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전북 현대 모터스)] ||<-5> [[전북 현대 모터스|[[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width=60]]]] [br] [[틀:전북 현대 모터스/시즌별 일람|'''{{{#004282 전북 다이노스 정규 시즌}}}''']] || || [[전북 다이노스/1995년|1995 시즌]] || {{{+1 ←}}} || '''{{{#f9d800 1996 시즌}}}''' || {{{+1 →}}} || [[전북 현대 다이노스/1997년|1997 시즌]] || ||<|2>
[[K리그1|[[파일:라피도컵 프로축구대회(복원).png|width=100]]]] || {{{#ffffff '''종합 순위'''}}} || {{{#ffffff '''경기 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점'''}}} || {{{#ffffff '''실점'''}}} || {{{#ffffff '''득실 차'''}}} || {{{#ffffff '''승점'''}}} || || {{{#000 {{{+3 '''5''' / 9}}}}}} || '''32''' || '''10''' || '''7''' || '''15''' || '''41''' || '''49''' || '''-8''' || {{{+3 {{{#000 '''37'''}}}}}}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0deg, #f2d3ce, #faecb9, #b1d7fc, #e8ffee, #b1d7fc, #fff, #fff,#fff, #b1d7fc, #e8ffee, #b1d7fc, #faecb9, #f2d3ce)" [[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height=60]] }}} || ||<-2> {{{+1 '''{{{#ffde00 전북 다이노스 1996 시즌 }}}''' }}} || || '''{{{#004282 구단주}}}''' || [[신준호]] || || '''{{{#004282 감독}}}''' || [[차경복]] || ||<-2> {{{+1 '''{{{#ffde00 시즌 결과 }}}''' }}} || || [[K리그1|[[파일:라피도컵 프로축구대회(복원).png|width=100]]]] || '''{{{+3 {{{#8f0101 5위}}}}}}([[파일:교체 인 아이콘.svg|height=15px]] 2위)[br](32전 10승 7무 15패 41득점 49실점 37승점)''' || || [[K리그 리그컵|[[파일:아디다스컵.png|width=100]]]] || '''{{{+3 {{{#8f0101 7위}}}}}}([[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height=15px]]3위)[br](8전 2승 3무 3패 8득점 8실점 9승점)''' || || [[대한축구협회 FA컵/1996년|[[파일:대한축구협회 로고(1998년 이전).svg|width=100]]]][br]'''FA컵''' || '''{{{+3 {{{#8f0101 8강}}}}}}(-)[br](2전 0승 2무 0패 4득점 4실점 2승점)''' || || '''{{{#ffde00 합산 성적}}}''' || '''{{{#ffde00 42전 12승 12무 18패 53득점 61실점}}}''' || || '''최다 득점자''' || '''[[비탈리 파라흐네비치|비탈리]] (11골)''' || || '''최다 도움자''' || '''-''' || [목차] [clearfix] == 프롤로그 == 창단 2년 째 지난 시즌 후기리그 4위에 오르며 한국 프로축구의 새바람을 일으키며 전북은 올 해 기대를 가졌다. == 1996 시즌 선수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0deg, #f2d3ce, #faecb9, #b1d7fc, #e8ffee, #b1d7fc, #fff, #fff,#fff, #b1d7fc, #e8ffee, #b1d7fc, #faecb9, #f2d3ce)" [[전북 다이노스|[[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width=55]]]][br]{{{+1 '''{{{#004282 전북 다이노스 1996시즌 선수단}}}'''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 번호}}} || {{{#fff 이름}}} || {{{#fff 포지션}}} || {{{#fff 국적}}} || {{{#fff 생년월일}}} || {{{#fff 신체조건}}} || || 1 || [[알렉세이 프루드니코프|알렉세이]] || GK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 1960년 03월 20일 ||189cm|| || 2 || 고성민 || M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2년 09월 07일 ||-|| || 3 || [[정종선]] || D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66년 03월 20일 ||-|| || 4 || 최진규 || D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69년 05월 11일 ||-|| || 5 || 이경춘 || D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69년 04월 14일 ||183cm|| || 6 || [[최진철]] || D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1년 03월 26일 ||-|| || 7 || 오동천 || M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66년 01월 20일 ||171cm|| || 8 || 김범수 || M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2년 06월 26일 ||178cm|| || 9 || [[김도훈]] || M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0년 07월 21일 ||183cm|| || 10 || [[잔코 사보프|잔코]] || FW ||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width=30]] || 1965년 10월 14일 ||-|| || 11 || [[비탈리 파라흐네비치|비탈리]] || FW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 1969년 05월 04일 ||187cm|| || 12 || [[김호영(축구)|김용갑]] || FW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69년 10월 29일 ||-|| || 13 || [[김경량]] || M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3년 12월 22일 ||-|| || 14 || 황득하 || M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65년 06월 08일 ||-|| || 15 || [[장철민(축구인)|장철민]] || M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2년 05월 19일 ||-|| || 16 || 김대식 || M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3년 03월 02일 ||175cm|| || 17 || [[김인수(축구)|김봉현]][* [[김인수(축구)|김인수]]로 개명, 울산 현대 코치(2017~)] || D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4년 07월 07일 ||180cm|| || 18 || [[김경래]] || M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64년 03월 18일 ||173cm|| || 19 || 정경구 || M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0년 10월 01일 ||-|| || 20 || 강원길 || D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68년 03월 17일 ||176cm|| || 21 || 성원종 || GK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0년 09월 27일 ||175cm|| || 22 || 정철호 || M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68년 12월 01일 ||-|| || 23 || 이정인 || M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3년 02월 10일 ||-|| || 24 || 김태인 || D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2년 05월 21일 ||177cm|| || 25 || 강성민 || FW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4년 04월 24일 ||182cm|| || 26 || [[강금철]] || D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2년 03월 19일 ||175cm|| || 27 || 조승연 || D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1년 03월 13일 ||-|| || 28 || 박종필 || FW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6년 10월 17일 ||170cm|| || 29 || 유성우 || D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1년 05월 23일 ||178cm|| || 31 || [[귀스타브 볼란가 프리소|발랑가]] || DF || [[파일:카메룬 국기.svg|width=30]] || 1972년 02월 13일 ||-|| || 32 || 이태훈 || DF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71년 06월 07일 ||-|| }}} || ---- ※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 이적 시장 == === 영입 === • {{{#fcaf17 '''[영입]'''}}} '''[[김용갑(축구)|김용갑]]''' 일화 천마에서 영입했다. • {{{#fcaf17 '''[영입]'''}}} '''[[귀스타브 볼란가 프리소|발랑가]]''' 카메룬 국적의 수비수 발랑가를 영입했다. • {{{#fcaf17 '''[드래프트]'''}}} '''[[최진철]], 이정인, 김득, 황득하, 조승연, [[김경량]]''' === 방출 및 은퇴 === • {{{#fcaf17 '''[은퇴]'''}}} '''[[김성호(심판)|김성호]], 문영래, 박승국, 백송, 유승관''' == [[전북 현대 모터스/유니폼|유니폼]] == ||<-2>
'''{{{#fff 1996 시즌 유니폼 }}}''' || || [[파일:external/footballk.net/%EC%9D%B4%EA%B2%BD%EC%B6%98.jpg|width=100%]] || [[파일:훼르자 로고.jpg|width=100%]] || || '''{{{#fff 원정 유니폼}}}''' || '''{{{#fff 유니폼 메이커}}}''' || • 디자인은 작년과 동일하지만 브랜드는 훼르자 유니폼으로 변경 되었다. 스폰서 마킹은 아반떼 혹은 티뷰론을 달았다. • 자세한 정보는 [[전북 현대 모터스/유니폼]] 참고. == [[K리그 리그컵|1996 아디다스컵]] == 1996년 리그컵 (공식 대회명칭 : 96 아디다스컵)은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창단으로 팀이 9팀으로 증가하였다. === 1R, 03월 30일 (토) vs. 대우 (원정, 1:1 무)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K리그 리그컵|[[파일:아디다스컵.png|width=50]]]]||'''{{{#000 1996 아디다스컵 1R [br]03.30(토) 15:00}}}''' || }}}|| ||<-3> '''{{{#000000 부산 사직 운동장}}}''' || || [[파일:대우 로얄즈 로고.svg|width=100]] ||<|2> '''{{{+5 {{{#000 1 : 1}}}}}}''' || [[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width=100]] || || '''{{{#ffffff [[대우 로얄즈|{{{#fff 대우 로얄즈}}}]]}}}''' || '''{{{#ffffff 전북 다이노스}}}''' || || '''46' 마니치'''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4' 비탈리'''[br](도움 : 김경래) || * '''경기 요약''' 부산 사직 운동장에서 벌어진 아디다스컵 첫 경기 [[비탈리 파라흐네비치|비탈리]]가 전반 4분 만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후반 시작과 함께 대우의 외국인 용병 [[라디보예 마니치|마니치]]에게 실점을 했다. 외인용병에게 한골 씩 주고 받으면서 무승부 === 2R, 04월 03일 (수) vs. 포항 (홈, 0:0 무)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K리그 리그컵|[[파일:아디다스컵.png|width=50]]]]||'''{{{#000 1996 아디다스컵 2R [br]04.03(수) 16:00}}}''' || }}}|| ||<-3> '''{{{#000000 전주종합경기장}}}''' || || [[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width=100]] ||<|2> '''{{{+5 {{{#000 0 : 0}}}}}}''' || [[파일:포항제철 아톰즈 엠블럼 (1985~1995).png|width=100]] || || '''{{{#ffffff 전북 다이노스}}}''' || '''{{{#000 [[포항 아톰즈|{{{#000 포항 아톰스}}}]]}}}''' ||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경기 요약''' 전주종합경기장에서 [[포항 아톰즈]]를 상대로 치열한 공방전 끝에 양 팀 무득점으로 비겼다. === 3R, 04월 07일 (일) vs. LG (원정, 4:0 승)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K리그 리그컵|[[파일:아디다스컵.png|width=50]]]]||'''{{{#000 1996 아디다스컵 3R [br]04.07(일) 15:00}}}''' || }}}|| ||<-3> '''{{{#000000 구덕운동장}}}''' || || [[파일:jPpQb2j.png|width=100]] ||<|2> '''{{{+5 {{{#4c9e47 0 : 4}}}}}}''' || [[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width=100]] || || '''{{{#ffffff [[LG 치타스|{{{#fff LG치타스}}}]]}}}''' || '''{{{#ffffff 전북 다이노스}}}''' ||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7' [[김도훈]]'''[br](도움 : [[비탈리]])[br]'''38' [[김도훈]](PK)'''[br]'''40' [[비탈리]]'''[br]'''61' [[김도훈]](PK)''' || * '''경기 요약''' 23,000여명의 관중이 운집한 안양종합운동장에서 [[김도훈]]과 [[비탈리 파라흐네비치|비탈리]]의 투톱 전술로 [[LG 치타스]]의 골문을 노렸다. 경기시작 7분만에 이경춘이 미드필드 중간 지점에서 수비수 3명의 키를 넘기며 절묘하게 밀어준 볼을 [[비탈리]]가 달려나온 LG 골키퍼 [[볼로디미르 사브첸코]][* 당시 우크라이나 국가대표 골키퍼. 우크라이나 국가대표 동료인 스트라이커 [[세르히 스카첸코]]와 동반 입단했지만, 12경기 22실점이라는 실망스러운 기록을 남긴 뒤 1년도 못 가 방출된다.]를 제치고 반대방향으로 패스, 이를 [[김도훈]]이 오른발로 가볍게 밀어넣었다. 그 후 김도훈의 페널티킥골과 [[비탈리 파라흐네비치|비탈리]]의 골로 전반을 3:0으로 마무리하고, 후반 61분 [[김도훈]]이 또다시 pk득점으로 4:0완승을 했다 [[김도훈]]의 해트트릭으로 아디다스컵 3R 승점 5점으로 대우와 동률이지만 득실차에 앞서 현재 단독선두 1위. === 4R, 04월 10일 (수) vs. 일화 (홈, 0:0 무)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K리그 리그컵|[[파일:아디다스컵.png|width=50]]]]||'''{{{#000 1996 아디다스컵 4R [br]04.10(수) 15:00}}}''' || }}}|| ||<-3> '''{{{#000000 전주종합경기장}}}''' || || [[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width=100]] ||<|2> '''{{{+5 {{{#000 0 : 0}}}}}}''' || [[파일:일화 천마 엠블럼 (1989~1999).svg|width=100]] || || '''{{{#ffffff 전북 다이노스}}}''' || '''{{{#004282 [[일화 천마|{{{#004282 일화 천마}}}]]}}}''' ||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경기 요약''' 치열한 공방전 끝 득점하지 못하면서 0:0으로 비겼다. === 5R, 04월 14일 (일) vs. 유공 (원정, 0:2 패)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K리그 리그컵|[[파일:아디다스컵.png|width=50]]]]||'''{{{#000 1996 아디다스컵 5R [br]04.14(일) 15:00}}}''' || }}}|| ||<-3> '''{{{#000000 목동경기장}}}''' || || [[파일:유공축구단 엠블럼.png|width=100]] ||<|2> '''{{{+5 {{{#e3074c 2 : 0}}}}}}''' || [[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width=100]] || || '''{{{#ffffff [[유공 코끼리|{{{#fff 유공 코끼리}}}]]}}}''' || '''{{{#ffffff 전북 다이노스}}}''' || || '''35' 권태규'''[br](도움 : 세르게이)[br]'''85' 세르게이'''[br](도움 : 윤정춘)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경기 요약''' 올시즌 첫패 === 6R, 04월 18일 (목) vs. 전남 (홈, 1:3 패)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K리그 리그컵|[[파일:아디다스컵.png|width=50]]]]||'''{{{#000 1996 아디다스컵 6R [br]04.18(목) 15:00}}}''' || }}}|| ||<-3> '''{{{#000000 익산공설경기장}}}''' || || [[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width=100]] ||<|2> '''{{{+5 {{{#e3074c 1 : 3}}}}}}''' ||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 (1995~2001).png|width=100]] || || '''{{{#ffffff 전북 다이노스}}}''' || '''{{{#000 [[전남 드래곤즈|{{{#000 전남 드래곤즈}}}]]}}}''' || || '''78' [[김도훈]]'''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br]'''7' 안드레이'''[br](도움 : 구즈노프)[br]'''80' 김도근'''[br]'''84' 이평재''' || * '''경기 요약''' 경기시작 7분만에 [[전남 드래곤즈]]의 용병 안드레이와 [[예브게니 쿠즈네초프|구즈노프]]의 절묘한 콤비플레이를 통한 선제골과 김도근과 이평재의 추가득점으로 전북의 간판스타 [[김도훈]]이 한골을 만회하였지만 패배했다. === 7R, 04월 25일 (목) vs. 수원 (원정, 0:1 패)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K리그 리그컵|[[파일:아디다스컵.png|width=50]]]]||'''{{{#000 1996 아디다스컵 7R [br]04.25(목) 19:00}}}''' || }}}|| ||<-3> '''{{{#000000 수원종합운동장}}}''' || ||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엠블럼 (1998~2007).svg|width=100]] ||<|2> '''{{{+5 {{{#e3074c 1 : 0}}}}}}''' || [[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width=100]] || || '''{{{#80d7ed [[수원 삼성 블루윙즈|{{{#80d7ed 수원 삼성}}}]]}}}''' || '''{{{#ffffff 전북 다이노스}}}''' || || '''70' [[이기근]]'''[br](도움 : [[고종수]])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경기 요약''' 신생팀 삼성의 [[고종수]]의 패스를 받은 노장 골잡이 [[이기근]]의 결승골로 1대 0 패배했다. 3연패. === 8R, 04월 28일 (일) vs. 현대 (홈, 2:1 승)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K리그 리그컵|[[파일:아디다스컵.png|width=50]]]]||'''{{{#000 1996 아디다스컵 8R [br]04.28(일) 15:00}}}''' || }}}|| ||<-3> '''{{{#000000 전주종합경기장}}}''' || || [[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width=100]] ||<|2> '''{{{+5 {{{#4c9e47 2 : 1}}}}}}''' || [[파일:현대 호랑이 엠블럼.svg|width=100]] || || '''{{{#ffffff 전북 다이노스}}}''' || '''{{{#3667f7 [[현대 호랑이|{{{#3667f7 현대 호랑이}}}]]}}}''' || || '''60' [[최진철]]'''[br](도움 : 김대식)[br]'''66'[[장철민(축구인)|장철민]]'''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50' [[안홍민]]''' || * '''경기 요약''' 이번시즌 드래프트로 영입한 [[최진철]]의 동점골과 정철민의 역전골로 역전승, 대회 초반의 흐름을 이어가지 못하고 2승 3무 3패로 아디다스컵을 7위로 마무리했다. == [[전북 다이노스/1996년/한국프로축구대회|1996 라피도컵 한국프로축구대회]] == • 1995시즌과 마찬가지로 전기,후기리그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3>
[[파일:라피도컵 프로축구대회(복원).png|width=150]] ||<-9> ''' {{{+1 [[K리그/1996년|{{{#000 1996 한국프로축구대회}}}]] {{{#000 / }}} [[전북 다이노스|{{{#000 전북 다이노스}}}]] {{{#000 최종 순위 }}} }}} ''' || || {{{#ffffff '''종합순위'''}}}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점'''}}} || {{{#ffffff '''실점'''}}} || {{{#ffffff '''득실차'''}}} || {{{#ffffff '''승점'''}}} || || {{{+1 {{{#000 '''5''' / 9 }}} }}} || 32 || 10 || 7 || 15 || 38 || 53 || -15 || {{{#000 37 }}}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자세한 내용, rd1=전북 다이노스/1996년/한국프로축구대회)] == [[대한축구협회 FA컵/1996년|1996 FA컵]] == === 16강, 11월 30일 (토) vs. 상무 (홈, 1:1 무/PSO 4:1)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대한축구협회 FA컵/1996년|[[파일:대한축구협회 로고(1998년 이전).svg|width=50]]]]||'''{{{#000 1996 FA컵 16강 [br]11.30(토) 14:00}}}''' || }}}|| ||<-3> '''{{{#000000 익산공설운동장}}}''' || || [[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width=100]] ||<|2> '''{{{+2 {{{#000 1 : 1}}}}}}'''[br]'''{{{+5 {{{#4c9e47 4 : 1}}}}}}''' || [[파일:상무축구단.jpg|width=100]] || || '''{{{#ffffff 전북 다이노스}}}''' || '''{{{#ffea03 [[상주 상무|{{{#ffea03 상무 축구단}}}]]}}}''' || || '''62' [[김봉현]]'''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47' [[최문식]]''' || === 8강, 12월 02일 (월) vs. 부천 (중립, 3:3 무/PSO 3:2)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대한축구협회 FA컵/1996년|[[파일:대한축구협회 로고(1998년 이전).svg|width=50]]]]||'''{{{#000 1996 FA컵 8강 [br]12.02(월) 12:30}}}''' || }}}|| ||<-3> '''{{{#000000 진주공설운동장}}}''' || || [[파일:전북 다이노스 엠블럼 (1995~1996).png|width=100]] ||<|2> '''{{{+2 {{{#000 3 : 3}}}}}}'''[br]'''{{{+5 {{{#e3074c 2 : 3}}}}}}''' || [[파일:유공축구단 엠블럼.png|width=100]] || || '''{{{#ffffff 전북 다이노스}}}''' || '''{{{#fff [[유공 코끼리|{{{#fff 유공 코끼리}}}]]}}}''' || || '''11' [[잔코 사보프|잔코]]'''[br]'''37' [[잔코 사보프|잔코]]'''[br]'''38' [[비탈리]]'''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1' [[윤정환]]'''[br]'''35' 유상수'''[br]'''73' [[윤정환]]''' || == 시즌 평가 == === 주요 기록 === ||<-2>
'''{{{#fff 전북 다이노스 1996시즌 주요기록}}}''' || || '''최다 득점자''' || '''비탈리 (11골)''' || || '''최다 도움자''' || || || '''최다 공격 포인트''' || || || '''한 경기 최다 득점''' || '''5골''' || || '''한 경기 최다 실점''' || '''3골''' || || '''최다 점수차 승리''' || '''4점''' || || '''최다 점수차 패배''' || '''3점''' || || '''경기 당 평균 득점''' || '''1.26골 ''' || || '''경기 당 평균 실점''' || '''1.45골''' || || '''최다 관중''' || '''23,874명''' (vs. 전남) || || '''최소 관중''' || '''453명''' (vs. 부천) || || '''평균 관중''' || '''5,801명''' || === 수상 내역 === • 1996 프로 축구 페어플레이상 === 시즌 총평 === 주전 선수들의 잦은 부상으로 인해 힘든 한 해를 보냈다. 전초전 성격을 띤 아디다스컵 7위. 전북이 정규리그 성적을 짐작할 수 있게 하는 대회였다. 당초 전북은 최약체로 분류됐었다. 걸출한 신인 보강이 없는 데다 기존 스타급 선수들이 별로 없었기 때문이었다. 더구나 구단의 빈약한 재정으로 인해 반짝 돌풍도 기대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전북은 2년 전(버팔로) 헝그리 시절을 되새기며 약전 고투 끝에 중위권 그룹인 5위까지 달릴 수 있었다. 그나마 전북이 5위(5승 4무 7패)까지 올라갈 수 있었던 것은 스트라이커 [[김도훈]]의 공이 컸다. [[김도훈]]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6골 3어시스트를 기록해 어려운 살림을 이끌었다. 반면 김도훈과 함께 투톱으로 나선 [[비탈리 파라흐네비치|비탈리]]는 잦은 부상으로 인해 3골에 그쳤다. 전북이 상위권으로 치솟지 못한 것은 다른 팀처럼 걸출한 플레이메이커가 없었기 때문. 여기에다 [[비탈리 파라흐네비치|비탈리]], [[정종선]], [[알렉세이 프루드니코프|알렉세이]](GK) 등 간판급 선수들이 부상을 당한 것도 성적 부진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여기에다 팀의 간판 [[김도훈]](8월 29일) 마저 상대 수비수와 부딪쳐 오른쪽 무릎인대가 파열되는 중상을 당해 전북은 참담함을 느끼게 됐다. 그러던 중 지난해 말 [[천안 일화]]서 이적한 [[김용갑(축구)|김용갑]]이 [[김도훈]]의 몫을 대신하며 [[비탈리 파라흐네비치|비탈리]]와 함께 투톱에 포진해 난국을 이끌어 갔다. 그러나 득점원의 단조로움은 크게 버릴 수 없다. 허리 진영이 취약한데다 2선 공격수들이 득점 루트에 가세하지 못해 7위로 추락하고 말았다. 그렇지만 [[김용갑(축구)|김용갑]]이 9골을 뽑아내 팀 내 득점 1위에 오르며 전북의 새로운 골잡이로 등록한 것과 96 프로 축구 페어플레이상을 수상한 것이 그나마 위안거리였다. 마땅한 전용구장이 없어 전전긍긍하며 힘든 시즌을 보낸 전북은 결국 초대 사령탑인 [[차경복]] 감독이 두 시즌을 보내고 사퇴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와 함께 전북은 [[최만희]] 코치를 감독대행으로 승격시키며 97년 시즌 준비에 들어갔다. [[http://www.hyundai-motorsfc.com/club/history_overview.asp?tmenu=1990|#]] [[분류:전북 현대 모터스/역대 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