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IA 타이거즈)] ---- [[파일:/image/zoominusa/2009/09/14/20090914133743_thumbnail.jpg]] ---- ||<-2> KIA 타이거즈 2군 전 홈구장 || || '''구장명''' || 전남 야구장 [br] (Jeonnam Stadium) || || '''개장''' || [[2004년]] [[10월]] || || '''소재지''' ||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올림픽로(함평)|올림픽로]] 281-20 (용성리) || || '''홈 구단''' || [[KIA 타이거즈/2군|KIA 타이거즈 2군]] (2006~2011) || || '''크기''' || 좌우 펜스 97m[br]중앙 펜스 114m || || '''잔디''' || [[천연 잔디]] || || '''좌석 규모''' || 100석 || ||<-2> [include(틀:지도, 장소=함평 전남야구장, 너비=100%, 높이=225px)]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용성리에 위치한 야구장이다. 2006년부터 2011년까지 [[KIA 타이거즈 2군]]이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현재는 [[전라남도]]에서 관리하는 도립 야구장이다. 1루 측에 관중석이 있다. [[대중교통]] 접근성이 상당히 불편[* 인터넷에서 지도로 찾아보면 알겠지만 정말 주위에 아무 것도 없다.]해서 야구장에 가고 싶으면 [[함평공영터미널]]에 내려서 택시나 자가용을 타고 가는 게 빠르다. == 시설 == 참혹 그 자체다. [[http://gong-jja.tistory.com/48|일단 보자]]. 일단 '''조명 시설이 없어서 야간 경기를 할 수 없는 건 기본'''이고, 시설이 너무 노후되어서 '''1루 베이스가 찢어졌고, [[스프링클러]]는 덮개도 없고, 나오지도 않는다.''' 또한 경기장 뒤쪽에 가면 물품보관 [[컨테이너]]가 있는데, 그 [[컨테이너]] 뒤편으로는 [[소]]를 기르는 [[농장]]이 있다! 가끔씩 [[소]]가 우는 소리도 들린다고 전해진다. 거기에 더해 3루쪽 펜스를 보면 거대한 담벼락 같은게 보이는데, 그 정체는 저수지[* 2000년대 초반까지 목포시 상수원으로 활용했던 대동댐. 상수원으로 사용이 중단된 직후에 전남야구장이 조성되었다.] 둑이다. 기본적인 숙소도 없어서 2군 경기장 시절에 기아 선수들은 광주에서 여기까지 매일 출퇴근을 해야 했다. 그래도 그나마 점수를 표시하는 전광판은 [[LED]]라서 잘 작동한다. == [[KIA 타이거즈]]에서 사용한 이유 == 이렇게 구장 시설이 참혹한 걸 알면 사용하지 않았을 법한데도 이런 상황을 감수하고 [[KIA 타이거즈]]는 이곳을 2군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사실 '''2005년까지 [[KIA 타이거즈 2군]]은 2군 구장 자체가 없었고''' [[무등 야구장]]을 1군과 공동으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원래 [[해태 타이거즈]] 시절 함평 일대에 부지를 사들여 야구장과 클럽하우스를 건설할 계획을 잡으려 했으나 [[1997년 외환 위기]]로 모기업이 망하면서 흐지부지 되었다. 그래서 [[기아 챌린저스 필드]]를 완공하기 전에는 전남 야구장 등을 임대해 사용한 것이다. 한때 KIA 타이거즈의 주축 선수들이 부상 및 부진으로 인해 2군으로 소속해서 함평에 왔을 때 2군 등록 기간을 다 채우고 1군에 콜업되자 엄청난 활약을 보인 경우가 있었다. 이를 두고 '시설이 하도 열악해서 조금이라도 빨리 탈출하려고 열심히 훈련을 했기 때문'이라는 농담도 있었다. == 여담 == * [[차영화]]가 해태 코치 시절 1990년대 중반에 함평에 사비를 들여서 훈련장을 지을 생각이었다고 한다. 비록 무산되었지만 시간이 흘러서 [[함평-KIA 챌린저스 필드]]가 지어지면서 매우 좋아했다는 후문이 있다. * [[2009년]] 시즌 초에 [[KIA 타이거즈 갤러리]]에서 열악한 환경에서도 열심히 훈련하는 2군 선수단과 코치들을 위하여 조공을 한 적이 있었다. 당시 [[차영화]] 2군 감독이 좋아했다고 한다. * [[2014년]] [[10월]] 이 야구장 옆에 [[함평군]]에서 건립한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100923204767251|함평 대동야구장이 건립]]되었다. 기존 야구장과는 달리 야간 경기도 가능하고 아마추어 야구를 하기에는 적당한 구장으로 건축되었다. 이렇게 해서 [[함평군|함평]]에만 __전남 야구장, 대동야구장, 나비베이스타운(리틀야구장), [[기아 챌린저스 필드]]__ 등 '''네 군데의 규격 야구장'''이 갖춰진 셈이다. [[분류:전라남도의 야구장]][[분류:KIA 타이거즈/2군]][[분류:함평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