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전사족]]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유희왕 러시 듀얼의 전사족, rd1=유희왕 러시 듀얼/종족, anchor1=전사족)] [include(틀:유희왕/OCG/종족)] ||<#fff> [[파일:E・HERO エアーマン.jpg|width=100%]] || || ['''전사족'''/효과] 카테고리를 가진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Type-Warrior-LOD2.png]]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ruby(戦士, ruby=せんし)][ruby(族, ruby=ぞく)]'''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전사족'''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Warrior'''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에 등장하는 종족. == 특징 == 드래곤족, 마법사족, 기계족 및 악마족과 함께 유희왕의 메인 종족이라 할 수 있는 종족. 마법사족과 함께 인간의 모습을 한 몬스터가 다수인 종족이지만, 미소녀 카드가 넘쳐나는 마법사족과는 달리 마초 이미지의 카드가 압도적으로 많다. 다른 게임이나 영화에서 접해온 검사, 전사, 영웅, 장군의 모습을 유희왕에 맞게 풀어놓은 만큼, 다양한 카드군이 존재한다. 속성은 땅 속성 카드가 가장 많으며, 어둠 속성과 빛 속성이 뒤를 잇는다. 개체 수는 이들에게 밀리지만 [[이그나이트]]/[[불꽃성기사]] 등 "전사족'''/화염 속성'''"이라는 형태로 긴밀한 지원을 공유하는 화염 속성/전사족 덱, 이른바 [[불전사]] 아키타입도 제법 괜찮은 완성도를 갖추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증원(유희왕)|증원]], [[전사의 생환]],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 같은 서포트 카드가 많고 그 수와 효과의 방대함으로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전사족은 안정적이고 평범한 비트 형식부터 [[엘리멘틀 히어로]] 같은 강력한 융합 형식, [[듀얼 스파크]]를 응용하는 [[히어로 비트]], [[히로익]]과 같은 무식한 단판 승부형, [[RUM]]을 이용해 자신을 진화시켜 싸우는 [[유토피아(유희왕)|유토피아]]나 [[테라나이트]]와 같은 운영형, [[강귀]]나 [[팬텀 나이츠]]같은 고속 전개형 등 여러 가지 타입이 있고 승률 또한 높아 우승 덱에 이름도 많이 올린다. 전사족의 범위 자체가 매우 넓어서 왠지 전사족이 아닐 것 같은 카드가 전사족인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신체가 인간형에 가까우면 기본적으로 전사족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아도 좋고, 심하면 [[헝그리 버거(유희왕)|전사족인 햄버거]]도 있을 정도. == 소속 카드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성기사왕 아서.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그나이트 어벤져.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마조네스 카이제린.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새털라이트 워리어.png|width=100%]]}}} || || '''[[성기사(유희왕)|{{{#595B69 성기사}}}]]'''[br]{{{-2 예시 : [[성기사(유희왕)#신성기사왕 아르토리우스|{{{#595B69 신성기사왕 아르토리우스}}}]]}}} || '''[[이그나이트|{{{#595B69 이그나이트}}}]]'''[br]{{{-2 예시 : [[이그나이트#이그나이트 어벤져|{{{#595B69 이그나이트 어벤져}}}]]}}} || '''[[아마조네스(유희왕)|{{{#595B69 아마조네스}}}]]'''[br]{{{-2 예시 : [[아마조네스(유희왕)#아마조네스 카이제린|{{{#595B69 아마조네스 카이제린}}}]]}}} || '''[[워리어(유희왕)|{{{#595B69 워리어}}}]]'''[br]{{{-2 예시 : [[새털라이트 워리어|{{{#595B69 새털라이트 워리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방기사.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A 필드제너럴.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엘프 성검사.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엘리멘트세이버 위라드.png|width=100%]]}}} || || '''[[암흑 기사 가이아(유희왕/카드군)|{{{#595B69 암흑 기사 가이아}}}]]'''[br]{{{-2 예시 : [[마방 기사 가이아|{{{#595B69 마방 기사 가이아}}}]]}}} || '''[[U.A.|{{{#595B69 [ruby(U.A., ruby=울트라 애슬리트)]}}}]]'''[br]{{{-2 예시 : [[U.A.#U.A. 필드 제너럴|{{{#595B69 U.A. 필드 제너럴}}}]]}}} || '''[[엘프 검사(유희왕/카드군)|{{{#595B69 엘프 검사}}}]]'''[br]{{{-2 예시 : [[엘프의 성검사|{{{#595B69 엘프의 성검사}}}]]}}} || '''[[엘리멘트세이버|{{{#595B69 엘리멘트세이버}}}]]'''[br]{{{-2 예시 : [[엘리멘트세이버#엘리멘트세이버 위라드|{{{#595B69 엘리멘트세이버 위라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디언 비사광.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진 여섯무사 shien.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초전사 카솔.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윾토피아 2nd일러.jpg|width=100%]]}}} || || '''[[카디언|{{{#595B69 카디언}}}]]'''[br]{{{-2 예시 : [[카디언-비사광-|{{{#595B69 카디언-비사광-}}}]]}}} || '''[[여섯 무사|{{{#595B69 여섯 무사}}}]]'''[br]{{{-2 예시 : [[진 여섯 무사-Shi En|{{{#595B69 진 여섯 무사-Shi En}}}]]}}} || '''[[카오스 솔저(유희왕/카드군)|{{{#595B69 카오스 솔저}}}]]'''[br]{{{-2 예시 : [[초전사 카오스 솔저|{{{#595B69 초전사 카오스 솔저}}}]]}}} || '''[[유토피아(유희왕)|{{{#595B69 유토피아}}}]]''' / '''[[호프(유희왕)|{{{#595B69 호프}}}]]'''[br]{{{-2 예시 : [[No.39 유토피아|{{{#595B69 No.39 유토피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갈 도굴단.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접 호랑나비.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귀 썬더 오우거.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침묵의 검사.png|width=100%]]}}} || || '''[[전갈(유희왕)|{{{#595B69 전갈}}}]]'''[br]{{{-2 예시 : [[전갈(유희왕)#전갈 도굴단|{{{#595B69 전갈 도굴단}}}]]}}} || '''[[환접의 자객|{{{#595B69 환접의 자객}}}]]'''[br]{{{-2 예시 : [[환접의 자객#환접의 자객 호랑나비|{{{#595B69 환접의 자객 호랑나비}}}]]}}} || '''[[강귀|{{{#595B69 강귀}}}]]'''[br]{{{-2 예시 : [[강귀#강귀 썬더 오우거|{{{#595B69 강귀 썬더 오우거}}}]]}}} || '''[[사일런트 스워드맨|{{{#595B69 사일런트 스워드맨}}}]]'''[br]{{{-2 예시 : [[사일런트 스워드맨#침묵의 검사-사일런트 스워드맨|{{{#595B69 침묵의 검사-사일런트 스워드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비전 히어로 트리니티.jpg|width=100%]]}}} || || '''[[엘리멘틀 히어로|{{{#ffffff 엘리멘틀 히어로}}}]]'''[br]{{{-2 예시 :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ffffff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 || '''[[데스티니 히어로|{{{#ffffff 데스티니 히어로}}}]]'''[br]{{{-2 예시 :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ffffff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 || '''[[마스크드 히어로|{{{#ffffff 마스크드 히어로}}}]]'''[br]{{{-2 예시 :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ffffff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 '''[[비전 히어로|{{{#ffffff 비전 히어로}}}]]'''[br]{{{-2 예시 : [[비전 히어로 트리니티|{{{#ffffff 비전 히어로 트리니티}}}]]}}} || ||<-4> '''[[히어로(유희왕)|{{{#ffffff 히어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속만병 리드블로.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트리크 바운서.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기사 티마이오스.png|width=100%]]}}} || || '''[[네오스|{{{#ffffff 네오스}}}]]'''[br]{{{-2 예시 :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ffffff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 '''[[BK(유희왕)|{{{#595B69 [ruby(BK, ruby=버닝나쿠라)]}}}]]'''[br]{{{-2 예시 : [[BK 구속만병 리드블로|{{{#595B69 BK 구속만병 리드블로}}}]]}}} || '''[[바운서(유희왕)|{{{#595B69 바운서}}}]]'''[br]{{{-2 예시 : [[포톤 스트리크 바운서|{{{#595B69 포톤 스트리크 바운서}}}]]}}} || '''[[레전드 오브 하트|{{{#595B69 전설의 기사}}}]]'''[br]{{{-2 예시 : [[레전드 오브 하트#전설의 기사 티마이오스|{{{#595B69 전설의 기사 티마이오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괴검 마스터.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히로익 챔피언 론고미언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티어스케일.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장전사 반드래.png|width=100%]]}}} || || '''[[버스터 블레이더(유희왕/카드군)|{{{#595B69 버스터 블레이더}}}]]'''[br]{{{-2 예시 : [[파괴검 마스터-버스터 블레이더|{{{#595B69 파괴검 마스터-버스터 블레이더}}}]]}}} || '''[[히로익|{{{#595B69 히로익}}}]]'''[br]{{{-2 예시 : [[No.86 H-C 론고미언트|{{{#595B69 No.86 H-C 론고미언트}}}]]}}} || '''[[팬텀 나이츠|{{{#595B69 팬텀 나이츠}}}]]'''[br]{{{-2 예시 : [[팬텀 나이츠#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595B69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 || '''[[마장전사|{{{#595B69 마장전사}}}]]'''[br]{{{-2 예시 : [[마장전사#마장전사 반드래|{{{#595B69 마장전사 반드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메테오라곤.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테라나이트.jpg|width=100%]]}}} || || '''[[워크라이(유희왕)|{{{#595B69 워크라이}}}]]'''[br]{{{-2 예시 : [[워크라이(유희왕)#워크라이 메테오라곤|{{{#595B69 워크라이 메테오라곤}}}]]}}} || '''[[테라나이트|{{{#595B69 테라나이트}}}]]'''[br]{{{-2 예시 : [[테라나이트#스테라나이트 델타테로스|{{{#595B69 스테라나이트 델타테로스}}}]]}}} || === 시리즈(카드군 미지정) === * [[고요우]] * [[트럼프의 삼기사]] * [[기사 가이아]] * [[미스틱 스워드맨]] * [[전설의 어부]] * [[히어로(유희왕/카드군 미지정)|히어로(카드군 미지정)]] * [[엑스트라 히어로]] * [[기어프리드]] === 미OCG화 === ==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애니메이션]]에서 == 원작 및 애니메이션 등장인물 대부분이 고르게 사용한 종족이다. DM에서는 [[어둠의 유우기]]의 [[엘프 검사]], [[암흑 기사 가이아]], [[카오스 솔저]], [[트럼프의 삼기사]], [[버스터 블레이더]] 등이 있고, [[무토우 유우기]] 역시 [[사일런트 스워드맨]]을 주력으로 사용한 만큼, 양쪽 주인공 모두에게 사랑받은 종족이다. [[죠노우치 카츠야]]는 붉은 눈의 흑룡이나 사이쿄 쇼커등이 대표적인 에이스로서 이미지 잡혀있었지만 덱 테마 자체는 [[화염의 검사]], [[길포드 더 라이트닝]], [[철의 기사 기어프리드]] 등 전사족 카드가 중심이였다. 반면 [[카이바 세토]]는 [[푸른 눈의 백룡]]을 중심으로 한 드래곤족 덱이다 보니 전사족 카드의 채용률이 낮았다. 전사족을 중심적으로 다루는 캐릭터는 다음과 같다. * 사용 캐릭터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어둠의 유우기]], [[죠노우치 카츠야]], [[그리모]] * [[유희왕 R]]: [[키타모리 레이코]]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우키 쥬다이]]''', '''[[에드 피닉스]]''', [[돈 잘우그]], [[타니아(유희왕)|타니아]], [[고카이도 호잔]] * [[유희왕 5D's]]: [[후도 유세이]], [[질 드 랜스보]], [[미조구치]] * [[유희왕 ZEXAL]]: [[츠쿠모 유마]], [[아리트]], [[야미카와]], [[고슈]], [[드로와]], [[쿠니타치 카케루]] * [[유희왕 ARC-V]]: [[카치도키 이사오]], [[유토(유희왕)|유토]], [[토쿠마츠 쵸지로]], [[츠키카게(유희왕)|츠키카게]] * [[유희왕 VRAINS]]: [[오니즈카 고]](강귀 버전), [[쿠사나기 쇼이치]] == [[유희왕 듀얼링크스]] == 많은 티어덱을 배출한 정통의 강호 종족. 오프라인, 애니에서 드래곤, 마법사와 함께 3대 주력 종족인 것처럼 듀링에서도 정말로 강력하다. 오히려 앞선 드래곤, 마법사 이상으로 지원을 받았다. 전사족이 표지를 장식한 팩만 해도 '''16팩'''이나 되어 드래곤 다음으로 많고 전용 스트럭처도 '''8개'''나 나오고 주력 사용자가 '''5명'''이나 된다.[* 물론 제대로 폭넓게 전사족을 지원하는건 조이뿐이다. 주다이와 에드는 전사족이라기보단 '히어로'를 지원하는 것이고 메이도 '아마조네스'를 지원하는 것. 조이(DSOD)는 전사족도 지원하긴 하지만 붉은 눈 지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마스크드 히어로, 성기사, 아마조네스, 첩자, 사이퍼 스카우터를 이용한 반사 덱까지 랭크 게임에서 활약한 전사족 테마만 해도 수두룩하며, 최근엔 전사족용 침사매인 침묵의 검사-사일런트 스워드맨도 등장했다. 2019년 4월엔 [[WARRIORS UNITE]]를 통해 역대급 지원을 받은 여섯 무사가 0티어를 차지한 적이 있고, 같은 4월 달에 네오스 스트럭처가 발매되어 네오스 퓨전을 어리석은 매장처럼 사용하는 덱이 많아져 여섯 무사랑 네오스를 용병으로 채용하는 덱이 최상위권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특히 네오스 덱은 그야말로 브레이브 네오스의 경이로운 소재 범위로 인해 네오스 굿 스터프 덱들이 수도 없이 생산되었다가 네오스 퓨전이 제한 2를 받고서야 사라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오스-소환수가 등장하는 등 소스로도 아직도 잘 쓰였었다. 그리고 2020년 1월 [[히로익|H•C]]와 [[정크(유희왕)|정크]] [[워리어(유희왕)|워리어]]에 이어 셀렉션 팩에서는 [[고요우 가디언]]과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까지 나왔다. 하지만 이때의 고요우 가디언은 위험도가 낮아진 상태였고, 히어로도 특유의 내성 부족으로 인해 티어권에서 밀려나게 되었다. 그러던 중 2021년 [[TALES OF THE NOBLE KNIGHTS]]에서 성기사 엑시즈 몬스터들, [[INFINITE RAY]]에서 신성기사왕 코르네우스등의 성기사 서포트가 추가되면서 티어권을 주름잡았다. 밸런스 스킬이 너프되면서 티어권에서 밀려나가긴 했지만, 제법 큰 활약을 했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종족, version=1395, paragraph=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