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자음 분류)] [[顫]][[動]][[音]] / trill consonant 아래 턱의 조음체와 위 턱의 조음점을 떨어가며 두드리는 소리로, [[순우리말]]로는 '떨림소리', '굴림소리'라고도 한다. '설전음'이라고도 하는데 이건 혀를 써서 조음하는 전동음을 뜻한다. 표준 한국어에는 이런 음이 없기 때문에[* 노래 등에서 가끔 ㄹ을 이렇게 발음하는 경우가 있고 사투리에는 이런 말이 나오기도 한다.] 한국인들은 이 음들을 익히는데 고역을 겪지만[* 사실 양순 전동음은 쉽다. '''자동차 시동 거는 소리'''를 흉내낼 때 종종 나온다.] 사실 전동음은 그렇게 드문 음이 아니다. 특히 치경 전동음은 굉장히 흔한 음이다. 한국인들이 많이 배우는 [[독일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러시아어]] 등에 전동음이 있어서 외국어 학습자들을 애먹인다.[* 단 독일어의 r은 구개수 전동음 대신 구개수 마찰음으로 소리내는 경우도 있다. 프랑스어의 경우 아예 유성 구개수 마찰음(또는 무성 구개수 마찰 전동음)이 표준 발음이고 극소수의 일부 화자들은 구개수 전동음으로, 남부쪽에서는 치경 전동음으로 발음한다.][* 프랑스어에서 [[나무]]를 가리키는 단어가 arbre인데 기초 단어임에도 불구하고 전동음이 두 번 들어가는 것으로 악명 높다.] [[아랍어]]에도 이 발음이 있다. 현재 [[나무위키]]에는 [[자음]]에 대한 문서들이 조음 방법에 따른 분류가 아닌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로 만들어져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해당 문서들로 연결하는 것으로 대신한다. * [[양순음#전동|양순 전동음]] ʙ * [[설순음#전동|설순 전동음]] r̼ / ʙ̺ * [[치경음#전동|치경 전동음]] r * [[치경음#마찰전동|치경 마찰 전동음]] r̝ / r̻ * [[권설음#전동|권설 전동음]] ɽ͡r * [[구개수음#전동|구개수 전동음]] ʀ * [[구개수음#마찰전동|구개수 마찰 전동음]] ʀ̝̊, ʀ̝ * [[후두개음#전동|후두개 전동음]] ʜ, ʢ [[분류:음성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