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뇌 코일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성운상|{{{#ffffff 역대 성운상 수상작}}}]]''' || ||<-5> [[파일:seiunprize.jpg|width=200]] || ||<-5> [[성운상/미디어 부문|{{{#ffffff '''미디어 부문'''}}}]] || || '''제38회[br]([[2007년]])''' || {{{+1 → }}} || '''제39회[br]([[2008년]])''' || {{{+1 → }}} || '''제40회[br]([[2009년]])''' || || [[시간을 달리는 소녀(애니메이션)|시간을 달리는 소녀]] || {{{+1 → }}} || '''전뇌 코일''' || {{{+1 → }}} || [[마크로스 프론티어]] || ||<-5> || [include(틀:아사히 선정 일본의 TV 애니메이션 104선)] }}} || ||<-2>
{{{#373a3c,#dddddd '''{{{+1 전뇌 코일 Coil a Circle of Children}}}''' (2007)[br]電脳コイル Coil a Circle of Childre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halcyonrealms.com/denno_roman.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373a3c,#dddddd 장르}}}''' ||[[사이언스 픽션|SF]] || || '''{{{#373a3c,#dddddd 원작}}}''' ||<|2>[[이소 미츠오]] || || '''{{{#373a3c,#dddddd 감독}}}''' || || '''{{{#373a3c,#dddddd 감독보좌}}}''' ||야스카와 마사루(安川 勝)[br]타카하시 토모야(高橋知也)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혼다 타케시]] || || '''{{{#373a3c,#dddddd 총 작화감독}}}''' ||[[이노우에 토시유키]][br][[혼다 타케시]][br][[이타즈 요시미]]^^18~26화^^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고로쿠 히로시(合六 弘)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나카우치 테루미(中内照美)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오오바 나오유키(大庭直之)^^1~15화^^[br]센즈이 요이치(泉津井陽一)^^16~26화^^ || || '''{{{#373a3c,#dddddd 편집}}}''' ||사다마츠 고(定松 剛)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모모세 케이이치(百瀬慶一) || || '''{{{#373a3c,#dddddd 음향 효과}}}''' ||타카노 토시오(高野寿夫)[br]사토 히데쿠니(佐藤秀国) || || '''{{{#373a3c,#dddddd 음향 제작}}}''' ||Mediarte || || '''{{{#373a3c,#dddddd 음악}}}''' ||사이토 츠네요시(斉藤恒芳)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마루야마 마사오(1941)|마루야마 마사오]][br]요시모토 사토시(吉本 聡)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매드하우스|[[파일:매드하우스 로고.svg|height=20]]]] || || '''{{{#373a3c,#dddddd 제작}}}''' ||전뇌 코일 [[제작위원회]]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07년 4월|2007. 05. 12.]] ~ 2007. 12. 01.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방송협회|NHK]]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26화 || ||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심의 없음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www6.nhk.or.jp/anime/program/detail.html?i=coi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7년]] [[NHK]] 교육 TV에서 방영된 [[사이언스 픽션|SF]] [[애니메이션]]. [[이소 미츠오]]([[http://rokcha.tistory.com/2692231|이소 미츠오의 전뇌코일 인터뷰 번역 링크]])의 [[감독]] 데뷔작이며 [[각본]]도 직접 담당했다. 제작은 [[반다이]], NHK 엔터프라이즈, [[매드하우스]]. 총 26화 완결. 제29회 [[일본 SF 대상]], 2007년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애니메이션 부문 우수상, 제7회 도쿄애니메이션 어워드 TV애니메이션부문 우수상, 제39회 [[성운상]] 미디어 부문을 차지하는 등 주요상을 싹쓸이했다. SF 배경으로 여러가지 주제를 다루면서도 크게 난해하거나 어두컴컴한 분위기가 아니라는 점 때문에 '아동용 소프트 [[공각기동대]]', 마치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을 연상하는 배경과 캐릭터[* 그도 그럴게 이 작품의 제작 [[스태프]] 일부는 [[스튜디오 지브리]] 출신이다.] 때문에 '전뇌 [[토토로]]'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다만 초반의 유쾌한 분위기와는 다르게 떡밥이 풀릴수록 후반부엔 진지한 이야기 전개 및 공포스러운 연출들이 섞여있고, 치밀한 스토리와 심오한 주제로 마냥 가볍지만은 않다. [[스토리]], [[주제]], [[연출]], 작화 모든 영역에서 상당히 높은 완성도를 보이는 데에 비해 그에 걸맞지 않는 낮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애니메이션. 물론 방영 당시에만 망한 것이지 이후로 입소문으로 꾸준한 인기와 수익성을 얻어냈으며 덕분에 이소 미츠오는 신작 [[지구 밖 소년소녀]]에서도 스폰서를 얻어낼 수 있었다. 공식 홈페이지 : [[http://www.tokuma.jp/coil/]] == PV == [youtube(6R4F6Vxh93g)] == 줄거리 == 어디서든 인터넷에 접속 할 수 있는 [[전뇌 안경]]이 개발된, 2025~6년으로 추정되는 근미래의 [[다이고쿠 시]]라는 도시가 배경으로, 이곳으로 전학온 [[오코노기 유코]]와 [[아마사와 유코]] 이름이 같은(하지만 한자는 다른)두 아이를 중심으로 '''미치코'''라는 도시전설에 관련된 전뇌 세계의 비밀에 다가서게 되는 이야기이다. == 특징 == 초등학생들을 주인공으로 초반에는 짤막한 에피소드 들로 전뇌 공간의 특징과 이 세계의 다양한 장치들을 기발한 화면으로 소개하여 시선을 잡으나, 후반에 들어가면 갑자기 분위기가 반전되어 공포 분위기가 연출, 본편으로 접어드는 전개를 사용한다. 작화로도 유명한데 애니메이터 중 최고의 실력파인 [[이소 미츠오]]가 만든 애니메이션이라 [[이노우에 토시유키]], [[혼다 타케시]][* 캐릭터 디자이너이자 총작화감독인 혼다 타케시의 작화 비중은 많지 않은데 이소 미츠오 감독이 너무 깐깐하게 요구를 해서 질려서 중간에 도망갔다는 소리가 있다. 이후로도 오랜 기간 동안 이소 미츠오와 같은 작품을 하는 것 조차 피했을 정도로 사이가 악화되었다. 다만 나중에 대신 투입된 [[이타즈 요시미]], [[오시야마 키요타카]], 무로이 야스오 같은 신인 애니메이터들도 대단해서 큰 문제는 느낄 수 없다.] 같은 천재 애니메이터들이 이례적으로 큰 비중으로 참여해주었다. 원래 이 사람들은 귀한 인재라 일부 장면만 담당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작품엔 한 화 전체를 담당해주기까지 했다. 거기다 한 작품에 한 명 볼까말까한 조합인데 이걸 한 작품에 뭉쳐놨다. 이소 미츠오의 영향력을 알 수 있는 점. 그래서 캐릭터 디자인을 보면 뭔가 안 예뻐 보이는데 움직임이 극장판 수준이다. 이런 작화는 작품에 대한 몰입도를 높여주며, 여러가지 CG 효과를 적절하게 사용하고 그에 걸맞는 정적인 연출으로 인해 높은 질의 영상미를 유지하고 있다. 작화 매니아와 애니메이터 사이에서는 같은 2007년 방영의 [[천원돌파 그렌라간]]과 합쳐서 2007년 양대 작화 애니로 불리며 둘이 합쳐 '그렌코일(グレン・コイル)' 이라고도 한다. 전뇌 공간과 현실 공간이 겹쳐있는 세계 (일종의 대규모 [[증강현실]] 시스템[* 영상처리를 연구하는 전자공학도의 입장에서 볼 때, [[증강현실]]의 발전방향으로서 대단히 모범적인 미래를 그리고 있다고 한다.])를 그리는 기발한 화면 효과, 요즘 애니메이션에서 찾기 힘든, 어릴적 향수를 자극하는 정통파의 분위기, 우월한 작화 퀄리티, 연기파 성우들로 뭉쳐진 성우진, 흥미진진한 후반 전개와 감동적인 엔딩 등으로 큰 호평을 받으며 2007년도 숨은 명작으로 칭송받는 애니메이션. 무엇보다 캐릭터성에 크게 의존하여, 스토리는 등장인물을 돋보이게 만들기 위한 도구정도로 취급되는 현재 일본 만화/애니메이션 흐름에 완전히 반하는 작품으로, 이야기 구조가 전면에 놓여있고, 등장인물은 이야기를 전개하기 위한 도구정도로만 취급된다. 실제로, 모에와는 거리가 멀지만 다양한 얼굴표현과 표정연출로 좀더 이야기 전개에 유리한 화풍을 사용했으며, 내용상 중요도가 덜한 인물이 오히려 외모나 행동거지가 더 튀고 초반 포커스도 자주 받는 경향을 보인다. 얼리어댑터로 유명한 이소 미츠오가 최신 기술을 연구하고 시뮬레이션을 굴려 세계관을 구성해 이 작품에 나온 기술 중 상당 수는 10년이 넘어 실현이 되었다. 예언 애니메이션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 작품에 나온 [[전뇌 안경]]과 비슷한 기능을 가진 [[구글 글래스]]는 기술적인 문제점 때문에 일찍이 사장되기도 했지만, 2020년대 들어서는 [[인공지능]], [[메타버스]]와 함께 [[AR 글래스]]가 재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작중에서 하는 일들은 [[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게 되었고, 대부분의 기술이 상용화되거나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비트코인]]의 등장을 예견하기도 했다. 이소 미츠오 감독의 작품 [[지구 밖 소년소녀]] PV에서는 이 작품을 언급하면서 "예언 작품" 이라고 홍보하기도 했다. 이런 종류의 일본 만화/애니메이션에서 자주 등장하는, 중후반부 이후 쓸데없이 신, 우주, 세계등을 끌어들이는 현상 역시 없다. 적절한 크기의 판을 짜서 적절한 수준으로 완성도 있게 끝맺음 하였다. 여러모로 일본에서 만든것같지가 않은 일본 애니메이션. 다만 굳이 비판을 하자면 스토리 진행이 좀 늘어진다는 평이 가끔 있다. 시청률이나 상품화 따위에 연연하지 않는 국영 방송사 제작이라 관련상품이 적기는 하지만 나중에 입소문으로 인기를 얻어 의외로 동인계에서는 인기가 높다.([[코우메 케이토]]나 [[라이타]]등 그 길의 유명인들이 득시글댄다) 꽤 자주 재방송을 하는 것도 그 때문. 방영 초기에 [[모에]]라는 시류를 따르지 않는 특성, 그리고 같은기간 방영했던 경쟁작들의 포스[* 전뇌 코일이 방영되었던 2007년은 '''나노하 STRIKERS''', '''러키스타''' 등등 여러가지 면에서 엄청난 화제를 몰았던 작품들이 연달아 터져나오고 있었으며, 이 애니메이션이 방영되는 시간과 같은 시간대엔 '''천원돌파 그렌라간'''이 방영되고 있던터라...]때문에 관심조차 두지 않은 사람들이 많았으나, "등장인물 대부분이 [[안경]]을 쓴 본격 안경 모에 애니메이션"이란 말을 하는 사람도 있고, 종영된지 한참 지난 뒤에야 명작이라고 칭송받고 있다. 10권까지 소설판이 나와있다. 물론 일본에서. 미디어믹스물 답지않은 밀도있는 내용이라 상당히 평가가 좋다. 실제 [[라이트 노벨]]이 아니라 일반 소설 레이블로 나오고 있다. 사족으로 작가의 이름의 [[미야무라 유코(각본가)|미야무라 유코]]이다. 물론 성우와 동명이인(...) 2010년 6월 12권 발매예정. 코믹스판으로도 나와있는데, 원작과의 작화의 괴리가 꽤 큰 편. == 등장인물 == 본편에서 등장인물들이 본명보다 별명으로 더 많이 불린다. * [[오코노기 유코]] - 야사코(ヤサコ) * [[아마사와 유코]] - 이사코(イサコ) * [[오코노기 쿄코]] * [[오코노기 사나에]] - 메가바아(メガばあ) * [[하라카와 켄이치]] - 하라켄(ハラケン) * [[아시하라 칸나]] * [[하라카와 타마코]] - 오바쨩(オバちゃん) * [[하시모토 후미에]] - 후미에(フミエ) * [[하시모토 아키라]] - 아키라(アキラ) * [[사와구치 다이치]] - 다이치(ダイチ) * [[네코메 소스케]] * [[네코메 타케루]] * [[4423]] 등장 펫마톤 * [[덴스케]] - 야사코와 쿄코의 펫 * [[오야지]] - 후미에의 부하 * [[미젯]] - 아키라의 펫 * [[모조]] - 이사코의 펫 == 설정 == * [[전뇌 안경]] * [[메타 버그]] * 메타 태그 : 메타 버그라는 수수께끼의 물질을 가공해 만든 아이템. 특정 디바이스가 없으면 만들지 못하는 듯하다. 주된 기능은 서치나 큐쨩의 전뇌체에 데미지를 주거나(금방 회복하지만) 전뇌 안경을 이용한 해킹의 보조 및 타인의 접근이나 공격을 막아내는 결계역할. 생김새는 부적과 비슷하며 한장 한장을 목표에게로 던져 사용한다. 실제의 몸과 전뇌체가 어긋났을 때 사용하는 메타 태그는 코일 태그라고 부른다. * [[낡은 공간]] * [[코일 탐정국]] * [[암호사]] * [[다이코쿠 헤이쿠]] * [[다이고쿠 시]] * [[다이고쿠 시 공간관리국]] * [[서치]] * 큐쨩 : 다이코쿠 시에서 도입한 백신 프로그램으로 구체라서 큐쨩이라고 불린다. 마을을 순찰하면서 버그를 닥치는대로 없앤다는 점에서는 [[서치]]와 같지만 거대한 몸을 지닌 서치와는 달리 작고 동그란 몸 때문에 허공을 날아다닐 수 있어 기동성이 뛰어나다. 대개 서치 하나당 4개의 큐쨩을 장비(!)할 수 있다.[* 서치의 인상을 험악하게 만드는 불법개조를 통해서 3기를 더 장착하고 1대를 위성으로 거느릴수 있다.] * [[일리걸]] * [[널(전뇌 코일)|널]] * [[널 캐리어]] * [[이마고]] * [[미치코]] == 주제가 == ||<-2>
'''{{{#373a3c,#dddddd OP[br]プリズム[br]프리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D1WMzMlBQo,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이케다 아야코(池田綾子) || || '''작사''' || - || || '''작곡''' || - || || '''편곡'''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히라마츠 타다시]], [[이소 미츠오]] || || '''연출''' || 야스카와 마사루(安川 勝) || || '''작화감독''' || [[혼다 타케시]] || || '''원화''' || [[노무라 카즈야]], [[오시야마 키요타카]], [[이타즈 요시미]], [[이노우에 토시유키]], [[무코다 타카시]] 등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2>
'''{{{#373a3c,#dddddd ED[br]空の欠片[br]하늘의 파편}}}'''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Ogv8dl18FU,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이케다 아야코(池田綾子) || || '''작사''' || - || || '''작곡''' || - || || '''편곡'''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이소 미츠오]] || || '''연출''' || 타카하시 토모야(高橋知也) || || '''작화감독''' ||<|2> [[모리카와 사토코|혼마 카이치]](本間嘉一)[* 애니메이터 [[모리카와 사토코]]의 가명.] || || '''1인 원화''' || || '''미술''' || 고로쿠 히로시(合六 弘)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국내에서는 정식 방영이 이뤄지지 않는 작품이므로 한국어 제목 번역은 임의로 서술되었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2 제1화}}} || {{{-2 メガネの子供たち[br]안경과 아이들}}} ||<|6> {{{-2 [[이소 미츠오]]}}} || {{{-2 이소 미츠오}}} ||<|2> {{{-2 야스카와 마사루[br](安川 勝)}}} ||<|2> {{{-2 [[혼다 타케시]]}}} || {{{-2 2007.05.12.}}} || || {{{-2 제2화}}} || {{{-2 コイル電脳探偵局[br]코일 전뇌 탐정국}}} || {{{-2 [[무라타 카즈야]]}}} || {{{-2 2007.05.19.}}} || || {{{-2 제3화}}} || {{{-2 優子と勇子[br][[오코노기 유코|유코]]와 [[아마사와 유코|유코]]}}} ||<-2> {{{-2 [[요코야마 아키토시]]}}} || {{{-2 [[이토 노부타케]]}}} || {{{-2 2007.05.26.}}} || || {{{-2 제4화}}} || {{{-2 大黒市黒客クラブ[br][[다이고쿠 시]] 고객 클럽}}} || {{{-2 [[사사키 신사쿠]]}}} || {{{-2 야스카와 마사루}}} || {{{-2 [[이타즈 요시미]]}}} || {{{-2 2007.06.02.}}} || || {{{-2 제5화}}} || {{{-2 メタバグ争奪バスツアー[br][[메타 버그]] 쟁탈 버스 투어}}} || {{{-2 요코야마 아키토시}}} || {{{-2 이케조에 타카히로[br](池添隆博)}}} || {{{-2 [[오시야마 키요타카]]}}} || {{{-2 2007.06.09.}}} || || {{{-2 제6화}}} || {{{-2 赤いオートマトン[br]붉은 오토마톤}}} || {{{-2 [[오오츠카 마사히코]][br][[마츠바야시 타다히토]]}}} || {{{-2 키무라 노부카게[br](木村延景)}}} || {{{-2 [[하타 아야코]]}}} || {{{-2 2007.06.16.}}} || || {{{-2 제7화}}} || {{{-2 出動!! コイル探偵局[br]출동!! 코일 탐정국}}} || {{{-2 이소 미츠오[br]미야무라 유코[br](宮村優子)}}} || {{{-2 사사키 신사쿠}}} || {{{-2 노가미 카즈오[br](野上和男)}}} || {{{-2 오자키 카즈타카[br](尾崎和孝)}}} || {{{-2 2007.06.23.}}} || || {{{-2 제8화}}} || {{{-2 夏祭り、そして果たし合い[br]여름 축제, 그리고 결투}}} ||<|7> {{{-2 이소 미츠오}}} || {{{-2 [[마스이 소이치]]}}} || {{{-2 [[이와사키 타로]]}}} || {{{-2 [[아라이 코이치]]}}} || {{{-2 2007.06.30.}}} || || {{{-2 제9화}}} || {{{-2 あっちのミチコさん[br]저기 있는 미치코 씨}}} || {{{-2 사사키 신사쿠}}} || {{{-2 노가미 카즈오}}} || {{{-2 이노우에 에이[br](井上 鋭)}}} || {{{-2 2007.07.07.}}} || || {{{-2 제10화}}} || {{{-2 カンナの日記[br]칸나의 일기}}} ||<-2> {{{-2 [[히라마츠 타다시]]}}} || {{{-2 [[무코다 타카시]]}}} || {{{-2 2007.07.14.}}} || || {{{-2 제11화}}} || {{{-2 沈没! 大黒市[br]침몰! 다이코쿠 시}}} || {{{-2 요코야마 아키토시}}} || {{{-2 노가미 카즈오[br]타카하시 토모야[br](高橋知也)}}} || {{{-2 [[이노우에 토시유키]]}}} || {{{-2 2007.07.21.}}} || || {{{-2 제12화}}} || {{{-2 ダイチ、発毛ス[br]다이치, 발모}}} || {{{-2 이소 미츠오}}} || {{{-2 키무라 노부카게}}} || {{{-2 하타 아야코}}} || {{{-2 2007.07.28.}}} || || {{{-2 제13화}}} || {{{-2 最後の首長竜[br]최후의 수장용}}} || {{{-2 무라타 카즈야}}} || {{{-2 [[노무라 카즈야]]}}} || {{{-2 오시야마 키요타카}}} || {{{-2 2007.08.04.}}} || || {{{-2 제14화}}} || {{{-2 いきものの記録[br]생명의 기록}}} || {{{-2 야스카와 마사루}}} || {{{-2 타카하시 토모야}}} || {{{-2 이노우에 토시유키}}} || {{{-2 2007.09.01.}}} || || {{{-2 제15화}}} || {{{-2 駅向こうの少年[br]역 앞의 소년}}} || {{{-2 이소 미츠오[br]아라키 요이치[br](荒木洋一)[br]마츠자와 요스케[br](松澤洋介)}}} || {{{-2 노무라 카즈야}}} || {{{-2 야스카와 마사루}}} || {{{-2 이타즈 요시미}}} || {{{-2 2007.09.08.}}} || || {{{-2 제16화}}} || {{{-2 イサコの病室[br]이사코의 병실}}} || {{{-2 이소 미츠오[br]마츠자와 요스케[br]후카노 마사아키[br](深野正明)}}} || {{{-2 이케조에 타카히로}}} || {{{-2 아오야기 히로노리[br](青柳宏宜)}}} || {{{-2 이노우에 토시유키[br]요시카와 신이치[br](吉川真一)}}} || {{{-2 2007.09.15.}}} || || {{{-2 제17화}}} || {{{-2 最後の夏休み[br]최후의 여름방학}}} ||<|2> {{{-2 이소 미츠오[br]아라키 요이치}}} || {{{-2 [[후쿠다 미치오]][br]이소 미츠오}}} || {{{-2 노무라 카즈야}}} || {{{-2 이노우에 토시유키}}} || {{{-2 2007.09.22.}}} || || {{{-2 제18화}}} || {{{-2 異界への扉[br]이계에서의 죄}}} || {{{-2 사사키 신사쿠}}} || {{{-2 노가미 카즈오}}} || {{{-2 하타 아야코}}} || {{{-2 2007.09.29.}}} || || {{{-2 제19화}}} || {{{-2 黒い訪問者[br]검은 방문자}}} ||<|2> {{{-2 이소 미츠오[br]마츠자와 요스케}}} || {{{-2 츠루오카 코지로[br](鶴岡耕次郎)[br]이소 미츠오}}} || {{{-2 키무라 노부카게}}} || {{{-2 혼마 아키라[br](本間 晃)[br]오시야마 키요타카[br]하타 아야코}}} || {{{-2 2007.10.06.}}} || || {{{-2 제20화}}} || {{{-2 カンナとヤサコ[br]칸나와 야사코}}} || {{{-2 사사키 신사쿠}}} || {{{-2 노가미 카즈오[br]야스카와 마사루}}} || {{{-2 이타즈 요시미}}} || {{{-2 2007.10.13.}}} || || {{{-2 제21화}}} || {{{-2 黒いオートマトン[br]검은 오토마톤}}} || {{{-2 이소 미츠오[br]아라키 요이치}}} || {{{-2 사사지마 케이이치[br](笹嶋啓一)[br]노무라 카즈야}}} || {{{-2 사사지마 케이이치}}} || {{{-2 이노우에 토시유키[br]요시카와 신이치}}} || {{{-2 2007.10.20.}}} || || {{{-2 제22화}}} || {{{-2 最後のコイル[br]최후의 코일}}} ||<|2> {{{-2 이소 미츠오[br]미카미 코시로[br](三上幸四郎)}}} || {{{-2 무라타 카즈야[br]노무라 카즈야}}} || {{{-2 키무라 노부카게}}} || {{{-2 오시야마 키요타카}}} || {{{-2 2007.10.27.}}} || || {{{-2 제23화}}} || {{{-2 かなえられた願い[br]이루어진 소원}}} || {{{-2 노무라 카즈야}}} || {{{-2 아오야기 히로노리}}} || {{{-2 [[모리카와 사토코|혼마 카이치]][* 애니메이터 [[모리카와 사토코]]의 필명.][br](本間嘉一)[br]하타 아야코[br][[아오야마 히로유키]]}}} || {{{-2 2007.11.10.}}} || || {{{-2 제24화}}} || {{{-2 メガネを捨てる子供たち[br]안경을 버린 아이들}}} ||<|2> {{{-2 이소 미츠오[br]마츠자와 요스케}}} ||<-2> {{{-2 타카하시 토모야}}} || {{{-2 혼마 아키라[br]오시야마 키요타카}}} || {{{-2 2007.11.17.}}} || || {{{-2 제25화}}} || {{{-2 金沢市はざま交差点[br]카나자와 시 틈새 교차점}}} ||<-2> {{{-2 노무라 카즈야}}} || {{{-2 이타즈 요시미}}} || {{{-2 2007.11.24.}}} || || {{{-2 제26화}}} || {{{-2 ヤサコとイサコ[br]야사코와 이사코}}} ||<-2> {{{-2 이소 미츠오}}} || {{{-2 야스카와 마사루[br]키무라 노부카게}}} || {{{-2 이노우에 토시유키}}} || {{{-2 2007.12.01.}}} || == 각 화 원화 애니메이터 == [[이소 미츠오]] 감독이 작화계에서 유명한 사람이라 [[스튜디오 지브리]] 같은 곳에서나 활동하는 특급 애니메이터가 많이 참가한 작품이다. 콘티, 연출, 작화감독은 회차 목록 참조. * 1화 - [[콘도 카츠야]], [[이노우에 토시유키]], [[오시야마 키요타카]], [[하타 아야코]], [[타니구치 준이치로]], [[타나카 히로토]], [[쿠보오카 토시유키]], 카네코 슈이치(金子秀一), [[모리타 히로유키]], [[이소 미츠오]], [[무코다 타카시]] * 2화 - [[이노우에 토시유키]], [[혼다 타케시]], [[야마시타 타카아키]], [[쿠보오카 토시유키]], [[이토 노부타케]], [[아라이 코이치]], [[타니구치 준이치로]], 이케조에 타카히로(池添隆博) 등 * 3화 - [[하타 아야코]], [[모리타 히로유키]], 쿠와나 이쿠오(桑名郁朗), [[아베 신고]], [[키쿠치 카츠야]], [[이토 노부타케]] 등 * 4화 - [[이노우에 토시유키]], [[혼다 타케시]], [[모리카와 사토코]][* 이 작품에서는 혼마 카이치(本間嘉一) 명의를 썼다.], 이노우에 에이(井上 鋭), [[오시야마 키요타카]], [[이타즈 요시미]] 등 * 5화 - [[이타즈 요시미]], [[이노우에 토시유키]], [[모리카와 사토코]], 이노우에 에이, 무로이 야스오(室井康雄), [[코지마 치카]], [[타카노 아야]], [[오시야마 키요타카]] * 6화 - [[모리카와 사토코]], 이노우에 에이, [[이타즈 요시미]], [[하타 아야코]], 등 * 7화 - [[콘도 카츠야]], [[오시야마 키요타카]], [[타카하시 유이치]] 등 * 8화 - [[야마시타 타카아키]], [[엔도 마사아키(애니메이터)|엔도 마사아키]], [[하타 아야코]], [[타나카 히로토]], [[이토 노부타케]], [[타니구치 준이치로]], 이케조에 타카히로, [[스기우라 코지]], [[오구라 노부토시]], [[아라이 코이치]], 무코다 타카시 등 * 9화 - [[이노우에 토시유키]], [[모리카와 사토코]], [[혼다 타케시]], 무로이 야스오, [[이시이 유리코]], 이노우에 에이 등 * 10화 - [[아메미야 아키라]], [[야마구치 사토시]], 사다카타 키쿠코(貞方希久子), 무코다 타카시 등 * 11화 - 이노우에 에이, [[모리카와 사토코]], [[에구치 히사시(애니메이터)|에구치 히사시]], [[안도 마사시]], [[이시하마 마사시]], [[키세 카즈치카]], [[아오야마 히로유키]], [[스즈키 히로후미]], [[마츠타케 토쿠유키]], 카와나 쿠미코(川名久美子), [[니시다 타츠조]], 무로이 야스오, 이마이 카즈아키(今井一暁), [[사와다 히데히코]], [[혼다 타케시]], [[이노우에 토시유키]] * 12화 - [[이타즈 요시미]], [[아오야마 히로유키]], 무로이 야스오, [[하타 아야코]], [[이소 미츠오]] 등 * 13화 - [[이타즈 요시미]], 카와나 쿠미코, 무로이 야스오, [[오시야마 키요타카]] 등 * 14화 - 우노 이치로(夘野一郎), [[이노우에 토시유키]] 등 * 15화 - 카와나 쿠미코, 무로이 야스오, [[타니구치 준이치로]], [[이타즈 요시미]] 등 * 16화 - [[모리카와 사토코]], 무로이 야스오, [[이노우에 토시유키]] 등 * 17화 - [[이시하마 마사시]], [[쿠보타 치카시]], 무로이 야스오, [[노무라 카즈야]], [[아오야마 히로유키]], [[이노우에 토시유키]] 등 * 18화 - [[이노우에 토시유키]], [[모리카와 사토코]], [[이타즈 요시미]], [[아오야마 히로유키]], [[하타 아야코]], 카와나 쿠미코 등 * 19화 - [[오시야마 키요타카]], 카와나 쿠미코, 무로이 야스오, [[히라카와 테츠오]] 등 * 20화 - [[모리카와 사토코]], [[이노우에 토시유키]], 카와나 쿠미코, [[오시야마 키요타카]], 무코다 타카시 * 21화 - [[아오야마 히로유키]], [[하타 아야코]], [[사와다 히데히코]], [[이노우에 토시유키]], 무코다 타카시 등 * 22화 - [[안도 마사시]], [[이타즈 요시미]], 카와노 쿠미코, [[노무라 카즈야]], [[후루카와 히로유키]], [[타카노 아야]], [[오시야마 키요타카]] 등 * 23화 - 카와노 쿠미코, [[이시하마 마사시]], [[스기에 토시하루]], [[타니구치 준이치로]], [[아오야마 히로유키]], [[하타 아야코]], [[모리카와 사토코]] 등 * 24화 - [[모리카와 사토코]], 카와노 쿠미코, 이마이 카즈아키, [[사와다 히데히코]], 이마무라 다이키(今村大樹), [[타카노 아야]], [[히라카와 테츠오]] 등 * 25화 - [[쿠보타 치카시]], [[료치모]], 우사미 코이치(宇佐美皓一), 쿠와나 이쿠오, [[마스야마 료지]], [[엔도 마사아키(애니메이터)|엔도 마사아키]], [[하야시 유키(애니메이터)|하야시 유키]], [[마키하라 료타로]], [[하타 아야코]], [[모리카와 사토코]], [[노무라 카즈야]], [[이타즈 요시미]], 무코다 타카시 등 * 26화 - [[오시야마 키요타카]], [[쿠보타 치카시]], 카와노 쿠미코, [[이시하마 마사시]], [[요시다 켄이치]], [[스기에 토시하루]], [[안도 마사시]], [[히라마츠 타다시]], [[스즈키 히로후미]], [[니시다 타츠조]], [[에구치 히사시(애니메이터)|에구치 히사시]], [[타나카 히로토]], [[하타 아야코]], 이노우에 에이, [[아오야마 히로유키]], [[모리카와 사토코]], [[이노우에 토시유키]], [[이타즈 요시미]], [[이소 미츠오]], 무코다 타카시 등 == 기타 == * [[헬싱]]의 작가 [[히라노 코우타]]가 헬싱 9권 후기에서 격렬한 애정을 표현하였다. * 평론가 중에서는 작화 전문 평론가 [[오구로 유이치로]]가 극찬한 작품이다. 이 사람은 이걸 방영 전부터 명작이 될 것이라며 추천하고 다녔다. 업계 인맥으로 어떤 연출가와 애니메이터가 참가하는지 사전에 이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 DVD판의 경우 조악한 구성으로 나와 많은 욕을 들어먹었다. 조악한 구성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화질 문제'''까지 겹쳤다. 이건 정말 답이 없다. [[http://dvdprime.dreamwiz.com/bbs/view.asp?major=MD&minor=D1&master_id=24&bbsfword_id=&master_sel=&fword_sel=&SortMethod=0&SearchCondition=1&SearchConditionTxt=%C0%FC%B3%FA&bbslist_id=1185405&page=1|관련글]] [[블루레이]]의 신이 강림하시기 전까지는 '''그냥 녹화본 보자'''. 근데 나오라는 블루레이는 안나오고 2010년 3월 26일에 [[UMD]]로 나온댄다. 안될거야. [[http://dbeat.bandaivisual.co.jp/news/?catid=1&itemid=485|참고]]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 블루레이판 발매 확정! 2011년 11월 25일 발매. [[http://www.tokuma.co.jp/coil/bd_box.html|참고]] * 작품 내 캐릭터의 이름을 7~80년대 유행한 전자제품(물론 일본에서)들의 이름이나 별명에서 따왔다고 한다. 대표적으로 주인공의 전뇌 강아지의 이름인 '덴스케'는 1970년대 나왔던 라디오 겸용 테이프 레코더인 TC-2890SD의 별명이고 백신프로그램인 서치가 등장할 때마다 "나는 서치!"라고 외치는 것은 그 시대 전자제품 광고의 패러디이다. * [[주술회전]] 작가 [[아쿠타미 게게]]가 주술회전 공식 팬북에서 좋아하는 애니메이션으로 거론했다. [[분류:전뇌 코일]][[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