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저스틴 브라이너}}}'''[br]Justin Brin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저스틴 브리너.jpg|width=100%]]}}} || || '''이름''' ||'''저스틴 패트릭 브라이너[br]{{{-1 (Justin Patrick Briner)}}}''' || ||<|2> '''출생''' ||[[1991년]] [[8월 23일]] ([age(1991-08-23)]세) || ||[[미국]] [[메릴랜드]] 주 [[볼티모어]]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가족''' ||여동생 헤일리 브라이너 || || '''신체''' ||178cm[* [[https://www.imdb.com/name/nm5211370|출처]]] || || '''학력''' ||[[노스 텍사스 대학교]] {{{-2 (학사)}}} || || '''활동 시기''' ||[[2012년]] ~ 현재 || || '''링크''' ||[[http://www.behindthevoiceactors.com/Justin-Brine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출연 목록^^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ustinbriner, 크기=20)] | [[https://www.instagram.com/justin.brine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성우]] 겸 [[가수]]. [[퍼니메이션]] / [[크런치롤]]의 애니메이션을 더빙한다. == 연기 == 딱 봐도 저스틴 브라이너란 걸 알 수 있는 개성 넘치는 하이톤의 음색이 포인트로 주로 [[변성기]] 전의 [[소년]] 목소리를 연기한다. 듣다보면 톤이 매우 높다못해 살짝 [[양성류]] 기질도 보여서 "진짜 [[성인]] [[백인]] [[남성]]이 맞나?" 싶을 정도다.[* 평상시 목소리는 그래도 하이톤을 가진 [[성인]] [[백인]] [[남성]] 특유의 톤이지만, 백인들 평균에 비하면 평상시 목소리도 상당히 높은 편인 건 맞다.][* 대표 배역인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애니메이션|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의 [[미도리야 이즈쿠]]만 해도 가끔씩 중성적인 톤을 지닌 여성의 목소리가 들리곤 하는데, 이건 원판의 [[야마시타 다이키]]도 그렇긴 하다.] 물론 맡은 배역을 보면 같은 소년이어도 다양한 유형의 소년 역을 맡는다는 걸 알 수 있다. == 출연작 == ※ 가나다순 정렬. === 애니메이션 ===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애니메이션|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미도리야 이즈쿠]]''' * [[나카노히토 게놈 [실황중]/애니메이션|나카노히토 게놈 [실황중]]] - '''[[이리데 아카츠키]]''' * [[나이츠 & 매직/애니메이션|나이츠 & 매직]] - '''[[에르네스티 에체바르리아]]''' * [[나 혼자만 레벨업/애니메이션|나 혼자만 레벨업]] - [[유진호]] * [[내가 인기 있어서 어쩌자는 거야]] - 시노미야 하야토 * [[단간론파 3 -The End of 키보가미네 학원-]] - [[미타라이 료타]] * [[데드 마운트 데스 플레이/애니메이션|데드 마운트 데스 플레이]] - 사이묘지 미코토 * [[데스마치에서 시작되는 이세계 광상곡/애니메이션|데스마치에서 시작되는 이세계 광상곡]] - '''[[사토(데스마치에서 시작되는 이세계 광상곡)|사토]]''' * [[드래곤볼 슈퍼(애니메이션)|드래곤볼 超]] - 쿠르 * [[드리프터즈]] - [[나스노 요이치(드리프터즈)|나스노 요이치]] * [[디멘션 W]] - [[살바 에네 티베스티]](어린 시절) * [[디바인 게이트/애니메이션|디바인 게이트]] - 브루노 * [[란포 기담 Game of Laplace]] - [[하시바 소우지]] * [[로그 호라이즌/애니메이션|로그 호라이즌: 원탁붕괴]] - [[소지로 세타]] * [[마사무네의 리벤지(애니메이션 1기)|마사무네의 리벤지]] - [[마사무네의 리벤지/등장인물|슈리 코주로]] * [[변변찮은 마술강사와 금기교전/애니메이션|변변찮은 마술강사와 금기교전]] - [[라이넬 레이야]] * [[빨강머리 백설공주/애니메이션|빨강머리 백설공주]] - 슈카 * [[사라잔마이]] - [[진나이 엔타]] * [[성자무쌍 ~샐러리맨이 이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걷는 길~/애니메이션|성자무쌍 ~샐러리맨이 이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걷는 길~]] - '''루시엘''' * [[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애니메이션 1기)|어서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 - [[아야노코지 키요타카]][* 혹평이 많은 [[일본]]판 [[성우]]인 [[치바 쇼야]]에 비해 감정 연기면에서 호평이 많다.] * [[이 세상 끝에서 사랑을 노래하는 소녀 ~YU-NO~/애니메이션|이 세상 끝에서 사랑을 노래하는 소녀 ~YU-NO~]] - [[유우키 마사카츠]] * [[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애니메이션 1기)|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 - [[브래드 포우 필드]] * [[임금님 랭킹/애니메이션|임금님 랭킹]] - 다이다 * [[재와 환상의 그림갈/애니메이션|재와 환상의 그림갈]] - [[마나토]]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애니메이션 1기)|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등장인물|게일 깁슨]] * [[종말의 세라프/애니메이션|종말의 세라프]] - [[햐쿠야 미카엘라]] * [[지박소년 하나코 군(애니메이션 1기)|지박소년 하나코 군]] - '''[[하나코(지박소년 하나코 군)|하나코]]''' * [[지옥락/애니메이션|지옥락]] - 후치 *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진격의 거인]] - [[그리샤 예거]](유년기) * [[체인 크로니클 ~하이케이타스의 빛~]] - 크라우스 * [[최유기 RELOAD BLAST]] - 타무로 * [[카드캡터 사쿠라 클리어 카드 편/애니메이션|카드캡터 사쿠라 클리어 카드 편]] - [[츠키시로 유키토]],[* [[키노모토 토우야]]의 성우 [[클리퍼드 체이핀]]하고는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애니메이션|모 히어로 만화]]에서 [[미도리야 이즈쿠|사이가]] [[바쿠고 카츠키|참 안좋은데]](…) 토우야와 [[츠키시로 유키토|유키토]]의 관계는 대놓고 표현만 안했을뿐이지 사실상 공식에서 인정한 연인 사이다보니 뭔가 엄청 묘하다...] [[유에(카드캡터 사쿠라)|유에]] * [[카오스 드래곤 적룡전역]] - [[RPF 레드 드래곤/등장인물|하쿠에이]] * [[카쿠리요의 여관밥]] - [[카쿠리요의 여관밥/등장인물|사스케]] * 코드리얼 라이즈 ~창세의 수호자~ - [[피니스]] * [[터부 타투]] - '''아카츠카 저스티스''' * [[테르마이 로마이]] - 오카미 * [[패궁 봉신연의]] - [[나타(봉신연의)|나타]] * [[퍼즐앤드래곤 크로스(애니메이션)|퍼즐앤드래곤 크로스]] - 랜스 * [[편의점 남자친구]] - '''미시마 하루키''' * [[PRINCE OF STRIDE|프린스 오브 스트라이드 얼터너티브]] - [[스와 레이지]] * [[해변의 에트랑제]] - '''치바나 미오''' * [[하이스쿨 D×D/애니메이션|하이스쿨 D×D]] - [[지크프리트(하이스쿨 D×D)|지크프리트]] * [[핸드 셰이커]] - '''타카츠키 타즈나''' * [[헤비 오브젝트/애니메이션|헤비 오브젝트]] - [[헤비 오브젝트/등장인물|쿠엔서 버보타주]] * [[흑집사]] - [[에드워드 미드포드]] * [[호시아이의 하늘]] - '''[[카츠라기 마키]]''' * [[GARO -불꽃의 각인-]] - [[알폰소 산 발리안테]] * [[SHOW BY ROCK!!##]] - [[아라시(SHOW BY ROCK!!)|아라시]] === 게임 === * [[보더랜드 3]] - 댈튼, 페일러봇, 터크 * [[옥토패스 트래블러]] * [[파이어 엠블렘 인게이지]] - [[클랜(파이어 엠블렘 시리즈)|클랜]] == 기타 == * 성인 Briner의 발음은 '브리너'가 아니라 '브라이너'이며, 저스틴 본인도 또박또박 '브라이너'라고 발음하고 다른 사람들도 '브라이너'라고 발음하는데 어째서인지 [[나무위키]]와 구글에는 오랫동안 '저스틴 브리너'라고 항목이 만들어져 있었다.[* 실제 발음을 듣기 전에는 인명을 똑바로 읽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서 그런 것도 있다. 다만 브라이너의 경우, 비교적 똑바로 읽기 쉬운 발음인데도 그렇게 된 케이스긴 하다. 또다른 사례로는 [[영국]]의 [[배우]]인 [[제이슨 스타뎀]]이 있는데, 제이슨 스테이섬이 올바른 발음이지만 [[한국]]에서는 제이슨 스타뎀으로 알려져서 한국에선 게속 스타뎀으로 불리고 있다(…)] 다행히 현재는 브라이너로 바뀌었다. * 헤일리(Hayley)라는 여동생이 있다고 한다.[[https://celebsfocus.com/justin-briner/|#]] * [[수염]]이 있어서 그렇지 성인 백인 남성치고 비교적 선이 고운 외모에다 특유의 중성적인 하이톤 연기와는 달리 의외로 [[장신#s-1|키가 큰 편]]이라 그 갭에 놀라는 팬들이 있다고. * [[노스 텍사스 대학교|같은 대학교]]를 나온 선배 성우로는 [[카일 에이베어]], [[크리스토퍼 사바트]], [[크리스토퍼 웨캄프]], [[잭 볼튼]], [[트리나 니시무라]], [[브리나 펠렌시아]], [[미셸 로하스]], [[알렉시스 팁턴]]이 있으며, 후배 성우로는 [[에런 디스뮤크]]가 있다. * [[로스앤젤레스]]의 애니메 엑스포에서 [[미도리야 이즈쿠]]의 [[일본어]]판 성우인 [[야마시타 다이키]]를 만난 적이 있다.[[https://www.reddit.com/r/BokuNoHeroAcademia/comments/8wdbx1/justin_briner_and_daiki_yamashita_dekus_english/|#]] == 관련 문서 == * [[성우/미국]] [[분류:미국 남성 성우]][[분류:미국 남가수]][[분류:1991년 출생]][[분류:2012년 데뷔]][[분류:볼티모어 출신 인물]][[분류:댈러스 계열 성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