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청사)] ||<-3> [[전북특별자치도|[[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svg|width=50]]]][br]{{{+2 {{{#000 '''전북특별자치도청'''}}}}}}[br]{{{#000 全北特別自治道廳 | Jeonbuk State Government}}}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라북도청.jp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전북도청, 너비=100%)]}}} || || '''슬로건''' ||<-2>'''새로운 전북, 특별한 기회''' || || '''주소''' ||<-2>[[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255[br]([[효자동3가]]) || || '''국가''' ||<-2>[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광역시도''' ||<-2>[[전북특별자치도]] || || '''직원 수''' ||<-2>1,306명[* 국가직 공무원 제외] || || '''예산''' ||<-2>9조 8,618억 원 ([[2023년]]) || || '''도지사'''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김관영]] {{{-2 (초선)}}}[* 민선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8]]기] || || '''부지사''' ||<-2>[[임상규(1966)|임상규]] {{{-2 (행정)}}}[br][[김종훈(1967)|김종훈]] {{{-2 (경제)}}} || ||<-3> [[https://www.jeonbuk.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jeonbuk.kr|[[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jeonbuksta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blog.naver.com/jbgokr|[[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북특별자치도]]의 [[도청(행정)|도청]]으로, 주소는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225 (효자동3가)이다. [[서부신시가지]] 안에 있다. 도청을 견제하는 [[전북특별자치도의회]] 또한 도청과 같은 부지에 위치한다. == 역사 == [[1896년]] [[13도제]]가 실시되며, 구 [[전라도]]가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로 분리되며 출범했다. 이때 당시의 도청사는 '''전'''라도의 "전"을 맡고있는 도시답게 8도제가 실시되던 당시 전라도 전체와 [[제주도]]까지 관할하던 전라[[감영]] 청사를 그대로 전라북도 관찰부로 사용하게 되었다. [[파일:전북도청1911.jpg|width=100%]] 그러던 중 [[1910년]] [[경술국치]]를 거치며 이전에 [[한국통감부]] 명령으로 세워진 전주[[세무서|세무감독국]] 건물로 이전하게 되었다. 위의 사진이 전주세무감독국의 청사로 통감부령으로 지어진 건물답게 건물 정면에 [[일장기]]로 장식된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건물은 현재 경원동 3가 일대에 있었다고 전해지나, 현존하지 않으며 [[1911년]] 이 청사로 이전한 전북도청은 불과 10년만에 이 시기 [[조선총독부]] 예하 여느 지방관청들처럼 청사 협소문제를 겪으며 새로운 청사를 신축하게 되었으며, 이때 지은 청사가 [[2005년]]까지 쓰이게 되는 구 전북도청 청사다. || [[파일:전북도청 1928.jpg|width=100%]] || || [[1928년]]의 전북도청 || 이 신축청사는 경복궁을 헐고 세운 [[조선총독부 청사]]와 비슷하게 '''이전의 전라감영의 전각 일부를 헐며 만든 부지에 세운 건물'''로 이 건물의 공사를 위해 이전 전라감영의 전각은 전라감사가 집무를 보던 건물인 선화당 등 핵심적인 건물을 제외하고는 거의 헐리게 되었다. 어쨌든 이 새로운 도청사는 이전의 협소문제를 완벽히 해결하고 [[광복]]은 물론 그 이후까지도 도청 청사로 활용되나, [[6.25 전쟁]] 도중이던 [[1951년]], 도청사와 같이 있던 [[전라북도경찰청|도경]] 무기고 [[화재]]로 인하여 전소되었고, 이 때 이전 전라감영의 마지막 흔적이던 선화당마저 잿더미가 되는 사고가 벌어진다. 한편, 이 당시 도의회에선 도청 건물을 어디에 새로 지을것인가가 이슈가 되었으며, [[익산시|이리]] 출신 도의원들이 도청의 이리이전을 발의하였으나 1표차로 부결되었으며 결국 이전 위치와 같은 곳에 재건하게 된다. || [[파일:전북도청 1972.jpg|width=100%]] || || [[1972년]]의 전북도청 || 이전 위치와 같은 곳에 같은 설계로 지어졌으나, 이전과 달라진 점은 전쟁 당시 어려운 도 예산상 기와를 올린 모양의 지붕이 생략되었다. || [[파일:구전북도청.jpg|width=100%]] || || 이전 직전의 전북도청 || 이후 [[2005년]], 50여 년간 사용되며 건물의 노후화와 청사의 협소문제로 이전을 단행하게 되었고, 도청의 새로운 입주지는 전주의 신도심 서부신시가지로 결정되었으며, 도청이 그곳으로 이전한 후로부터 구 청사에 대해 보존이냐 철거 후 전라감영 복원이냐 갑론을박이 있었다. 결국 전라감영 복원으로 결론나면서 2015년 구 전라북도청 청사는 헐리게 되었으며 현재 이 자리엔 복원이 완료된 전라감영이 위치하여 있다. 그리고 과거 도청 소재지였음을 알리기 위해 철거된 도청 잔해가 남아 있다. == 청사 == ||<-3>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width=50]][br]{{{+2 {{{#ffffff '''전북특별자치도 신청사'''}}}}}}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5전북도신청사.jpg|width=100%]]}}} || ||<-2>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255 || ||<-2> '''용도''' || [[도청(행정)|업무시설]] || ||<-2> '''착공''' || 2001년 10월 || ||<-2> '''준공''' || 2005년 5월 || ||<|4> '''규모''' || {{{-1 '''대지면적'''}}} || 103,387㎡ || || {{{-1 '''건축면적'''}}} || 14,884.55㎡ || || {{{-1 '''연면적'''}}} || 85,316.97㎡ || || '''층수''' || 지하 2층, 지상 18층 || ||<-2> '''높이''' || 92m || ||<|2> '''건설''' || '''설계''' || 반도종합건축사사무소 || || '''시공''' || [[금호건설|[[파일:금호건설 CI(1986-2006).svg|height=15]]]] ㅤ[[성원건설|[[파일:성원건설 로고.svg|height=15]]]] || 중앙동 기존 청사가 좁고 낡은 탓에 1990년대 중반부터 도청 이전이 논의됐고 결국 [[전주시]] [[삼천#만경강의 지류|삼천]] 서부 [[효자동(완산구)|효자동]] 일대에 [[서부신시가지]]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옛 대한방직 전주공장 남쪽 부지에 도청과 도의회를 옮기기로 했다. 도청과 도의회가 이전된 후 [[전북지방경찰청]]과 [[KBS전주방송총국]]도 함께 도청 인근 부지로 이전하면서 명실상부 전북과 전주를 대표하는 행정타운이 됐다. 2024년 1월 전라북도가 [[전북특별자치도]]로 개편을 앞두면서 정면 중앙부분의 우측 상단에 전북특별자치도 로고가 청사에 새겨졌다. == 조직 == [[http://www.jeonbuk.go.kr/index.jeonbuk?menuCd=DOM_000000106004001000|해당 홈페이지]]로. === 휘하 시/군청 === [include(틀:전라북도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 산하기관 === [include(틀:전라북도 산하기관)] == 역대 도지사 == [include(틀:역대 전북특별자치도지사)] * [[전북특별자치도지사]] 참조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효자로전라북도도청(30667)'''}}}}}} {{{#!wiki style="text-align: center" 유로병원 방면 }}} || ||<-2> '''[[전주시 시내버스]]''' || || [[순환버스|{{{#ffffff 순환노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BAC04; font-size: .95em" [[전주 버스 6|{{{#ffffff 6(전주대)}}}]]}}} || || [[시내버스|{{{#ffffff 시내노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BAC04; font-size: .95em" [[전주 버스 104|{{{#ffffff 104(전주교도소)}}}]]}}}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BAC04; font-size: .95em" [[전주 버스 165|{{{#ffffff 165(이서회차지)}}}]]}}} || || {{{#ffffff 삼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BAC04; font-size: .95em" [[전주 버스 355|{{{#ffffff 355(전주대학교)}}}]]}}} || ||<-2> '''[[김제시 시내버스]]''' || || {{{#ffffff 공덕ㆍ백구용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8000; font-size: .95em" [[김제 버스 26|{{{#ffffff 26(시청오거리)}}}]]}}} || }}} ||<-2>
{{{+1 {{{#373a3c,#dddddd '''홍산로전북도청(30712)'''}}}}}} {{{#!wiki style="text-align: center" 홍산로 경찰청 방면 }}} || ||<-2> '''[[전주시 시내버스]]''' || || [[시내버스|{{{#ffffff 시내노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BAC04; font-size: .95em" [[전주 버스 61|{{{#ffffff 61(비전대학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BAC04; font-size: .95em" [[전주 버스 200|{{{#ffffff 200(기린봉)}}}]]}}} || || {{{#ffffff 간선노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BAC04; font-size: .95em" [[전주 버스 3001, 3002|{{{#ffffff 3001(송천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BAC04; font-size: .95em" [[전주 버스 3001, 3002|{{{#ffffff 3002(송천동)}}}]]}}} || == 관련 문서 == * [[한국 건축]] * [[전북특별자치도]] * [[전주시]] * [[완산구]] * [[도청(행정)]] * [[지방관청]] * [[전북특별자치도의회]] * [[전북특별자치도지사]] * [[전북특별자치도 부지사]] * [[나무위키 관공서 프로젝트]] [[분류:광역자치단체 청사]][[분류:완산구의 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