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배우 전승훈, rd1=전승훈(배우))] [목차] == 개요 == 북한의 정치인, 공업 테크노크라트. == 생애 == 1951년 10월 27일, 황해남도에서 출생하여 김책공업대학을 졸업하였다. 1993년 3월, 정무원 금속공업부 국장에 임명되었으며 1995년 11월 흑색금속수출입회사 사장을 맡았다. 1998년 4월 정무원 금속공업부 부부장으로 승진했다. 1999년 9월, [[리종옥]] 장의위원을 지냈다. 1998년 7월, 10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선출, 9월의 최고인민회의 10기 1차 회의에서 [[홍성남]] 내각에서 전임 금속공업부장 김승현의 뒤를 이어 금속기계공업상에 임명되었다. 2003년 7월, 금속기계공업성 대표단장으로 러시아와 중국을 방문하였다. 2003년 9월 11기 최고인민회의가 소집되자 대의원에 선출, [[박봉주]] 내각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부총리|내각 부총리]]를 맡았다. 이때 박봉주, 부총리 [[로두철]], [[곽범기]]와 함께 경제개혁을 열성적으로 추진했다. 박봉주 내각이 숙청되고 [[김영일(1944)]] 내각이 출범할 때는 유임되었다. 2007년 12월에는 남북경제협력공동위원회 북측 위원장을 맡아 서울을 방문하기도 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8/0000038619?sid=117|#]] 그러다가 2009년 4월 12기 최고인민회의가 소집되자 부총리에서 해임되었다. 하지만 대의원에는 재선되었다. 2005년 10월, [[연형묵]] 장의위원, 2008년 10월, [[박성철(1913)|박성철]] 장의위원, 2009년 3월, [[홍성남]] 장의위원을 지냈다. 2011년 11월, 김태봉의 뒤를 이어 신임 금속공업상에 임명되었고 2012년 8월 18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내각 부총리에 다시 임명되었다. 이후 잠시 금속공업상을 유임했던 것으로 보이나 곧 한효연이 신임 금속공업상으로 등장했다. 2014년 13기 최고인민회의가 소집되면서 대의원에는 선출되었으나 내각 부총리에서는 다시 물러나고 [[오수용]]의 뒤를 이어 함경북도 책임비서로 이동했다. 2015년 11월, [[리을설]] 장의위원을 지냈다. 2016년 5월 7차 당대회가 개최되자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책임비서가 당위원장으로 개편되자 함경북도 당위원장으로 유임되었다. 그러다가 2017년 10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2차 전원회의]]에서 [[리히용]]에게 함경북도 당위원장 자리를 물려주었다. 이후 동정보도가 없었던 점에서 동 회의에서 당중앙위원회 위원에서도 소환되었을 것이다. 2019년 14기 최고인민회의에서 대의원도 탈락했다. == 참고문헌 == * 통일부 정세분석국 정치군사분석과, 『2020 북한 주요인사 인물정보』(서울: 통일부, 2020) [[분류:조선로동당 7기 중앙위원회 위원]] [[분류:조선로동당 함경북도 책임비서]] [[분류:조선로동당 함경북도 당위원장]] [[분류:북한 내각 부총리]] [[분류:북한 금속공업상]] [[분류:10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분류:1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분류:1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분류:1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분류:1951년 출생]] [[분류:황해남도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