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전한]] 때 [[유향]](劉向)이 편집한 [[전국시대]] 모사들의 책략 모음집. == 상세 == 본래 존재했던 국책(國策), 국사(國事), 사어(事語), 단장(短長), 장서(長書), 수서(修書) 등의 서적을 유향이 33편으로 모아서 정리한 것이다. 기원전 476년부터 기원전 222년까지 다루었으며 [[서주]](西周), [[동주]](東周), [[진(통일왕조)|진(秦)나라]], [[제(춘추전국시대)|제(齊)나라]], [[초(춘추전국시대)|초(楚)나라]], [[조(전국시대)|조(趙)나라]], [[위(전국시대)|위(魏)나라]], [[한(전국시대)|한(韓)나라]], [[연(춘추전국시대)|연(燕)나라]], [[송(춘추전국시대)|송(宋)나라]], [[위(춘추전국시대)|위(衛)나라]], [[중산|중산국]](中山國) 등의 12개의 [[국가]]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내용상 [[사기(역사책)|사기]]와 겹치는 부분이 많지만, 일반 역사서와 다르게 [[왕]]이 중심이 아닌 전국시대에 활약한 사람들의 [[정치]], [[외교]], [[전략]], [[군사]] 등 다방면의 책략을 벌인 일화를 대화체로 서술했다. [[후한]]의 고유(高誘)의 주석이 있었지만, [[북송]] 초기에 대부분 소실된 것을 [[증공]](曾鞏)이 정리하여 대부분 복원했다. [[동진]] 때 공연(孔衍)이 전국책의 내용이 완벽하지 못하다고 해서 [[사마천]]의 사기를 인용해 같고 다른 점을 참고해 춘추후어(春秋後語)를 편찬했다. [[북송]]의 포표(鮑彪)가 이를 개정하여 새로운 주석을 만들거나 [[남송]]의 요굉(姚宏), 홍매 등이 주석을 추가로 달았으며, [[원나라]]의 오사도(吳師道)가 포표와 요굉의 주석을 토대로 책을 펴내거나 원나라의 오래도 추가로 주석을 달았다. 근대 인물인 김정위도 주석을 달았다. 의고파 학자인 [[미야자키 이치사다]](宮崎市定) 같은 사람은 전국책이 역사서가 아니고, 당시 외교학원에서 쓰던 일종의 [[케이스 스터디]] 교과서라고 보았다. 그걸 사마천이 사기에 수록해서 역사로 만들어 버렸다는 것. [[1973년]]에 [[후난성|호남성]] [[창사|장사]](長沙) 마왕퇴(馬王堆) 한묘(漢墓)에서 <전국종횡가서(戰國縱橫家書)>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유향이 정리한 전국책의 원형이 되는 책이었다. 사기에 기록된 [[소진(전국시대)|소진]]의 주요 활동 시기에 관해서 배치되는 기록이 남아있었는데, 전국종횡가서에서는 소진의 활동 시기가 [[장의]] 사후이며 [[연소양왕]]이 선비를 좋아한다는 소문을 듣고 소진이 연나라에 들어가 유세를 하여 소양왕한테 중용되었다는 기록이 남았다. == 관련 [[고사성어]] == * [[견토지쟁]](犬兎之爭) * [[교토삼굴]](狡兎三窟) * [[망양보뢰]](亡羊補牢) * [[방휼지쟁]](蚌鷸之爭) * [[사족]](蛇足) * [[삼인성호]](三人成虎) * [[어부지리]](漁父之利) * [[증삼살인]](曾參殺人) * [[호가호위]](狐假虎威) == 외부 링크 == * [[http://mdb.cyberseodang.or.kr/mobile/alphaList/bookList.do?mId=m02#self|동양고전종합DB]] [[분류:중국의 역사책]][[분류:한나라의 서적]][[분류:춘추전국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