감마선]]을 발견해냈는데, 그는 당시 감마선을 [[알파선]]이나 [[베타선]]보다 조금 멀리갈 뿐, 같은 종류의 입자방사선으로 생각했었다. 그리하여 1910년 윌리엄 헨리 브래그에 의해 감마선이 전자기파의 한 종류라는 것을 찾아냈고, 1914년 감마선이란 이름을 붙힌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에드워드 앙드레이드가 감마선이 X선 너머의 광선임을 발견했다. == [[전자기 추진 엔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자기 추진 엔진)] == 여러 매체에서 전자파 == * [[가면라이더 가이무]]의 [[스칼라 시스템]]은 [[이그드라실 코퍼레이션]] 전자파 병기이며, [[헬헤임의 숲]]의한 침식을 숨길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 대비하여 [[자와메 시]]를 불태워, 정보가 밝혀질 때까지의 시간을 벌기 위한 것이다. 지하 비밀보호소에 들어가면 도시가 사라져도 살아남을 수 있다. * [[컴배틀러V]]의 노래 후반부에 "소원을 담아서 전자파 빛난다~"라는 가사가 있어 [[오덕]]이 아닌 [[이과]]생들에게 [[컬쳐쇼크]]를 먹인다. 물론 가시광선도 전자기파니까 일단 맞는 말이다. * [[인류는 쇠퇴했습니다]]의 [[요정]]님들은 전자파가 오면 의욕을 상실해서 떠나버린다. * [[전파계]] * [[세계의 미스터리 미스터리 조사반]]에서는 전자기파의 공진 때문에 대규모 [[인체발화]]가 발생한다고 했다 * 유희왕에선 광파 컨셉으로 만든 [[카이토(유희왕 ARC-V)|카이토]]의 테마덱 [[사이퍼(유희왕)|사이퍼]]가 있다. * [[포켓몬스터]]의 기술인 [[전기자석파]]는 전자파의 한자를 풀어쓴 것이다. 일본명은 でんじは * [[용자왕 가오가이가]]의 [[기계31원종]] 중 하나인 [[거각원종]]이 전자파를 무기로 사용한다. 다만 흔히 생각하는 전기쇼크 같은게 아닌 바다를 절대영도로 얼리는 이색적인 사용법을 보여줬다. == 그 외 == [[위기탈출 넘버원]] 2005년 10월 22일 15회 방송분에서는 전자파의 위험성과 선인장, 산세베리아가 전자파 차단에 효과가 있을 지에 대한 내용을 방영했다. [각주]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전자기파, version=293)] [[분류:전자기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