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74년 개교]][[분류:익산시의 고등학교]][[분류:마이스터고등학교]][[분류:남녀공학 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전라북도의 국립고등학교]][[분류:중소벤처기업부]] [include(틀:교육기관)] || [[파일:전북기공.jpg|width=20]] {{{#FFFFFF,#fff '''전북기계공업고등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마이스터고등학교)] [include(틀:전라북도 익산시의 고등학교)] [include(틀:포스코 '21년 마이스터고 추천 채용 대상학교)]}}} || ||[[파일:전북기공.jpg|width=100%]]|| || {{{#white 학교 전경}}} || ||<-2> '''{{{#white {{{+1 전북기계공업고등학교}}}[br]Chonbuk Mechanical Technical High School}}}''' || ||<-2> 로고 || ||<-2> [include(틀:지도, 장소= 전북기계공업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white '''개교'''}}} || [[1974년]] [[4월 22일]] (이리기계공업학교) || || {{{#white '''유형'''}}} || [[마이스터고등학교]] || || {{{#white '''성별'''}}} || [[남녀공학]] || || {{{#white '''형태'''}}} || [[국립]] || || {{{#white '''교장'''}}} || 두승 || || {{{#white '''교무교감'''}}} || 김종선 || || {{{#white '''생활교감'''}}} || 박종배 || || {{{#white '''교훈'''}}} || 근면 성실 책임 완수 협동 융화 || || {{{#white '''교화'''}}} || 철쭉 || || {{{#white '''교목'''}}} || 소나무 || || {{{#white '''학생 수'''}}} || 675명[br](2023년 학교알리미 공시 기준) || || {{{#white '''교직원 수'''}}} || 123명[br](2023년 학교알리미 공시 기준) || || {{{#white '''관할 교육청'''}}} || [[전라북도교육청]][* 다른 [[마이스터고등학교]]들과 마찬가지로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기관이다.] || || {{{#white '''주소'''}}} || [[대한민국]] [[전라북도]] [[익산시]] 인북로32길 41 || || {{{#white '''홈페이지'''}}} || [[https://school.jbedu.kr/cm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35]]]]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북도]] [[익산시]] 남중동에 위치한 기계 분야 [[마이스터고등학교]]이다. == 학교 연혁 == *1974. 04. 22 이리기계공업학교 (기계,전기,배관) 설립인가. (대통령령 제7116호 국립학교설치령중 개정령) *1977. 09. 01 전북기계공업고등학교로 교명변경 (대통령령 제7116호 국립학교설치령중 개정령) *1978. 10. 23 특수목적고등학교 지정, 학생 모집대상을 전국으로 확대 *1979. 12. 16 현 위치로 교사 이전 *'''2009. 02. 13 한국형 마이스터고 선정''' *2010. 03. 02 마이스터고등학교로 개교(마이스터 1기 304명 입학) *2010. 10.13 중소기업청으로 학교 소관 이관 좀더 자세한 내용은 [[https://school.jbedu.kr/cmt/MABACAC/|학교 연혁]]을 참조. == 교훈 및 상징 == === 교표 === === 교화 === >철쭉 === 교목 === >소나무 === 교훈 === >근면 성실 > >책임 완수 > >협동 융화 === 교가 === [[https://school.jbedu.kr/files/2022/02/cmt/04be8b3d904847c3bf5248362b41a678/song.mp3|#]] 본교 홈페이지에 탑재되어 있는 교가이다. >'''1절''' >노령산맥 내린 기슭 만경강 유역 >넓고 넓은 호남평야 오곡의 고장 >공업입국 나라건설 우리의 사명 >희망이다 기쁨이다 새날의 창조 >근면성실 책임완수 협동융화로 >사랑하며 키워가서 이름 빛내세 >오~우리모교 전북기계 우리의 공고 > >'''2절''' >백제하늘 이어받은 역사의 하늘 >발아가는 마을마을 현대화 물결 >몸과 마음 기술닦는 오늘의 문명 >희망이다 기쁨이다 새날의 창조 >근면성실 책임완수 협동융화로 >사랑하며 키워가서 이름 빛내세 >오~우리모교 전북기계 우리의 공고 > >'''3절''' >푸른지구 푸른이상 젊음의 세계 >기를 세워 탁마하는 진리의 기술 >쉬임없이 마름없이 영원 무궁히 >희망이다 기쁨이다 새날의 창조 >근면성실 책임완수 협동융화로 >사랑하며 키워가서 이름 빛내세 >오~우리모교 전북기계 우리의 공고 > == 학과 == === 폴리메카닉스과 === * 1, 2, 3반: 폴리메카닉스[기계과](前 산업플랜트)(노란색)[* 각 과에 색깔을 언급한 이유는 실습복의 시그니처 색상이기 때문이다. 산업플랜트과가 있었을때는 무지개가 따로 없었다.] 여러 개란 뜻을 가진 Poly와 기계공학을 뜻하는 Mechanics가 합쳐진 말로 공작기계의 기본이 되는 선반, 밀링가공과 공유압, PLC를 더하여 기계재료를 제품으로 설계 및 가공하거나, 설비보전 과정을 배운다. 산업플랜트과가 폴리메카닉스과에 합병되어 설비보전. 용접 . 특수용접도 배워 용접 쪽으로도 취업을 나간다. === 정밀기계과 === * 4, 5, 6, 7반: 정밀기계과[기계과](빨간색) ( 前 금형설계제작과, 2018년 이전 컴퓨터응용금형과) 정밀 기계의 기본원리를 학습하며 범용공작기계, 터닝센터(CNC선반), 머시닝센터(CNC밀링)), CAD/CAM, 5축가공, 정밀측정, 기계요소설계 등의 실습을 통해 사출 & 프레스 금형을 설계하고 제작할 수 있는 기계분야의 실무능력을 갖춘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학과에서 취득을 권장하는 자격증 중 정밀측정기능사라는 자격증 취득을 권장하는데 전국에 시험장이 몇 개 없을 정도로 꽤나 희귀하니 시간이 남으면 도전해보면 좋다. === ~~산업플랜트과~~ === -- * 8, 9반: 산업플랜트과(現 폴리메카닉스)(파란색)[* 2018년 기준으로 3학년에 2개 학급만 남아있고 폐과되었다. 원래는 로봇자동화과는 10, 11, 12반이었고 메카트로닉스과는 13, 14, 15반이었다.] 현재 폴리메카닉스과(기계과) 에 합병되었다.-- === 로봇자동화과 === * 8, 9, 10반: 로봇자동화[전자과](녹색) 미래 핵심 성장 동력산업의 중심인 로봇산업의 인력 수급에 대비하여 로봇 분야의 세계적 리더 역할을 할 수 있는 로봇 전문 인력양성 및 로봇산업의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산업용 로봇과 지능형 로봇의 제어 제작 및 유지 보수와 자동화 설비 분야의 실무능력이 있는 기술인력을 양성한다. DENSO, 두산로보틱스의 6축 로봇같이 우수한 실습장비로 인력을 양성하는 중이다. === 메카트로닉스과 === * 11, 12, 13반: 메카트로닉스[전기과](주황색)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s)는 Mechanics(기계공학)와 Electronics(전자공학)의 합성어이다. '메카'는 기구나 기계요소 등의 기계기술을 의미하고, '트로닉스'는 제어요소나 신호처리 등의 전자기술을 의미한다. 즉 기계공학분야의 기술에 전자공학 기술을 접목시킨 종합적인 기술이다. 메카트로닉스 분야에서는 기계가공, 기계조립, 전기 · 전자회로, 프로그래밍, 동력제어, 신재생에너지, 전기 · 전자CAD, 생산자동화설비 등의 기초 이론 및 실습을 통하여 다양한 기술을 배운다. 왜 어려운 용어를 과 이름으로 사용하는 지는 모르지만 그냥 전기과니까 전기 배우고 싶으면 메카과에 원서를 넣으면 된다. 다른 공고와 마찬가지로 전기과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경쟁이 가장 많은 편이다. === 팁 === * 해당 전공이 인원 초과일 경우 성적에 따라 우선 배치된다. * 전공에 따라 학습 내용, 학생들의 학업 수준, 분위기 등이 천차만별이다. * 특히 성적은 취업에 가장 치명적이므로, 자신의 적성과 학생들의 지원 추이를 살펴 전략적으로 과와 전공을 선택하길 추천한다. 학생 수가 워낙 많은 편이라 30% 안에 들어도 원하는 회사를 지원하기 힘들기 때문에 1등을 찍으려는 것이 재학생들의 목표이다. * 취업부에서 운영하는 각종 대기업 공채를 목적으로 세워진 공채반은 내신 30%까지 들어갈 수 있다. ([[포스코]], [[삼성전자]], [[KT&G]] 등.) * 원서를 작성할 때 과 이름이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메카과는 전기과고 폴리과는 기계과이다. 이 두 과를 혼동하여 원서를 잘못 넣은 친구들이 태반이다. 그러니 나무위키를 꼭 참조하도록 * 2021년도 신입생부터 각 과마다 입학 인원을 축소하여 선발한다. (기존 260명 - 현재 234명) * [[마이스터고]]에 지원하기 전 마이스터고 카페나 SNS 마이스터고 그룹에 가입해 재학생에게 학교 분위기는 어떤지 지원하려는 과는 어떤지 꼭 도움받길 바란다. * 메카과와 로봇과는 SMSCP (지멘스 메카트로닉스 생산자동화시스템 운용 자격) 교육을 이수할 수 있다. (신청 인원 한정) * 23년 기준 2학년 말에 산업기사 과정평가형을 통하여 산업기사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다. * 취업관련 내신 산출시 실습교과의 비중이 매우높다. 또한 A등급만 취득하면 1등급으로 기재되어 반에서 5~6등 하는 학생의 내신이 1등급후반으로 책정되기도 한다. == 학교 생활 == === 일과 === || '''내용''' || '''시각''' || ||기상||6시(6시 05분까지 호실 문을 개방해야한다) ~~(동절기는 6시25분)~~|| ||아침운동||6시 30분 ~ 6시50분 (학생 편의상, 아침운동은 진행하지 않는다.) (대신 실외점호는 진행한다)|| ||조식||6시 55분~ 7시25분|| ||등교||8시 (7시 55분까지 등교해야한다)|| ||학교수업||8시~ 16시|| ||방과후 수업||16시 20분 ~ 18시(월, 화, 목요일에만 수업하며 인문 방과후는 6시에 끝난다.)|| ||석식||18시~ 18시30분|| ||방과후 수업||19시~ 19시50분|| ||휴식시간||19시50분~ 21시|| ||청소 및 점호||21시~ 21시30분. (청소는 21시15분까지, 저녁점호는 21시 15분부터 진행한다)|| ||야간자율학습||21시40분~ 22시40분 (수요일의 경우 자율학습이 아닌 자유시간이 부여된다.)|| ||취침점호||22시 50분 (수요일의 경우 22시40분)|| ||별밤자율학습||22시 50분 ~ 1시 (23시 30분까지 호실 밖에 절대 나오지 말아야한다)[* 시험 기간에는 2시까지 연장](희망자만)(1시 이후에는 야자실을 사용할 수 없다.)|| * 전문심화동아리 학생들은 보통 학생들과 일과가 다르며 보통 22시에 생활관에 들어온다. * 생활관 내에서 음식물 섭취가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 ~~호실에 바퀴벌레가 생기면 돌이킬 수 없다~~ * 생활관 내에 승인받지 않은 전자기기(노트북, 태블릿) 를 반입 할 경우 적발 시, 생활관 벌점 5점과 압수. === 방과 후 학교 === 방과후는 크게 인문 방과후와 기술 방과후로 나뉜다. 1학년 월: 기술 화: 기술 목: 인문 2학년 월: 기술 화: 기술 목: 인문 3학년 월: 인문 화: 기술 목: 기술 인문 방과후는 16시 30분부터 18시까지 진행하며 실습 방과후는 16시 30분부터 19시 50분까지 진행된다. 3학년은 취업을 나가기 때문에 2학기는 방과후를 수강하지 않는다. 인문 방과후는 NCS, 토익, 제 2외국어, 한국사능력시험 등을 외부강사가 오며, 기술 방과후는 각 과별로 전공기초지식, 기능사 필기, 기능사 실기, 전공실무 등을 과 교사가 가르친다. 수요일에는 방과후 희망자만 특기적성 방과후 수업을 들을 수 있다. (2021년 기준 3D프린터, 미디어제작, 헤어메이크업, 각종 스포츠 등) == 운동부 == * 마이스터고등학교는 운동부를 둘 수 없어서 현재는 운동부가 없다.[* 동아리 형식으로 운영중이긴 하다.] 2018년 전국스포츠클럽 대회에서 축구부문 전국 3등이라는 결과를 창출했다. 그런데 2019년 익산시대회에서 또 우승을 차지하여 도대회로 진출하였다. 전북기공 축구부의 명언 "세상은 넓고 공은 둥글다"처럼 기술을 갈고닦아야 할 학교에서 아이러니하게도 스포츠 분야에서 이상하게 좋은 성적을 거둔다. (학생들의 입학 성적이 떨어짐과 반대로 스포츠 분야의 성적이 전성기를 맞았다.) 결국 전라북도 대회에 나가 3등이라는 우수한 성적을 거두게 되었다. == 출신 인물 == * [[김영인(1969)|김영인]] * [[김종득]] * [[김종필(1962)]] * [[김창한]]: 전 금속노조 위원장, 전 민중당 대표. * [[박창순(정치인)|박창순]] * [[신동근]]: 20~21대 국회의원. [[경희대학교]] 치과대학에 진학, 치과의사를 거쳐 정치인이 되었다. * [[이동권(1961)|이동권]] * [[이석행]] * [[이영희(1962)|이영희]] * [[이윤행]]: 전 함평군수,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군수직을 상실하였다. * [[이찬기(1964)]] * [[주재현(정치인)|주재현]] * [[최충규]] * [[최호열]] * [[이승준]]: 기능올림픽 국가대표 선수 출신. WorldSkills Leipzig 2013 대회 은메달리스트.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 나무위키 내 해당 정류소에 정차 하는 버스 노선 문서와 연결. 예를 들어 [[대구서부고등학교]] 앞에는 [[대구 버스 524|524]]를 추가하듯 각 지자체 버스 노선에 맞게 버스 노선 문서의 링크를 거시면 됩니다.] || || 기계공고 || [[익산 버스 60|60(-1, 2, 3)]], [[익산 버스 61|61]], [[익산 버스 62|62]], [[익산 버스 63|63(-1)]], [[익산 버스 64|64]], [[익산 버스 71|71]], [[익산 버스 107|107]] || || 익산시청 || [[익산 버스 1|1(-1, 2, 4, 6, 9)]], [[익산 버스 13-1|13-1]], [[익산 버스 25|25]], [[익산 버스 31|31]], [[익산 버스 33|33]], [[익산 버스 34|34]], [[익산 버스 35|35(-1)]], [[익산 버스 36|36]], [[익산 버스 37|37]], [[익산 버스 38|38]],[br] [[익산 버스 33|39(-1)]], [[익산 버스 40|40]], [[익산 버스 41|41(-1)]], [[익산 버스 42|42]], [[익산 버스 43|43]], [[익산 버스 44|44(-1)]], [[익산 버스 46|46]], [[익산 버스 47|47]], [[익산 버스 48|48]], [[익산 버스 49-1|49-1]], [[익산 버스 50|50(-1)]],[br] [[익산 버스 51|51]], [[익산 버스 52|52]], [[익산 버스 53|53]], [[익산 버스 54|54]], [[익산 버스 55|55]], [[익산 버스 56|56]], [[익산 버스 58|58]], [[익산 버스 59|59]], [[익산 버스 66|66, 67(-1)]], [[익산 버스 68|68]], [[익산 버스 72|72]], [[익산 버스 73|73]], [[익산 버스 74|74]],[br] [[익산 버스 75|75]], [[익산 버스 78|78]], [[익산 버스 100|100(-1)]], [[익산 버스 107|107-2]], [[익산 버스 111|111]], [[익산 버스 150|150]], [[익산 버스 222|222(-1, 2, 3)]], [[익산 버스 333|333(-1)]], [[익산 버스 555|555]] || === 철도 === 익산역 자체가 전국 주요 선로의 요충지이기 때문에 KTX, SRT, 새마을호, 무궁화호를 타고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광주를 비롯한 전라남도에서 꽤 많은 학생이 오는 편이며 제주도에서도 오는 친구들이 있다. == 사건 사고 ==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하시기 바랍니다.|| *2020년 55회 학교에서 열린 전국기능경기대회에서 심사위원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판정을 받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887575?sid=102|#]] * 2021년 03월 13일 본교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 판정을 받아 2주간 전면 등교중지가 내려졌다. [[https://youtu.be/MSSMfekNxuc|#]] 밀접접촉자 전수조사 결과, 전원 음성판정이 나왔다. == 기타 == * 익산 사람들은 기공이라고 부르고 다른 전북도민들은 전북기공이라고 부른다. 익산시내의 택시기사들도 그렇게 해야 알아듣는 경우도 많다. * 학생증이 [[우리은행]] 체크카드다. * 익산시청 인근이라고 해서 시내 한복판이라는 느낌이 아닌데다가 이 곳이 딱히 핫플레이스도 아니어서[* 정확하게 말하면 먹자골목은 대략 구성되어있지만 어른들의 놀이터라는 느낌이 강하다.] 친구들과 놀러갈 때는 [[영등동]]으로 놀러가곤 한다.[* 영등동 역시 그리 많이 멀지는 않아서 택시 기준으로 기본요금보다 조금 더 내는 정도로 해결 가능하다.] *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에 17시부터 21시까지 자유외출의 날이 있었다. 하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자유외출의 날 행사가 잠정 중단되었다. 2021년 3월 현재 생활관생 자유 외출의 날은 없다. * 2020년 6월 등교개학 시부터 아침운동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의 영향으로 실시하지 않는다. * 학교가 익산시청 바로 옆에 있다. * 익산 공단에 붙어있는 특성상 학교에 오다보면 갖가지 공장들을 감상할 수 있다. * 아무래도 [[익산역]]이 철도교통의 요지여서 그런지 몰라도 다른 지방으로의 접근성이 괜찮은 편이다. 무려 KTX와 SRT를 다 누릴 수 있다. 그래서 그런지 몰라도 서울, 광주전남, 대전 등의 타 지역 출신 학생들도 생각보다 높은 편이다. 학교에서 익산역은 그리 멀지 않은데 택시로 치면 기본요금보다 약간 더 나오는 수준이다. * [[전북대학교]] 익산캠퍼스와 [[원광대학교]]가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다. * 학교에 기능영재가 있었지만 현재는 전문심화동아리로 명칭이 변경 되었다. * 본교 학생회관 건물 2층에 충효기관이라는 학교 역사관이 있다. 개교 이후부터 현재까지 모든 기록물이 보관되어 있다. * 2022년 1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교정 내 풋살장과 3학년 교실관 사이 부지에 "다목적 시청각실" 건축 사업을 진행 중이다. '''지상 5층, 지하 2층''' 규모의 대형 건물이며 본 건물과 명장 2관, 교실동을 지하 통로로 이을 예정이다. == 둘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