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조선 대원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a122d, #6d1b43 20%, #6d1b43 80%, #4a122d)" {{{#ffd400 '''전계대원군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제국 황실)] ---- [include(틀:역대 누동궁 주인)]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13F03, #8a4d04 20%, #8a4d04 80%, #713F03); color: #FFD400" '''누동궁 초대 궁주'''}}}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a122d, #6d1b43 20%, #6d1b43 80%, #4a122d); color: #FFD400" '''조선 장조의 손자 | 조선 철종의 생부[br]{{{+1 전계대원군 | 全溪大院君}}}'''}}}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전계대원군묘.jpg|width=100%]]}}} || ||<-2> {{{#ffd400 {{{-2 전계대원군묘 전경}}} }}} || ||<|2> '''출생''' ||[[1785년]] [[4월 29일]] || ||[[조선]] [[강화도]][br](現 [[인천광역시]] [[강화군]]) || ||<|2> '''사망''' ||[[1841년]] [[12월 14일]] (향년 56세) || ||[[조선]] [[한성부]][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 || '''능묘'''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전주 이씨]] || || '''휘''' ||광(㼅) || || '''부모''' ||부친 [[은언군]][br]모친 [[전산군부인]] || || '''형제자매''' ||8남 1녀 중 8남 || || '''배우자''' ||정실 [[완양부대부인]] [[전주 최씨]] (完陽府大夫人 全州 崔氏, {{{-3 1804 ~ 1840}}}) 측실 [[용성부대부인]] 용담 염씨[* 철종의 생모로, 정실부인이 아닌 측실이었다. 철종 즉위 후 임금의 생모라서 부대부인 작호를 받은 것 뿐이다.] (龍城府大夫人 龍潭 廉氏, {{{-3 1793 ~ 1834}}}) 측실 이씨[* [[영평군(1828)]]의 생모.] || || '''자녀''' ||{{{#!folding 슬하 3남 [ 펼치기 · 접기 ] 장남 - [[회평군]](懷平君, {{{-3 1827 ~ 1844}}}{{{-3 최씨 소생}}}) 차남 - [[영평군(1828)|영평군]](永平君, {{{-3 1828 ~ 1902}}}{{{-3 이씨 소생}}}) 3남 - [[철종(조선)|철종 장황제]](哲宗 章皇帝, {{{-3 1831 ~ 1864}}}{{{-3 염씨 소생}}})}}} || || '''종교''' ||[[유교]] {{{-2 ([[성리학]])}}} || || '''초명''' ||쾌득(快得)[*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비변사등록, 일성록 등에는 쾌득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단 철득은 풍계군과 동일인으로 추정되었으나 생년이 철득은 쾌득보다 5년 연상이고, 풍계군은 선원보략에 1783년생이라 하여 서로 다르다.] / 해동(海東) || || '''봉호''' ||전계군(全溪君)[br]→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의 왕족. [[은언군]]의 서6남으로, 조선 25대 임금 [[철종(조선)|철종]]의 친아버지이다. 휘는 이광(李㼅)이며, 초명은 이쾌득(李快得)과 이해동(李海東), 자는 창강(昌康)이다. 은언군과 그의 첩인 이덕희의 딸 전산군부인 [[전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전산군부인 소생 첫 아들은 요절했고 둘째 아들이 전계대원군이다.[* 경기도 통진군 양촌면 마송리 산 13-48(현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마송리 산 13-48)에 있는 전산군부인 묘비문에 나타나 있다.] [[조선시대]]에는 [[동성동본]] 간 결혼이 금기시되었는데, 아버지 은언군은 같은 전주 이씨를 첩으로 들였다. 1819년 6월 4일 그의 생모 전산군부인 이씨가 [[강화도]]에서 병으로 사망했다. 승정원일기에 보면 1819년 6월 5일[* [[http://sjw.history.go.kr/id/SJW-H19060050-02900|#]]]과 6월 7일[* [[http://sjw.history.go.kr/id/SJW-H19060070-02300|#]]]에 쾌득 생모가 죽었다는 기사가 있다. 이로서 쾌득이 전계대원군의 30대 중반까지 쓰던 이름이란 게 밝혀진 셈. 이쯤되면 초명이라 보기도 힘들다. 1779년 아버지 은언군과 큰형 [[상계군]]이 [[홍국영]]과 역모를 꾸몄다는 혐의를 받아 [[강화군|강화]] [[교동도]]로 귀양갈 때 이광도 같이 유배되었다. 하지만 [[정조(조선)|정조]]가 살아 있는 동안에는 왕족으로 기본적인 품위는 유지하며 살 수 있었다. 1801년 정조 사후 [[신유박해]]가 일어나면서 아버지는 죽고 자신은 30년 넘게 강화도에서 빈농(貧農)으로 지내야 했다. 그래도 강화도에 있는 동안 본처 외에 첩을 2명이나 두고 차남 이욱을 둘 정도였으면 그렇게 빈곤한 삶은 아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효명세자]]가 대리청정을 시작한 1827년 초부터 경제적 상황이 급격하게 좋아진다. 그의 장남이 1827년 9월생, 차남이 1828년 7월생인 것만 봐도 이를 짐작할 수 있다. 1830년 효명세자가 요절하면서 후계자가 없어 다급해진 사촌동생 [[순조]]에 의해 방면되어 두 아들 [[회평군|이원경]](4세)과 [[영평군(1828)|이욱]](3세)과 함께 [[한성부]] 향교동(鄕校洞) 경행방(慶幸坊)에 다시 정착해서 1831년에는 3남 [[철종(조선)|이원범]]을 얻고, 자식들을 키우다 1841년 사망했다. 사후 전계대원군의 신도비문을 [[조두순(조선)|조두순]]이 지었다. == 사망과 이후 == 사후에는 1844년 중인 민진용이 일으킨 반란에 장남 [[회평군|이원경]]이 휘말려서 죽고 나머지 아들 [[영평군(1828)|이욱]]과 [[철종(조선)|이원범]]은 다시 강화도로 유배를 간다. 이후 3남 이원범이 철종이 되자 원래 이광은 은언군의 서자라서 봉군되지 못했는데, 아들인 철종이 생부를 '''전계군(全溪君)'''으로 봉한 뒤에[* 봉호는 어머니 이씨의 본관 '[[전주시|'''전'''주('''全'''州)]]'에 [[상계군|형]][[풍계군|제]]들 봉호의 돌림자인 '계(溪)'를 따서 지었다.] 왕의 친부가 받는 '[[대원군]]'으로 격상시켜 '전계대원군'이 되었다. 덧붙여 철종을 포함한 철종의 형제들도 철종이 즉위한 후에 봉군되었다.[* 역모에 몰려 죽은 이원경은 '회평군(懷平君)', 이욱은 '영평군(永平君)'으로 봉해졌다.]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 선단초등학교와 성당 근처에 묘가 있다. 전계대원군은 일단 은언군의 묘가 있던 경기도 [[양주군]] 신혈면 진관리(현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이말산 자락[* 현 은평메디텍고등학교 뒷산 근처.]에 처음 본부인과 함께 합장되었고, 뒤에 철종 즉위 후 포천으로 이장된 것이다. 현재의 서울 종로구 홍제동인 양주군 홍제원 답동리에 있던 염씨 묘소는 전계대원군과 본처 최씨 묘소 아래에 있다. 근처에 아들 [[회평군|회평군 이명(이원경)]], [[영평군(1828)|영평군 이경응(이욱)]], 양증손자 [[풍선군|풍선군 이한용]] 등의 묘소가 전계대원군의 묘소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있다. == 후손 == 후손 중 문서가 존재하는 인물은 그 후손을 적지 않고 본인까지만 적었다. * 처: 완양부대부인 최씨(1804년 2월 19일 - 1840년 2월 19일) 1. '''[[회평군]] 이명'''(1827~1844) * 첩: 용성부대부인 염씨(1793년 7월 20일 - 1834년 3월) 1. '''[[덕완군]] 이원범 → 이변 (철종)'''(1831년 7월 25일 ~ 1864년 1월 16일) * 첩: 이씨 1. '''[[영평군(1828)|영평군]] 이경응'''(1828년 7월 20일 ~ 1902년 2월 1일) == 기타 ==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비변사등록]]》, 《[[일성록]]》 등에는 이쾌득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그와 함께 등장하는 [[이성득(1775)|이성득]]은 후에 잊혀졌고 《선원보략》에도 누락됐다가, 1970년대에 사서들을 한글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철종, 고종 때 미처 인멸하지 못한 자료가 있어서 이름이 알려진 것이다. 이쾌득과 함께 등장하는 이철득이 이성득의 친동생인지, [[김포시]] 통진면 전산군부인 이씨 묘비문, 김문근이 쓴 비문 내용에 등장하는 전산군부인 이씨가 낳은 일찍 죽은 첫 아들인지는 불분명하다. [[분류:조선의 왕자군]] [[분류:대원군]] [[분류:누동궁 종주]] [[분류:서출]] [[분류:1785년 출생]] [[분류:1841년 사망]][[분류:강화군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