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전사족)] [목차] == 설명 ==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戦士の生還(DR0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전사의 생환, 일어판 명칭=戦士(せんし)生還(せいかん), 영어판 명칭=The Warrior Returning Alive, 효과1=①: 자신 묘지의 전사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전사족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전사족]] 전용 [[샐비지]] 카드로, [[증원(유희왕)|증원]]과 함께 전사족의 풍부하고 질 좋은 서포트를 대표해주는 카드 중 하나이다. 이 카드의 존재 덕분에 전사족 특화덱이라면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죽은 자의 환생]] 따위는 종이조각에 불과하다. 물 속성 서포트인 [[샐비지(유희왕)|샐비지]]에 비해 회수하는 장수는 딸리지만 그래도 패 장수를 손해볼 일은 없으며, 샐비지와는 달리 회수하는 몬스터에 제한이 없어서 전사족이기만 하면 무조건 다시 끌고오는 게 가능하다. [[전사족]] 자체가 카드가 많고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 [[반란 용병 부대]]처럼 유용한 카드가 많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그 활용도는 그야말로 무궁무진하다. 과거에 [[카오스 솔저 -개벽-]]이 판을 치던 시기에는 카오스 솔저를 죽여도 이걸로 계속 끌고와서 몇번이고 부활시키는 전략이 강력했다. 물론 이제는 개벽을 히든 카드로 채용하지 개벽을 위해서 덱을 짜는 경우는 별로 없는지라 원래 광암 전사족 덱이었던 경우가 아닌 이상 개벽을 회수해오는 모습은 보기 힘들다. 애초에 개벽은 소생 제약이 없으니 꼭 이게 아니더라도 [[죽은 자의 소생]]이나 무제한으로 풀린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를 써도 된다. 한편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나 [[라이트레이 기어프리드]]처럼 소생 제약이 걸린 특수 소환 몬스터의 재활용에는 이 카드가 필수적이다. 라이트레이 기어프리드의 경우 보통 한번 소환 조건이 충족되면 또 바로 튀어나갈 수 있는지라 이 카드가 거의 죽은 자의 소생이나 다름이 없다. 효율이 좋은 편은 아니지만, [[증원(유희왕)|증원]]에 대응하지 않고 덱에서 서치가 힘든 전사족 몬스터를 어떻게든 서치하고 싶을 때 먼저 묘지에 떨어뜨려 놓고 이 카드로 건져오는 식으로 패에 넣는 응용도 가능하다. 일러스트에서 너덜너덜해져 살아 돌아온 전사는 [[선봉 대장]].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도마 편|도마 편]]에서 [[그리모]]가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 [[흑마족 부활의 관]]에 의해 허망하게 묘지로 간 [[전사 다이 그레퍼]]를 샐비지했다. 이후 [[죠노우치 카츠야]] 또한 [[쿠자크 마이]]와의 리매치 듀얼에서 사용하여 [[푸른 화염의 검사]]를 샐비지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전사족 사용 비율이 높은 [[유우키 쥬다이]], [[텐죠인 아스카]] 등이 사용했다. [[유희왕 5D's]] [[유희왕 5D's/포츈 컵 편|포츈 컵 편]]에서는 [[질 드 랜스보]]가 [[이자요이 아키]]와의 듀얼 중 사용. [[질 드 랜스보#마스크드 나이트 LV3|마스크드 나이트 LV3]]를 회수했다. [[유희왕 ARC-V]]에서는 [[글로리아 타일러&그레이스 타일러|그레이스 타일러]]가 [[코즈키 알렌]]&[[사사야마 사야카]]과의 태그 듀얼 중 사용. 파트너인 글로리아의 묘지에서 [[아마조네스(유희왕)#아마조네스의 척후|아마조네스의 척후]]를 회수했다. [[유희왕 VRAINS]] 23화에서는 [[오니즈카 고]]가 구성 중인 덱에 있는 카드로 확인되었다. === [[유희왕 러시 듀얼|러시 듀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사의 생환(유희왕 러시 듀얼))] == 관련 카드 == === [[증원(유희왕)|증원]] === === [[구마의 표]] === [[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