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분류:일본 라이트 노벨/목록]] [include(틀: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2>
'''{{{#0088cc,#dddddd {{{+1 {{{#0f234d,#dddddd 전생}}}}}}했더니 {{{+1 {{{#07558c,#dddddd 슬라임이}}}}}}었던 {{{+1 {{{#0f234d,#dddddd 건}}}}}}{{{-1 에 대하여}}}}}}'''[br]{{{#0088cc,#dddddd {{{#0f234d,#dddddd 転生}}}{{{-1 したら}}}{{{#07558c,#dddddd スライム}}}{{{-1 だった}}}{{{#0f234d,#dddddd 件}}}}}}[br]{{{#0f234d,#dddddd {{{-1 That Time I Got Reincarnated as a Slim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전생슬1한국.webp|width=100%]]}}} || || '''{{{#ffffff,#dddddd 장르}}}''' ||[[이세계 전생물|{{{#0f234d,#dddddd 이세계 전생}}}]], [[판타지|{{{#0f234d,#dddddd 판타지}}}]], [[영지물|{{{#0f234d,#dddddd 영지}}}]], [[마왕물|{{{#0f234d,#dddddd 마왕}}}]] || || '''{{{#ffffff,#dddddd 작가}}}''' ||후세 || || '''{{{#ffffff,#dddddd 삽화가}}}''' ||밋츠바 || || '''{{{#ffffff,#dddddd 번역가}}}''' ||도영명 || || '''{{{#ffffff,#dddddd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마이크로 매거진[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소미미디어|{{{#0f234d,#dddddd 소미미디어}}}]] || || '''{{{#ffffff,#dddddd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GC 노벨즈[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S노벨|{{{#0f234d,#dddddd S노벨 플러스}}}]] || || '''{{{#ffffff,#dddddd 발매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4. 05. 30. ~ 발매 중[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5. 04. 15. ~ 발매 중 || || '''{{{#ffffff,#dddddd 웹 연재 기간}}}''' ||2013. 02. 20. ~ 2014. 07. 14. || || '''{{{#ffffff,#dddddd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1권 + 외전 2권[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권 + 외전 2권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라이트 노벨. 작가는 후세(伏瀬), 삽화가는 밋츠바(みっつばー). 일본 [[라이트 노벨]] 시리즈 누적 판매량 1위[* 2023년 3월말 누적판매량(4000만)을 밝히며 누적 3100만부로 오랜기간 1위를 하던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시리즈를 제치고 1위가 되었다.[* [[https://twitter.com/ten_sura_anime/status/1627158215334174721|출처]]]], [[소설가가 되자]] 종합 1위[* 원래는 [[무직전생]]이 2위인 [[흔해빠진 직업으로 세계최강]]과 4만포인트 이상의 차이로 압도적인 1위를 유지해 오고 있었으며 전생슬라임은 종합 4위, 완결 2위에 머물러 있었다. 그러다 애니화를 계기로 전생슬라임이 4위에서 1위로 순위가 급상승했다.]를 달성한 [[이세계]] [[전생]] [[판타지 소설]]이다. 다른 [[이세계]] [[전생]] [[판타지]]와 다르게 [[리무루 템페스트|주인공]]이 인간이 아니라 제목 그대로 '''[[슬라임]]'''으로 전생한 것이 특징으로 인간(주인공)과 마물(적)의 대립이 아닌 '''마물(주인공)과 인간(적)의 대립'''이 소설의 주가 된다. 다만 초반의 잉그라시아왕국전+성기사전과 중반의 제국전이 끝난 이후로는 후반전환점을 맞아 '''마물(주인공)+인간과 천사 세력(적)의 대립'''이라는 구상으로 바뀐다. 다만 천사 세력을 이긴 뒤의 외전 1, 2에서는 각각 사정은 다르지만 결국 '''마물세력의 일부와 인간측의 대립'''으로 돌아오긴 했다.[* 외전 1부는 전투력을 통한 것보단 장기적인 시점을 둔 경제 전쟁에 가까웠고 ~~결국 최종보스는 무력 제압으로 끝냈지만~~ 2부는 '''아예 다른 이세계'''(보면 알겠지만 원래 리무루 전생 때의 세계가 아닌 [[북두의 권]]급의 세기말 행성 파괴 직전의 세계다.)인데다가 여기선 그냥 '''사람끼리의 싸움이 중심'''이다. 그 사이에 벨드라와 라미리스가 간섭한 것뿐이고 리무루는 마지막에 이 둘을 데리러오는 김에 데우스 엑스 마키나~~정작 그 이름을 가진 건 베레타지만~~로 등장해서 세상을 살리고 떠난 것뿐.] 약칭은 일본에서는 전슬라(転スラ)가 가장 많이 쓰이며 한국에서는 '전생슬', '전슬건'도 사용되고 있다. == 줄거리 == ||
ある日通り魔に襲われて命を失った三上悟は、 天文学的確率で異世界へと転生する。 しかし生まれ変わった姿は、 なぜか最弱モンスターとして名高いスライムだった! 「こんなん認められるかー!?」 とか言いつつも、 見知らぬ洞窟でお気楽スライムライフを満喫するが・・・。 天災級のドラゴン『暴風竜ヴェルドラ』と遭遇したことにより、 運命は大きく動き出す! モンスター転生ファンタジー、ここに開幕! 어느날 갑자기 나타난 괴한에게 습격당해 목숨을 잃은 [[리무루 템페스트|미카미 사토루]]는, 천문학적 확률로 이세계에 전생한다. 그러나 왜인지 전생한 모습은, 최약체 몬스터로 유명한 슬라임이었다! 「이런 건 인정 못 해?!」 라고 말하면서도, 낯선 동굴에서 즐거운 슬라임 라이프를 만끽하지만... 천재급 드래곤 『[[베루도라 템페스트|폭풍룡 베루도라]]』와 만남으로써, 운명의 수레바퀴는 움직이기 시작했다! 몬스터 전생 판타지, 시작!|| === [[/웹 연재판|웹 연재판]] === 여기서 말하는 웹 연재판(혹은 웹소설판)은 정식 연재 전, [[소설가가 되자]] 사이트에서 연재 하던 무료 연재판을 말한다. 한국에서 유료로 판매되는 E북은 모두 종이책(서적판)으로 정식 연재하면서 리메이크 된 서적판의 내용을 그대로 웹에서 볼 수 있게 판매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명칭에 헷갈리지 않게 주의.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웹 연재판)] == [[/발매 현황|발매 현황]]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발매 현황)] == [[/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등장인물)] == [[/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설정)] == 인기 == 2010년대 중후반부터 유행하고 있는 [[일본식 이세계물]]의 대표적인 히트작이다. [[소설가가 되자]] 웹연재 시절부터 나름 인기를 끌던 작품이었으나, 단행본이 출시되고 애니메이션화가 되면서 인기가 폭발하였다. 지금은 [[소설가가 되자]] '''종합 1위'''[* 원래는 [[무직전생]]이 2위인 [[흔해빠진 직업으로 세계최강]]과 4만 포인트 이상의 차이로 압도적인 1위를 유지해 오고 있었으며 전생슬라임은 종합 4위, 완결 2위에 머물러 있었다. 그러다 애니화를 계기로 전생슬라임이 4위에서 1위로 순위가 급상승했다.]를 달성했다. 애니메이션화가 되면서 폭발적으로 유입이 늘어나고 원작도 잘 팔리게 됐지만, 결정적으로 코믹스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시리즈 누계 '''1,000만 부''' 돌파를 발표했다.[[https://bbs.ruliweb.com/family/211/board/300277/read/2174981|#]] 2018년 연간 코미컬라이즈 랭킹에서 독주한 것은 덤.[[https://book-rank.net/report/archives/382|#]] 1,000만부 중 대부분이 코믹스 판매량이지만, 어쨌든 상당한 성공을 거둔 셈. 2022년 1월 '''3,000만부를 돌파'''하였다. [[https://twitter.com/ten_sura_anime/status/1482968467951153159|#]] 이 기록은 시리즈 누계로 [[소드 아트 온라인]], [[슬레이어즈]],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를 뛰어 넘은 수치며, 이 작품보다 시리즈 판매량이 높은 [[라노벨]]은 이제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만 남았다. 다만 전생슬은 원작 판매량만을 비교하면 순위가 급락한다는 이례적인 경우에 해당하기도 한다. 결국 2023년 2월 19일을 기점으로 시리즈 '''누계 4000만부'''[* 일본 3500만부 + 글로벌 500만부]를 돌파해 라이트 노벨 시리즈 '''누계부수 1위를 갱신'''했다. 물론 보통 라노벨은 코믹스와 외전작품들에 설정집까지 포함해서 카운트하는 경우가 많긴 한데, 전생슬은 유독 원작 판매량이 낮다. 그럼에도 작품의 명성에 걸맞게, 주인공인 리무루는 대규모 캐릭터 인기투표인 [[국제 사이모에 리그]] 2019를 우승할 만큼 내용 뿐만 아니라 캐릭터 역시 독자들에게 잘 각인시키고 있다. 결론만 보자면 '''소설가가 되자 출신 일본식 이세계물에서 라이트 노벨과 코믹스, 애니메이션에서 모두 흥행에 성공을 거둔 몇 안되는 작품 중 하나.''' 또한 전생슬의 흥행 성공은 이후 '''이세계 인외 전생물의 유행 시작'''과 슬라임의 위상 상승 등 일본식 이세계물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 [[/비판|비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비판)] == 미디어 믹스 == === [[/코믹스|코믹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코믹스)] ===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애니메이션)] === 게임 === 현재 서비스중인 타이틀이 둘, 출시 예정인 타이틀이 하나 있다. 셋 다 모바일용. ==== 마국 연방 창세기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9GoISGhTfbk, width=100%)]}}} || 공식 홈페이지는 [[https://ten-sura-game.com/|여기.]] 부제는 마국 연방 창세기(魔国連邦創世記)라고 쓰고 로드 오브 템페스트(ロードオブテンペスト)라고 읽는다. 약칭은 스라텐(スラテン). 제작사는 [[https://gamegate.co.jp/|Gamegate.]] 아직은 일본에서만 출시되었다. 해외 출시 여부는 알려진 바 없다. ==== 몬스터의 왕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DBRBLclVm74, width=100%)]}}} || 부제는 중국어로는 魔物之王, 영어로는 King of Monsters라고 표기한다. 제작사는 [[http://ilongyuan.com.cn/index.php|龙渊网络.]][* 정식 사명은 成都龙渊网络科技有限公司. [[청두시|청두]] 소재. 해외에서는 Dragonest라는 이름을 쓴다. 중국 사이트와 글로벌 사이트가 있는데, 중국 밖에서는 중국 사이트로 접속해도 글로벌 사이트로 리디렉트된다.] 중화권 및 글로벌 출시가 이루어졌지만, 글로벌에 한국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한국 출시 여부는 알려진 바 없다.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마왕과 용의 건국담|마왕과 용의 건국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마왕과 용의 건국담)] === 콜라보레이션 === * '''[[시마 시리즈]]'''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ffffff,#dddddd 전생했더니 시마과장이었던 건에 대하여}}}'''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hum01-large.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07월 09일''' || }}} 대기업 종합 건설업자 근무 직장인, 미카미 사토루 37세(동정). 어느 날 불행하게도 괴한에 찔려 의식을 잃은 그는 눈을 뜨면서 슬라임으로 환생했다 – 가 아니라, 무려 그 일본 제일 유명한 샐러리맨 “島耕作([[시마 과장|시마과장]])”이 되있었다! 때는 1984년, 도쿄. 대기업 전기 메이커 덴산 [[시마 코사쿠]], 37세, 직책은 '과장'. 동갑인데 자신과는 전혀 다른 시마 코사쿠의 화려한 인생을 손에 넣고, 게다가 이 세계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은 모두 알고 있다는 설정의 스핀오프 코믹스. * '''[[닛신식품]]''' '''[[https://youtu.be/w9U_2qRd-4A|전생했더니 돈베 튀김소바였던 건에 대하여]]''' * '''[[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JMS|일본 메이플스토리]], 메이플M'''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생슬일본메이플콜라보.png|width=100%]]}}} || >애니메이션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와 일본 메이플스토리, 일본 메이플M의 콜라보레이션 결정! >게임 이벤트 기간 : 2021년 9월 1일 (수) 10:00 ~ 9월 20일 (월) 23:59 >콜라보 랜덤박스와 각종 콜라보 아이템도 등장할 예정!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생슬메이플캐릭.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생슬메이플아이템.png|width=100%]]}}} || >||<-2> '''{{{#ffffff,#ffffff 콜라보 아이템}}}''' || > [[https://www.inven.co.kr/board/maple/2299/7505045|콜라보아이템목록1]] [[https://www.inven.co.kr/board/maple/2299/7504679|콜라보아이템목록2]]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생슬메이플콜라보방송.jpg|width=100%]]}}}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의 주인공 [[리무루]]의 목소리를 담당하는 성우 [[오카사키 미호]] 씨를 게스트로 모시고, 콜라보레이션을 기념하여 '메이플스토리', '메이플스토리M'의 합동 생방송도 8월 25일(수) 20:30부터 진행 결정! 콜라보 이벤트 등, 신경이 쓰이는 정보를 한 발 앞서 공개할 예정! 또, 8월 25일 (수) 12:00에 특설사이트도 공개예정! * 프로그램명 : 전생슬 콜라보 기념! 메이플 합동 생방송~ 메이플과 전생슬이 콜라보했으면 최고였던 건에 대하여~ * 방송일시 : 2021년 8월 25일 (수) 20:30 ~ 22:00 (예정) * '''[[일곱 개의 대죄: GRAND CROSS]]'''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lO-kr9p0WTs,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리무르.jpg|width=100%]]}}} || [[일곱 개의 대죄: GRAND CROSS|넷마블 일곱 개의 대죄]]에서 2022년 4월 28일 두번째로 전생슬과의 콜라보를 진행하였다. 【오니】 슈나, 【옥타그램(팔성마왕)】 마왕 리무루=템페스트 캐릭터가 새로 출시되었다. *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 '''[[전생했더니 검이었습니다(애니메이션 1기)|전생했더니 검이었습니다]]''' ||
[[파일:전생검_전생슬_콜라보비주얼.jpg|width=100%]] || 같은 마이크로 매거진사(GC노벨즈)에서 연재중인 [[전생했더니 검이었습니다]]와 [[전생슬 극장판|극장판 홍련의 인연편]]의 콜라보 비주얼이 공개되었다.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H6trFLJAFq8, width=100%)]}}} || 인간이 아닌 무언가로 전생하고, 쓰러뜨린 상대의 능력을 흡수하며 [[시엘(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주인공의 내부에서 정보를 알려주고 전투와 능력치 상승을 도와주는 여성의 목소리]] 등 전생슬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이 많은 후배격 작품이라 그런지 이전에도 [[리무루]]가 홍보를 해준 적이 있었다. == 기타 == * 영어권 제목은 이전엔 'Regarding reincarnated to slime'을 사용했으나 애니메이션이 나온 후엔 'That Time I Got Reincarnated as a Slime'을 쓰고 있다. 다만 외국에서는 원제를 그대로 음차한 'Tensei Shitara Slime datta ken'이라는 제목을 더 자주 쓴다. * 일본에서는 텐스라(転スラ)라고 줄여쓰며[* 굳이 한국어로 옮기자면 '전슬라'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전생슬이라고 줄여서 사용한다. * 일본의 '아니메! 아니메!'에서 '애니메이션화 해주었으면 하는 라이트 노벨'이라는 주제로 앙케이트를 실시했는데 1위를 차지했다. * --편집자가 로리콘이다.--[* [[밀림 나바|밀림]]의 의상과 더불어 마물의 나라에서 사는 법에서 묘사되는 마물의 나라 의상이 현재의 의상이 되도록 압박하거나, 어린 클로에가 사라지는 건 슬프지 않냐는 등 여러모로 심상치 않다. 작가도 순간적으로 의심할 정도.] * [[오버로드(소설)|오버로드]]와 많이 비교되는데 한쪽은 전형적인 이세계 전생 먼치킨물이고 또다른 쪽은 피카레스크물인 것과 이세계 전생이랑 게임 속 이세계 전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두 작품 모두 영지물이면서 주인공이 마왕이라는 것과 주인공 진영이 주인공을 포함한 다수가 인간이 아닌 종족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작품에서 가장 강력한 세력이라는 점 등 비슷한 면이 많은데 이는 전생슬 작가인 후세가 오버로드 같은 종류의 작품들을 보고서 감명받아 글을 쓰면서 나온 작품이 전생슬이기 때문이다. * 이 작품은 웹 연재판, 서적판, 코믹스, 애니메이션으로 나뉘는데, 가끔 해당 작가들이 내용을 조금씩 캐조하면서 '''가끔씩 4개다 각각 다른 장면이 나오곤 한다'''--대환장파티--. * 작가인 후세가 이 작품에 대한 애정이 깊은지 전생슬 외에는 연재하는 작품이 없고 웹연재판 완결 이후에도 전생슬 서적판을 꾸준히 집필하고 전생슬 관련 미디어 믹스 시나리오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전생슬에만 집중하고 있다. [* 대부분의 소설가가 되자 출신 작품들이 꾸준히 연재되는 경우가 거의 드문 편을 고려하면 전생슬은 웹연재가 완결된 이후 라노벨과 코믹스가 꾸준히 연재되고 있는 중이다.] == 외부 링크 == * [[https://gcnovels.jp/slime/|특설 사이트]] * [[https://twitter.com/mitz_vah|밋츠바 트위터]] * [[https://www.nicovideo.jp/watch/1445482209|PV(니코동)]] * [[https://twitter.com/s_yogi|마물의 나라를 즐기는 법 작가 트위터]] * [[https://www.pixiv.net/users/1031352|마물의 나라를 즐기는 법 작가 픽시브]] * [[https://gall.dcinside.com/slaim|전생했더니 슬라임 갤러리]] * [[https://ten-sura-m.bn-ent.net/kr/|전생슬 - 마왕과 용의 건국담 홈페이지]] * [[https://twitter.com/ten_sura_anime|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공식 트위터]] == 둘러보기 == [include(틀:소설가가 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