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종특별자치시의 읍면동)] ||<-2> '''[[세종특별자치시|{{{#000000,#dddddd 세종특별자치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전동면}}}'''[br]全東面 | Jeondong-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세종특별자치시 || || '''행정표준코드''' || 5690074 || || '''관할 법정리''' || 11리 || || '''하위 행정구역''' || 25행정리 61반 || || '''면적''' || 57.70㎢ || || '''인구''' || 3,226명[*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55.91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세종특별자치시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강준현]] ,,(초선),, || ||<-2> '''세종특별자치시의원 | 제5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학서(1962)|김학서]]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운주산로 386 (노장리 583) || || [[https://www.sejong.go.kr/jeondong/index.do|전동면사무소]] || [목차][clearfix] == 개요 == [[세종특별자치시]]의 위치한 면. 북쪽으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남쪽으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연서면]],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상봉리이다. [[전의면]]이 개미고개[* 이 고개를 넘기 위해 지금도 [[경부선]] 철도에 [[터널]]이 뚫려 있을 정도. 이 터널은 길지 않지만, [[경부선]] 하행의 첫 터널이다.]를 두고 있어 [[조치원읍]]과 지속적인 차별성을 두고 생활할 수 있었던 데 반해, 전동면은 [[조천]]을 따라 조금만 올라가면 나오는 곳이라서, 독립적인 [[생활권]] 기능을 많이 잃은 상황이고 [[조치원읍]]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다. == 관할리 == === 노장리 === 전동면사무소가 있는 전동면의 중심지다. [[경부선]] [[전동신호장]], 전동초등학교, 연기노장일반산업단지가 있다. [[금강제화]]의 생산공장 및 물류센터가 있다. === 봉대리 === 평지에 자리잡은 농촌 지역이다. 마을 옆으로 노장천이 흐르고 있고 마을에는 봉대 늪지가 축조되어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국가유공자]] 묘역이 있다. 이 곳을 넘어가면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백자리이다. === 청송리 === [[경부선]]과 [[경부고속선]]이 지나가고, 청송농공단지가 있다. 전통 장류를 만드는 뒤웅박고을이 여기 있다. === 석곡리 === [[1번 국도]]가 지나간다. [[세종포천고속도로]] [[연기IC]] 예정지역. === 보덕리 === === 송곡리 === 송곡보건진료소가 있고, [[세종특별자치시]] [[예비군]]훈련장이 있다. === 송정리 === === 청람리 === [[경부선]]이 지나가고, [[6.25 전쟁]] 때 격전지였던 개미고개가 이곳에 있다. 최근 마을 총회에서 3개의 행정리를 분리하기로 결정하여 지역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 미곡리 === [[1번 국도]]가 지나간다 === 송성리 === 이 곳에 [[베어트리파크]]가 있다. === 심중리 === 마을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산이 깊어 접근하기 힘든 동네이다. 리의 서쪽 경계는 [[조천]]이며, 리의 북쪽은 동림산 정상이다. 동림산(458m)은 전동, 전의는 물론 경계하고 있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과 옥산면 권역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이 산을 피해 서쪽으로 [[경부선]] 본선이 있고, 동쪽으로 [[경부고속도로]]가 나 있는 것이다. 리를 관통하는 도로인 [[흥덕구/읍면 지역 도로|심동로]]가 있으며, 이를 통해 동림산 건너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청주)|옥산면]] 북부로 연결된다. 생활폐기물처리장 옆에 수영장인 세종시민스포츠센터가 있다. [[일제강점기]] 이후 쭉 [[청원군]] 강외면(현 [[오송읍]])이었으나, 강외면 소재지에서 너무 오기 힘든 이유로 1995년 연기군 갈산리가 청원군 [[부강면|부용면]]에 편입되는 대신 심중리가 연기군 전동면으로 교환되어 편입되었다.[* 그러나 그 갈산리도 부용면이 통째로 [[세종특별자치시]]에 편입됨에 따라,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갈산리가 되었다.][* 근데 마찬가지로 조치원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있는 오송읍 상봉리는 여전히 오송읍에 남아 있다.] 실제로도 전동면 소재지인 노장리와 나란히 하고 있는 동네. [[최남선]]이 쓴 [[경부철도가]]에 나오는 갈거리가 바로 이 동네다. == 역사 == || 삼국시대 || 마한의 54개국 중 하나이며 백제의 구지현 || || 고려시대 || 금지현 → 전의현 || || 조선시대 || 1895년 전의군 / 1914년 연기군(전동면) || || 1995년 || 행정구역 조정(심중리 편입) || || 2012년 7월 1일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으로 편입 || 출처: 전동면사무소 누리집 == [[공동주택/목록/세종특별자치시|공동주택]] == [[공동주택/목록/세종특별자치시]] 문서 참조 == 교통 == === 도로 === [[1번 국도]]가 지나간다. === 철도 === [[경부선]] [[전동신호장|전동역]]이 있지만, 여객 영업을 하지 않는 신호장이다. 여객열차는 [[조치원역]]이나 [[전의역]]을 이용해야 하며, 전의역에는 상행 7회, 하행 9회 정차한다. === 버스 === [[조치원읍]] 방면으로 20분 간격인 [[세종 버스 801]]이 자주 운행 중이며, 세종 신도시 및 소정면 방면으로 가는 [[세종 버스 991]]은 전동삼거리, 청송산업단지, 아람달 정류장 등에서 이용할 수 있다. 전동면 마을버스 노선들은 현재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한다. == 교육 == * 초등학교 * 전동초등학교 == 출신 인물 == * [[권문용]](청송리) * [[권처흥]](청송리) * [[권혁기(독립운동가)]](청송리) * [[황갑수]](송성리) == 기타 == [[베어트리파크]], 뒤웅박고을이 전동면의 위치해 있다. [[분류:세종특별자치시의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