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에 개업 예정인 경전선의 역, rd1=혁신도시역)] [include(틀:계획취소)] ||<-6> {{{+2 '''전북혁신역'''}}} || ||<-6> [include(틀:지도, 장소=35.817138 126.931583, 너비=100%, 높이=250px)] || ||<-6> '''다국어 표기''' || ||<-2> [[영어]] ||<-4> Jeonbuk Innovation City || ||<-2> [[한자]] ||<-4> 全北革新都市 || ||<-2> [[중국어]] ||<-4> 全北革新都市 || ||<-2> [[일본어]] ||<-4> [ruby(全北, ruby=チョンブク)]革新都市 || ||<-6> '''주소''' || ||<-6> [[전라북도]] [[김제시]] 콩쥐팥쥐로 272(순동) || ||<-6> '''열차거리표''' || ||<-2> [[오송역|{{{#!html
오송 방면}}}]][[익산역|익 산]][br]← 13.8 km ||<-2> '''[[호남고속선]]'''[br]~~전북혁신~~[br]{{{#red (계획취소)}}} ||<-2> [[목포역|{{{#!html
목포 방면}}}]][[정읍역|정 읍]][br] 28.3 km → || [목차] [clearfix] == 개요 == [[김제시]]와 [[완주군]]이 [[호남고속선]]상에서 신설을 추진했던 역. [[전주시]]는 관심없었다. 국토부 사전타당성조사 결과 경제성이 없어 무산되었다.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2030515|#]] == 논란 == [[호남고속선]]의 위치 선정이 애매하게 된 것이 문제점이다. 인구가 많은 [[전주시]] 방향으로 선로가 가는 것도 아니라서 전주시는 관심도 없었고, 기존에 있던 호남고속선 [[익산역]]과 [[정읍역]] 사이 역을 신설하는 안이라서 가까운 [[김제시]]와 [[완주군]]만 찬성했던 안 이었다. [[https://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822957.html|#]] [[익산시]]는 결사 반대했다.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180604_0000327049|#]] 사전타당성 결과 무산되었지만,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120595|#]] 여전히 김제시에서는 KTX 혁신역 신설을 주장하고 있다. [[https://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77022|#]] === 찬성 입장 === [[파일:1144065_217843_2054.jpg]] 전북혁신도시의 교통로 확보와 서쪽의 새만금 사회간접자본 시설과의 종합적 시너지 효과 유발, 역세권 개발을 통한 지역발전 도모 그리고 고속철도 역이 위치하게 될 김제시다. [[https://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822957.html|#]] === 반대 입장 === [[파일:2017120900042_0.jpg]] 고속선 치고는 역간 거리가 너무 짧은 것이 대표적인 단점으로 지적받았다. [[오송역]] - [[세종역]]의 관계보다 더 최악인데, 수요 구조상 둘 중 선택 정차가 가능한 두 역에 비해 선택정차역을 고르기에는 다들 [[오십보백보|고만고만한]] 역이라는 것이 단점. [[전주역]]의 수요를 담당하려면, [[전라선]] [[KTX]]를 폐지를 전제로 하지 않는 이상 수요 갈라먹기에 지나지 않는다는 입장이었다. 게다가 인접한 [[익산역]]의 수요를 갈라먹는다는 것도 큰 문제. 따라서 [[익산시]] 입장에서는 굉장히 반대했다. 가장 큰 문제는, 혁신도시역이 지어지면 '''고속철의 의미가 사실상 없어질 정도로 시간이 길어진다.''' 그리고 애초에 위치가 [[김제시]]고 거리도 어중간해 [[전주시]] 수요를 거의 못 가져가게 된다. 전북혁신역이 가치가 있으려면 익산역의 익산수요+장항선, 전라선 등의 환승 수요보다 더 커야 함인데, 혁신도시역은 분기되는 철도도 없고, 위치도 애매해서 많은 수요가 있기 힘들었던 것으로 보였다. 또한 도미노 현상처럼 논산이나 세종에서 요구하는 논산훈련소역이나 [[세종역]]을 지어달라는 요구가 더욱 심해질 것이다. 마지막으로 저기에 역을 짓는다 한 들 전주시가 대중교통 인프라를 제공 해 줄지가 의문이다. 전주역 방면으로 증편을 했으면 했지 절대 김제시, 그것도 면 지방도 아니고 동 지방에 버스를 넣지는 않을 것. 그렇다고 김제시가 여기에 증편해 줄 여력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접근성이 확연히 떨어지기 때문에 제 2의 공주역이 될 가능성이 높았다. 자차의 경우 전주혁신역이 필수정차역도 아니고 그렇다고 거리가 크게 가까운 것도 아니니 굳이 여기로 갈 이유가 없었다. 결국 이 역으로 '''제일 이득을 보는 것은 전주시가 아니라 김제시'''인데, 역명 때문에 생각도 없는 '''전주시가 욕을 다 먹고 있는 상황'''이라 볼 수 있다.[* 댓글을 보면 전주시를 욕하는 댓글이 대다수다. [[http://www.jjan.kr/2030515|#]]] [[분류:계획이 무산된 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호남고속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