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의 성'''}}} || ||<-3> {{{#ff0 '''{{{+1 저장성}}}'''[br][ruby(浙江, ruby=Zhèjiāng)][ruby(省, ruby=Shěng)][* 또는 [ruby(浙江, ruby=Tseqkaan)](T4)[ruby(省, ruby=San)](T2).] | Zhejiang Provinc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20px-China_Zhejiang.svg.pn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浙江省,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지역}}}''' ||[[화둥]] || ||<-2> '''{{{#ffff00 면적}}}''' ||104,141km² || ||<-2> '''{{{#ffff00 성도}}}''' ||[[항저우시]] || ||<-2> '''{{{#ffff00 청사소재지}}}''' ||저장성 항저우시 시후구 성푸루8호[br]浙江省杭州市西湖区省府路8号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11지급시(2부성급시) 37구 19현급시 32현 1자치현 || ||<-2> '''{{{#ffff00 시간대}}}''' ||UTC+8[* [[중국]]은 전 지역([[홍콩]], [[마카오]], [[대만]] 포함)이 [[중국 표준시]]를 사용한다.]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5,667만명 || ||<-2> '''{{{#ffff00 인구밀도}}}''' || 526명/km² || ||<-2> '''{{{#ffff00 민족 구성}}}''' || [[한족]] 99.13% | [[사족(민족)|사족]] 0.37%[br][[토가족]] 0.12% | [[묘족]] 0.12% || ||<-2> '''{{{#ffff00 HDI}}}''' || 0.783 ^^(2017)^^ || ||<-2> '''{{{#ffff00 서기}}}''' || 이롄훙(易炼红) || ||<-2> '''{{{#ffff00 성장}}}''' || 왕하오(王浩)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1조 1557억 ^^(2021)^^ || || '''{{{#ffff00 1인당}}}''' || $17,906 ^^(2021)^^[* [[https://www.stcn.com/xw/sd/202202/t20220201_4128631.html|증권시보]]]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浙'''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33'''00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571''' ~ '''0580''' || ||<-2> '''{{{#ffff00 우편번호}}}''' || '''3100''' ~ '''3258'''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ZJ''' ||}}}}}}}}} || ||<-3> [[http://www.zj.gov.cn/|홈페이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저장성 전경 1.jpg|width=100%]]}}} || || '''저장성 전경''' || [목차] [clearfix] == 개요 == '''저장성'''은 [[중국]]의 성급 행정구역으로, 성도는 [[항저우시]]다. 약칭은 [[浙|저]]([ruby(浙, ruby=zhè)]), 간혹 [[越|웨]]([ruby(越, ruby=yuè)])로도 표기한다. 인구는 약 5,600만 명이며 면적은 104,141 km^^2^^으로 남한과 거의 같다. 중국 남동부에 위치하며, 북쪽에는 [[장쑤성]], 동북으로 [[상하이시]], 남쪽으로는 [[푸젠성]]과 접한다.[* 푸젠성과 저장성 크기를 합치면 한반도 크기와 비슷해진다.] 지역을 지나는 [[운하]]를 중심으로 [[우전진]] 등 많은 수향 마을들이 있다. 해안 지역으로 예로부터 [[왜구]]들의 침입과 약탈에 시달리기도 했다. 오늘날에는 [[장쑤성]], [[상하이시]]와 함께 중국 [[강남(중국)|강남]](江南)지역의 대표적인 지역으로 발전하였으며, 전 [[알리바바 그룹]] 회장 [[마윈]]을 비롯해 부자가 많은 지역으로 손꼽힌다. == 명칭 == * 한자 : 浙江省 * 한어병음 : Zhèjiāng Shěng * 오어 : tseqkaan(T4)san(T2) * 객가어 : Tset-kông-sén * 한국어 : 저장성 저장이라는 이름은 이 지역을 흐르는 [[https://ko.wikipedia.org/wiki/첸탕강|첸탕강]]의 옛 이름인 저장(浙江)에서 유래했다. 약칭인 [[浙|저]]([ruby(浙, ruby=zhè)])은 저장성의 이름을 줄인 것이며, [[越|웨]]([ruby(越, ruby=yuè)])은 본래 이곳을 가리키던 전통적인 이름으로 [[사오싱]]에 수도를 두었던 [[춘추시대]]의 [[월나라]](越)에서 유래한다. 지금은 [[베트남]] 역시 '월(越)'을 사용하지만, 그것은 [[베트남/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국가인 남월(남비엣) 때문이다. 춘추시대의 월나라의 주요 민족과 같은 계통의 민족이 남월의 주요 민족이라 추측되며, 그런 이유로 [[황하]] 유역의 [[중국인]]들이 이들을 똑같이 '월'로 부른 것으로 보인다. 또 한자 다른 이 '월(粤)'도 있는데 이것은 [[광둥성]] 일대를 가리키는 의미로 중화민국기부터 약칭을 사용하기 시작해 유지되고 있다. == 지형 == 산지가 비교적 많고 높이가 [[한국]]의 [[가야산#s-1]] 정도인 1,433m의 [[https://zh.wikipedia.org/wiki/%E4%BB%99%E9%9C%9E%E5%B2%AD|센샤링산]]이 있다. 동쪽은 바다에 접하는데, 항저우만이 있고 해안선이 복잡해 성 중에선 가장 섬이 많다. 인구와 면적 등의 규모는 남한 전체보다 약간 큰 수준이다. 저우산 군도의 주요 섬인 저우산섬은 중국에서 3번째로 큰 섬([[하이난 섬]], 충밍다오[* [[상하이]]에 속한 섬으로 장강 하류에 있는 세계 최대의 삼각주 섬이다. 충밍다오는 상하이시 충밍현에서 2016년 상하이시 충밍구로 승격되었다.]에 이은 3번째)이다. 양안 전체로는 [[타이완 섬]]이 있기 때문에 4번째로 큰 섬이다. == 역사 == 저장성의 항구인 닝보시와 저우산시 쪽은 인류 [[벼]]농사의 시작이었던 [[신석기시대]] 허무두(하모도) 문화의 발상지이다. 1970년대의 발굴작업으로 6~7천년전 인류 최초로 볍씨를 대량 재배한 것이 발견되었다. [[춘추전국시대]]에는 이민족의 국가였던 [[월나라]]가 위치해 있었지만 기원전 333년 경에 멸망하고 [[초나라]]의 영역으로 들어왔다. 이후 [[진시황]]에 의해 통일되었지만 초한쟁패기와 전한기때 민월과 동월[* 동구라고도 한다.]이 [[한나라]]의 제후국이기는 했어도 독립을 누렸지만 [[한무제]] 때 병합하였고, 이후에는 계속 중국계 왕조의 영역으로 있었다. [[삼국시대]]에는 장쑤성의 남부[* 난징(건업) 등]와 함께 저장성의 북부가 중심지 역할을 했다. [[오대십국시대]]에는 [[오월]]이 있었다. 그리고 [[송나라]] 때에는 [[남송]]의 중심지였다. [[명나라]]와 [[청나라]] 때는 저장성 북부가 장쑤성 남부와 함께 경제ㆍ문화적 중심지였다. [[장제스]]가 저장성 [[닝보]](영파) 출신이며 현 [[대만]] 정치인 중 [[주리룬]], [[훙슈주]]도 [[외성인]] 2세로 아버지가 저장성 출신.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무너지고 [[중화민국]] 건국과 함께 여기서도 [[군벌/중화민국|군벌]]들이 활동했다. 1919년 [[안휘군벌]]의 [[루융샹]]이 절강독군에 임명되면서 1924년까지 안휘군벌의 세력에 있었으나, 1924년 [[강절전쟁]]으로 인하여 루융샹이 축출되고 강소독군 [[치셰위안]]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2차 직봉전쟁]] 이후 [[제노전쟁]]이 벌어지자 [[돤치루이]]는 [[쑨촨팡]]을 절강독판에 임명하여 세력균형을 유지하려 했으나 새로운 강소독판 [[양위팅]]의 전횡으로 [[손봉전쟁]]이 일어나 [[봉천군벌]]이 장강 유역에서 축출되게 된다. 이후 쑨촨팡의 지배를 받았으나, [[국민당의 1차 북벌]] 과정에서 [[중국 국민당]]에게 점령되어 국민당의 핵심적인 지역 중 하나가 된다. 이후 [[4.12 상하이 쿠데타]] 이후 난징 국민정부가 이곳에 수립되었으며, [[중일전쟁]] 중 [[일본군]]에게 점령되어 [[왕징웨이 정권]]이 수립되었지만, 종전 이후 국민정부에 반환되었다. 1946년 2차 [[국공내전]]이 발발한 이후 장강을 도하한 [[인민해방군]]에 점령되어 현재까지도 [[중화인민공화국]]의 영토이다. [[국부천대]] 이후에도 저장성 소속 다천(大陳) 군도가 현재의 [[진먼|진먼섬]], [[마쭈 열도]]처럼 중화민국의 영토로 남아있었는데, 앞의 두 섬과 달리 여기는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당시 중화민국 측에서 방어에 한계를 느끼고 1955년에 철수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의 영토가 되고 중화민국 저장성 정부도 폐지되었다. 중국 현(2012~) [[중화인민공화국 주석|국가주석]]인 [[시진핑]]은 [[베이징]]에서 태어났지만 저장성 공산당 서기로 일한 경력이 있고, 여기서 정치 경력을 쌓았다. 다만 시진핑은 [[푸젠성]]에서 일한 경력이 더 길고 시진핑의 대만 문제에 대한 높은 관심 등은 푸젠성 시절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보인다. 취저우에는 [[산둥성]] 취푸(曲阜)와 마찬가지로 [[공자]]의 사당인 문묘가 있다. 공자의 [[제사]]를 모시는 문묘 자체는 중국 전역에 위치해 있으나, 이 곳은 취푸처럼 공자의 직계 후예들이 제사를 지냈던 역사가 있다. 이는 [[정강의 변]]으로 송나라가 [[남송]]으로 쫓겨나면서, 당시 공자의 후예들도 취저우에 피난을 가서 정착했기 때문이다. 이를 남종이라고 부르는데, 북중국을 차지한 [[금나라]]도 취푸를 지킨 공자의 후손들을 북종으로 삼아서 공자의 후계를 잇도록 하면서 정통성이 나뉘게 되었다. 이 정통성 문제는 남북이 다시 재통일되고 난 [[원나라]] 시기 때 남종이 북종에 정통성을 양보하면서 해결하였다. 그러나 남종은 취저우에 있는 기존의 문묘에 그대로 남아서 공자의 제사를 받들게 하였다. 2021년에 [[사회주의]]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목표인 평등 사회를 지향하는 '공동 부유 시범구'로 지정했다. [[https://m.yna.co.kr/view/AKR20210611081000089?section=international/all|#]] == 언어 == [[중국어]]의 방언인 [[오어]]가 사용된다. == 행정 구역 == [include(틀:저장성의 행정구역)] ||<-3> '''{{{#ffff00 저장성 행정 구역 지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75px-Zhejiang_Sheng-map.png|width=100%]]}}} || || 도시 || 한자 병음 || 인구 || ||<-3> 부성급시 || || [[항저우시]] || 杭州市[br]Hángzhōu Shì || 8,700,400 || || [[닝보시]] || 宁波市[br]Níngbō Shì || 7,605,700 || ||<-3> 지급시 || || [[후저우시]] || 湖州市[br]Húzhōu Shì || 2,893,500 || || [[자싱시]] || 嘉兴市[br]Jiāxīng Shì || 4,501,700 || || [[진화시]] || 金华市[br]Jīnhuá Shì || 5,361,600 || || [[리수이시]] || 丽水市[*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와 한자가 같다(丽는 麗의 [[간화자]]).][br]Líshuǐ Shì || 2,117,000 || || [[취저우시]] || 衢州市[br]Qúzhōu Shì || 2,122,700 || || [[사오싱시]] || 绍兴市[br]Shàoxīng Shì || 4,912,200 || || [[타이저우시]] || 台州市[br]Tāizhōu Shì || 5,968,800 || || [[원저우시]] || 温州市[br]Wēnzhōu Shì || 9,122,100 || || [[저우산시]] || 舟山市 [br]Zhōushān Shì || 1,121,300 || == [[절강 요리|요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절강 요리)] == 기타 == * 성 대표 방송국인 저장위성TV(浙江卫视)에서 판권, 포맷을 정식으로 수입해 중국판 [[런닝맨]], [[The Voice]]를 제작하고 있다. * 몇 안 되는 야생 [[은행나무]]가 서식(한다고 추정)하는 곳이다. * [[지리자동차]]의 본사가 [[항저우]]에 있으며, [[볼보]]의 현지공장이 타이저우에 있다. * 첸탕 강 하구는 조수간만의 차와 하구의 지형 요건이 맞물려서 사리 때 바닷물이 역류하여 큰 [[파도]]를 만들어낸다. [[아마존강]]의 포로로카와 비슷한 이유이다. 그래서 이 광경을 구경하기 위해 관광객들이 강 하구에 많이 모여든다. 심할 때는 아예 파도가 제방까지 넘어서 사람들이 다치는 사례도 있다. [[https://youtu.be/hAUXp8A5nk8|YTN 보도 영상]] * 진화시에 헝디엔이 있다. 항저우에는 서호가 있다. 5A급 관광지를 2번째로 많이 보유한 성이다. * 닝보에는 짝퉁 [[롯데월드]]인 로먼 유 파크가 있다. == 역대 영도인 == [include(틀:역대 저장성 영도인)] == 출신인물 == === 고대 === [[월나라]]의 출신인물들은 다 이곳 출신이다. * [[서시#s-1]] 중국 역사상 최고의 미인 중 하나로 꼽힌다. 예로부터 미인이 많기로 유명한 곳이다. * [[구천]] * [[손견]]으로 이어지는 오나라의 손씨 일가 대부분이 절강성 [[항저우시]] 푸양구 출신이다. * [[반림]] === 중세 === * [[이지조]]: 항저우 출신 * [[모문룡]]: 항저우 출신 * [[방효유]]: 닝보 출신 * [[시문용]]: 항저우 출신 * [[유기(명나라)|유기]]: 리수이 칭톈 출신 * [[왕수인]]: 위야오 출신 === 현대 === * [[김용(1924)|김용]]: 자닝시 출신 * [[장학성]]: 사오싱(紹興) 출신 * [[루쉰]]: 사오싱 출신.[* [[난징]]으로 [[유학]]을 간 이후 그만두었고, 후에 [[도쿄]]를 거쳐 대학은 [[도호쿠대학]]에 다녔다.] * [[마윈]]: 항저우 출신 * [[천치메이]]: 우싱 출신 * [[천궈푸]]: 우싱 출신 * [[천리푸]]: 우싱 출신 * [[장제스]]: 닝보 출신 * [[장샤오셴]]: 닝보 출신 * [[장징궈]]: 닝보 출신 * [[저우언라이]] :사오싱 출신.[* 엄밀히 말하자면 [[저우언라이]]가 아니라 저우언라이의 할아버지의 고향이지만, 저우언라이는 자신의 진짜 고향을 이곳으로 생각했다. 자세한 것은 저우언라이 문서 참조.] * [[첸넝쉰]]: 가선현 출신. * [[첸쉐썬]]: 항저우 출신 * [[야오원위안]]: 사오싱 출신. * [[왕궈웨이|왕국유]]: 하이닝(海宁) 출신 * 위정성: 사오싱 출신 * [[링링]]: 항저우 출신 * [[위화]]: 항저우 출신 * [[커제]]: 리수이 출신 * [[다이지타오]] * [[다이리]] * [[웡원하오]]: 근현 출신 * [[호일천]]: 항저우 출신 * [[쑨바오치]]: 항저우 출신 * [[쑨양]]: 항저우 출신 * [[후웨이더]]: 우싱 출신. * [[인루겅]]: 윈저우 출신. * [[왕정팅]] * [[왕커민]] * [[차이위안페이]] * [[정핑루]]: 난계 출신. * [[투유유]]: 닝보 출신 * [[위다푸]]: 푸양(富陽) 출신 * [[딩레이]] 닝보 출신 * 펑린(馮琳): [[자싱시]] 출신. 1999년 10월생([age(1999-10-01)]세). 2018년 [[중국]] 관영매체의 언론인을 양성하는 대학인 [[베이징]] [[중국전매대학]]의 [[아나운서]]ㆍ앵커 전공에 차석으로 합격했고, 2021년 7월 1일의 [[중국공산당]] 100주년 기념식에 1,00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학생대표 4인 중 1명으로 선발되어 충성맹세를 선창했다. 또한 동년 9월 중국전매대학 입학식에서는 재학생 대표로 연단에 올라 “나는 [[천안문광장]] 근거리에서 [[시진핑]] [[중국 주석|주석]]의 연설을 학습하고 경청할 수 있었고, 무한한 영광을 느꼈습니다.”, “나는 중국 인민의 아나운서, 중국공산당의 아나운서입니다. 나는 어려움과 장애물을 극복하고 승리를 향해 행진하는 중국 인민의 목소리, 중국공산당의 정정당당한 진리의 목소리를 전달합니다.”라고 연설했다. 펑린의 사진과 영상은 그녀의 미모로 인해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며 화제를 모았고, 그녀의 개인 [[웨이보]]에도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현상은 [[중국인]]들, 특히 [[분청|중국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부쩍 심해진 맹목적이고 배타적인 [[중화사상]]과 [[애국주의]], 중국공산당에 대한 무조건적인 충성심을 보여주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 연예인 ==== * [[주결경]] - [[프로듀스 101]], [[아이오아이]], [[프리스틴]] 타이저우 출신[* 초등학교까지 타이저우에서 다니고, 중학교는 [[상하이]], 고등학교는 [[서울]]에서 다녔다.] * [[호일천]] - [[항저우]] 출신 * [[서몽결]] - [[진화]] 출신[* 출생지는 [[상하이시]]. 그러나 어린 시절부터 저장성 진화에서 오래 살았다고 한다.] * [[린스이]] - [[SNH48]] [[원저우시|원저우]] 출신 * [[셰씽양]] - [[항저우]] 출신 * [[쉬자오]] - [[닝보시|닝보]] 출신 * [[쉬쟈치]] - [[SNH48]] 타이저우 출신 * [[쉬펑판]] - [[INI]]의 멤버 * [[우저한]] - [[SNH48]] [[자싱시|자싱]] 출신 * [[윈윈]] - [[NCT]], [[WayV]] [[원저우시|원저우]] 출신[* 중고등학교 시절을 [[베이징]]에서 보냈다.] * [[이런(EVERGLOW)|이런]] - [[프로듀스 48]], [[EVERGLOW]] [[항저우시|항저우]] 출신 * [[임윤]] - 후저우 출신 * [[저스틴(NEXT)|저스틴]] - [[NINE PERCENT]] [[원저우시|원저우]] 출신[* 초등학교, 중학교 시절을 항저우에서 보냄.] * [[차이쉬쿤]] - [[NINE PERCENT]] [[원저우시|원저우]] 출신 * [[탕웨이]] - [[항저우시|항저우]] 출신 * [[황언루]] - [[BEJ48]] [[원저우시|원저우]] 출신 [[분류:저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