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全山郡夫人 李氏. 생몰기간: 1764년 12월 19일 - 1819년 6월 4일. [[조선]] 후기의 왕족. 생전에는 왕족 신분이 아니었다. [[사도세자]]의 서자 [[은언군]]의 첩. (본부인은 상산군부인 송 마리아[* [[중국인]] 주문모 야고보 신부로부터 [[세례성사]]를 받고 [[가톨릭]] 신자가 되었으며, 1801년 [[신유박해]] 때 며느리인 평산군부인 신 마리아와 함께 [[순교]]했다.]이다.) 본관은 [[전주 이씨|전주]]. 1970년대에 [[경기도]] [[김포시|김포군]] 통진면에 있던 그녀의 묘소가 발견되고 비석 비문을 판독하면서 알려졌다. 그 덕인지 1980년대의 교과서나 역사서에는 [[전계대원군]]이 [[은언군]]의 본처 상산군부인 송 마리아의 아들인 것으로 기록된 역사서, 논문 자료들도 몇 있다. == 생애 == 본관은 [[전주 이씨]]라는데, 당시 조선은 [[중종(조선)|중종]] 이후로는 [[동성동본]] 금혼령이 거의 법처럼 적용되던 시대였다. 아버지는 전주 후인 유학 이덕희라고 김문근이 기록했는데, 계파는 불분명하다. 1779년 은언군의 첩이 되었으며, [[은언군]]이 [[홍국영]]의 [[상계군]] 입양 사건으로 탄핵, 유배당하기 전이었다. 아들 2명을 얻었는데 첫 아들은 일찍 죽고, 둘째 아들이 이쾌득, 훗날의 [[전계대원군]]에 추증되는 이광이다.[* 이름을 이쾌득에서 해동으로 고쳤다가 광으로 고쳤다.] 첫 아들이 승정원일기나 실록에 나오는 이철득인지, 아니면 이 아들과 이철득은 별개 인물이고 이철득은 [[은언군]]의 다른 첩이 낳은 인물로서 [[이성득(1775)]]의 친동생인지는 불분명하다.[* 이철득을 풍계군 이당으로 보자니 풍계군은 선원보략에 1783년생이고 철득은 전계대원군보다 5년 연상이라서 맞지 않는다.] 어찌 됐든 첫 아들은 일찍 죽었다. 이로서 전계대원군이 [[상계군]] 이담이나 [[풍계군]] 이당, [[이성득]]의 이복 동생인 것은 확인된 셈. 1819년 6월 4일 [[강화도]]에서 병으로 사망했다. 승정원일기에 보면 1819년 6월 5일[[http://sjw.history.go.kr/id/SJW-H19060050-02900|#]]과 6월 7일[[http://sjw.history.go.kr/id/SJW-H19060070-02300|#]]에 쾌득 생모의 죽음을 보고한 기사가 있다. 이로써 쾌득이 전계대원군의 30대 중반까지 쓰던 이름임이 밝혀졌다. 이쯤 되면 초명이라 보기도 힘들다. == 기타 == 반면 1817년에 고문으로 죽은 [[이성득(1775)|이성득]]의 생모는 1821년 12월 16일에 [[강화도]]에서 사망했으므로[[http://sjw.history.go.kr/id/SJW-H21120170-02700|#]], 이성득과 전계대원군은 이복형제임을 알 수 있다. 또 전산군부인은 1801년에 [[사약]]을 받고 순교한 상산군부인 송 마리아와는 동일인물이 될 수 없다. [[분류:조선의 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