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라남도의 시내버스 회사)] ||<-2><:>{{{#!folding [ 사진 모음 펼치기 · 접기 ] || [[파일:목포 버스1.jpg|width=100%]] || [[파일:sc88.jpg|width=100%]] || || [[목포시]]의 [[목포 버스 1|1번]] || [[순천시]]의 [[순천 버스 88|88번]] || || [[파일:나주_160_2002.jpg|width=100%]] || [[파일:ys111.jpg|width=100%]] || || [[나주시]]의 [[나주 버스 160|160번]] || [[여수시]]의 [[여수 버스 111|111번]] || ||<-2> [[파일:IMG_6680.jpg|width=100%]] || ||<-2> [[광양시]]의 [[광양 버스 54|54번]] || }}}|| [목차] == 지자체별 시내버스 == === [[목포시 시내버스|목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목포시 시내버스)] === [[여수시 시내버스|여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여수시 시내버스)] === [[순천시 시내버스|순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순천시 시내버스)] === [[광양시 시내버스|광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광양시 시내버스)] === [[나주시 시내버스|나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주시 시내버스)] == 버스 운행회사 == === 시내버스 === * [[목포시]], [[무안군]] * [[태원여객]] * [[유진운수]] * [[무안교통]] * [[여수시]] * [[동양교통(여수)|동양교통]] * [[오동운수]] * [[여수여객]] * [[광우고속]] : 1대뿐이다. * [[순천시]] * [[순천교통]] * [[동신교통]] * [[광양시]] * [[광양교통]] * [[나주시]] * [[나주교통]] === 농어촌버스 === * [[강진군]] * [[강진교통]] * [[고흥군]] * [[고흥여객]] * [[대흥여객]] * [[동방고속]] : 나로도 방면 직행좌석버스[* 흔히 수도권의 광역버스가 이 면허로 운행된다.] 전환운행중. * [[곡성군]] * [[곡성교통]] * [[구례군]] * [[구례여객]] * [[담양군]] * [[동광담양고속]] * [[무안군]] * [[무안교통]] * [[보성군]] * [[보성교통]] * [[신안군]] * [[신안여객]] * [[신안군 공영버스]][* 업체는 아니지만 편의상 서술한다. 업체가 아닌 이유는 신안군 교통지원과에서 직접 관리하기 때문.] * [[영광군]] * [[영광교통]] * [[영암군]] * [[낭주교통]] * [[영암교통]] * [[완도군]] * [[고금여객]] * [[노화교통]] * [[보길여객]] * [[신지여객]] * [[완도교통]] * [[청산여객]] * 청산도관광 * [[장성군]] * [[군민운수]] * [[장흥군]] * [[장흥교통]] * [[진도군]] * [[옥주여객]] * [[조도여객]] * [[진도여객]] * [[함평군]] * [[함평교통]] * [[함평군민교통]] * [[해남군]] * [[해남교통]] * [[화순군]] * [[화순교통]] === 시외버스 === * [[금호고속]](2팀) * [[광신고속]] * [[광우고속]] * [[동광고속]] * [[동방고속]] == 면허 체계 == 간혹 몇몇 차량이 다른 글자로 시작하는 경우가 있다. 섬지역 농어촌버스는 대부분 '''아'''가 아니라 '''바'''로 시작한다는 점에 유의. * [[목포시]], [[여수시]], [[순천시]]: 전남 70아 * [[나주시]], [[광양시]]: 전남 71아 * [[담양군]], [[구례군]], [[곡성군]]: 전남 72아 * [[고흥군]], [[보성군]]: 전남 73아 * [[화순군]], [[장흥군]], [[강진군]]: 전남 74아 * [[해남군]], [[영암군]], [[무안군]]: 전남 75아 *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 전남 76아 * [[완도군]], [[진도군]]: 전남 78바 [* 완도군 일부 차량은 전남 77아로 시작한다.] * [[신안군]]: 전남 79바 == 버스요금 == {{{+1 '''Ctrl+F를 사용하여 찾고 싶은 시/군을 검색하면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 시 단위 지역 === |||||||| 목포[*A 시내구간 기준. 시외구간 별도 요금제] 버스요금 || || 종류 || 일반인 || 중, 고등학생 || 초등학생 || || 일반현금승차 || 1,500원 || 1,200원 || 750원 || || 일반카드승차 || 1,400원 ||<-2> 100원 || || 좌석현금승차 ||<-3> 2,100원 || || 좌석카드승차 || 2,000원 ||<-2> 100원 || |||||||| 나주[*A] 버스요금 || || 종류 || 일반인 || 중, 고등학생 || 초등학생 || || 현금승차 || 1,500원 || 1,200원 || 750원 || || 카드승차 || 1,450원 || 1,150원 || 700원 || |||||||| 순천, 광양, 여수버스요금[*B] || || 종류 || 일반인 || 중, 고등학생 || 초등학생 || || 현금승차 || 1,500원 || 1,200원 || 750원 || || 카드승차 || 1,400원 || '''100원''' || '''100원''' || === 군 단위 지역 === [[농어촌버스 단일요금제]] 문서도 같이 보면 좋다. |||||||| 농어촌버스 단일요금제 시행 지역[br](강진, 곡성, 구례[* 100원 요금제 실시예정], 장성[*A], 장흥, 함평[*A], 해남[* 목포시로 이동시 기본요금 2배]) 버스요금 || || 종류 || 일반인 || 중, 고등학생 || 초등학생 || || 단일요금 || 1,000원 || 800원 || 500원 || |||||||| 고흥 버스요금[*B] || || 종류 || 일반인 || 중, 고등학생 || 초등학생 || || 현금승차 || 1,000원 ||<-2> 100원 || || 카드승차 || 950원 ||<-2> 50원 || |||||||| 영암, 진도 버스요금 || || 종류 || 일반인 || 중, 고등학생 || 초등학생 || || 단일요금 || 1,000원 ||<-2> 100원 || |||||||| 담양[*A] 버스요금 || || 종류 || 일반인 || 중, 고등학생 || 초등학생 || || 일반 || 1,000원 ||<-2> 100원 || || 좌석 || 1,800원 || 1,400원 || 900원 || |||||||| 무안[*A] 버스요금 || || 종류 || 일반인 || 중, 고등학생 || 초등학생 || || 일반현금승차 || 1,500원 || 1,200원 || 750원 || || 일반카드승차 || 1,400원 ||<-2> 100원 || || 좌석현금승차 ||<-3> 2,100원 || || 좌석카드승차 || 2,000원 ||<-2> 100원 || |||||||| 보성 버스요금 || || 종류 || 일반인 || 중, 고등학생 || 초등학생 || || 현금승차 || 1,000원 || 800원 || 500원 || || 카드승차 || 900원 ||<-2> 100원 || |||||||| 신안[*A] 버스요금 || || 종류 || 일반인 || 중, 고등학생 || 초등학생 || || 신안군민[* 관외(목포시)이동 시 '''일반 관내요금''' 적용] || 1,000원 || '''무료''' || '''무료''' || || 일반(외부인) 관내요금 || 2,000원 || 1,600원 || 1,000원 || || 일반(외부인) 관외요금 || 3,000원 || 2,400원 || 1,500원 || |||||||| 영광 버스요금 || || 종류 || 일반인 || 중, 고등학생 || 초등학생 || || 단일요금 || 1,000원 ||<-2> 500원 || |||||||| 화순[*A] 버스요금 || || 종류 || 일반인 || 중, 고등학생 || 초등학생 || || 현금승차 || 1,000원 || 800원 || 500원 || || 카드승차 || 900원 ||<-2> 100원 || == 버스 도색 == 도내 모든 시군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도색은 2000년대 까지 있었으나[* 하늘색 혹은 남색과 상아색 투톤이었다. 그리고 광주에서도 전라남도 시내버스 공용도색을 적용한 적이 있었다.], 현재는 각 시군별로 자체 도색을 사용하고 있다. == 교통카드 단말기 == * [[삼원FA]] * 마이비 구형 : 영암 * 마이비 신형 : 목포, 무안, 신안, 여수, 광양, 순천, 보성, 해남, 강진, 장흥, 화순, 장성, 나주, 담양, 고흥, 곡성, 함평, 영광, 영암 * 에이텍(티머니) : 구례 * 이비[* 이비카드 단말기를 쓰는 지역은 미시행 지역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교통카드/후불|후불 교통카드]] 호환이 되지 않았으며, 곡성, 영광, 장흥은 삼원FA 단말기로 교체하면서 후불 교통카드 호환을 개시했다.] : 진도[* 단말기만 설치하고 시행하지 않는다.] 전라남도 역시 삼원FA 단말기 강세 지역으로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삼원FA 단말기를 사용한다.[* 강진, 함평군민교통이나 곡성, 장흥, 영광은 교체 전에는 각각 에이텍이나 이비를 사용하였으나 삼원FA로 교체되었다. 또한 진도는 카드 승차가 불가능하고 완도는 이비 쓰다가 무료화한지라 사실상 구례 빼고는 전부 삼원FA 쓴다고 봐도 무방하다.] 2002년 [[마이비]]의 디지털전남예향카드 도입으로 교통카드 승차를 개시했다. == 관련 문서 == * [[버스 관련 정보]] * [[굴곡 노선/버스/전라남도]] * [[시내버스]] [[분류:전라남도의 시내버스]][[분류:나무위키 버스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