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잼민, other1=과거에 닉네임이 '잼민'이었던 트위치 스트리머, rd1=고라니율, other2=유튜버, rd2=나잼민, other3=유튜버 전자오랏맨의 콘텐츠 꼰&잼의 타이틀 주인공, rd3=잼민이(꼰&잼))]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SmoothEmptyScarceAble, 토론주소2=ChildlikeToweringWarlikeCherry, 합의사항1=재미니 및 K-잼민 리다이렉트를 삭제하기, 합의사항2=잼민이들의 구성 문단을 삭제하기)] [include(틀:세대)] [목차] [clearfix] == 개요 == 2018년 하반기쯤 [[트위치]]에서 만들어진 [[신조어]]로, 좁게는 여러 곳에서 [[민폐]]를 끼치는 [[무개념]] 저연령층을 지칭하고, 넓게는 부정적인 의미가 아닌 모든 저연령층을 통틀어 지칭할 때 사용되는 용어다. 나쁜 의미로 쓰이는 잼민이의 반대말로는 [[꼰대]], [[틀딱]]이 있다. == 어원 및 용도 == [[투네이션]]의 어린 남자아이 목소리 [[Text to Speech|TTS]]인 '''[[재민(인명)|재민]]'''에서 유래했다.[* 스트리머 [[렐라]]의 팬인 투네이션 개발자가 렐라의 사촌동생 이름인 '민재'를 뒤집어 넣은 것이다. 투네이션 자체 제작 TTS가 아닌 기존에 있던 TTS로, 원래 정식 이름은 '씩씩한 강모'이다.] 해당 TTS 특유의 [[초딩]]스러운 목소리가 웃음을 주어서 [[트수]]들이 해당 TTS 이름에 트위치에서 많이 사용되는, 주로 웃음을 주는 대상에게 붙이는 접두사인 '[[잼(동음이의어)#s-3.1|잼-]]'을 붙여 잼민이라는 용어를 탄생시켰다. 이후 잼민이가 해당 TTS를 일컫는 용어로 자주 사용되다가 저연령층을 일컫는 용어로 발전하게 되었다. 현재는 [[트위치]]뿐만 아니라 [[유튜브]], [[TikTok|틱톡]], [[아프리카TV]], [[트위터]] 등의 다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인터넷 방송 플랫폼은 물론이고 [[학교]], [[학원]], [[PC방]], [[노래방]] 등의 오프라인에서도 저연령층을 대상으로 자주 쓰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여러 연령대의 학생들이 모이는 곳에서는 저연령층과 저연령층이 아닌 나이대의 학생들이 충돌해 다툼이 일어나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인터넷에서 비하 표현으로 쓰이는 경우가 현실에서도 쓰이는 예 중 하나이다. 물론 비하적으로 쓰이는 것이 아닌 그저 저연령층 자체를 나타내는 경우도 인터넷이나 현실 모두에서 있다. 처음에는 [[채팅]], [[도네이션]] 등의 행위를 통해서 방송에 등장한 저연령층을 일컫는 말로 쓰이다가 점점 방송 밖에서도 쓰이는 빈도가 늘어났다. 그리고 과거 윗 세대가 흔히 사용하던 [[개초딩]], [[초글링]], [[급식충]] 등과 같은 '''[[무개념]]으로 행동하는 저연령층'''[* 영어권에서는 'Toxic Kid(유독성 어린이)'라고 한다.]을 나타내는 단어로도 쓰이게 되었다. 그 외에 저연령층이 아니지만 [[나잇값을 못 하는 사람|나잇값을 못 하고]] 무개념 저연령층처럼 행동하는 사람, 그냥 외모 등이 저연령층 느낌이 나는 사람[* 나이에 비해 키가 작다든지, 목소리가 어리거나 덩치가 왜소한 사람들이 포함된다.]에게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초([[初]])'라는 글자가 쓰이지 않았기 때문에 초등학생 뿐만 아니라, 영유아 및 [[유치원생]][* 이쪽은 크게 민폐를 끼치는 경우가 적고 오히려 귀엽다고만 봐서 잼민이로 불리는 경우가 적은 편이다. 초등학생 중에서 저학년(1~2학년)보다는 중·고학년(3~6학년)이 잼민이로 불리는 경우가 많은 것도 같은 이유. 초1이 유치원생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아서 잼민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적기도 하다.], [[청소년]]인 [[중학생|중]][* 급식충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지만 잼민이라 불리기도 하며 특히 중1은 초등학교에서 벗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키 큰 초등학생으로 보이기도 해서 잼민이로 불리는 경우가 많은 편. 학년이 올라갈수록 잼민이로 불리는 경우가 줄어든다.]·[[고등학생]][* 잼민이라고 불리기보다는 주로 급식충이라 불리지만, 그래도 미성년자이기 때문에 성인에 비해서는 잼민이라 불리는 경우가 많으며, 성인이 자신의 고등학생 시절을 잼민이 시절이라고 하거나 자신이 아니더라도 초중고생 전체를 잼민이라고 싸잡아서 이르는 경우도 있다.], 매우 드물게는 '''20대'''[* 20대 초반이나 [[대학생]]의 경우 급식충에서 유래한 말인 [[학식]]충으로 불리기도 한다.]까지 넓게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사람마다 부르는 기준이 천차만별. 초창기인 2019년에는 그냥 저연령층은 '재민이'라 했고 유쾌한 저연령층은 '잼민이'라 했는데, 점점 '재민이'와 '잼민이'를 구별 없이 사용하게 되었고 '재민이'보다 '잼민이'가 압도적으로 더 자주 쓰이게 되었다. 사실 어원을 보면 알다시피 용어 자체는 비하적인 표현이 아니였는데 언제부터인가 부정적인 표현으로 변질되어 사용되는 사례가 발생했다. 이후 2020년부터는 '잼민이'라는 단어가 하도 많이 유행하다 보니 그 의미가 점점 확장되어 다시 그저 평범한 저연령층 자체를 이르는 말로도 쓰이게 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초딩]]이라는 단어가 그렇듯이[* 다만 초딩은 '초'자가 들어가 있어 유치원생 및 중·고등학생 대상으로는 거의 안 쓰인다.] 본연의 의미를 벗어나 그냥 초등학생, 미성년자, 소년기의 대체어 정도로 쓰는 경우도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 때문에 초등학생들이 자신들끼리 농담삼아서, 혹은 스스로를 자학하듯이 잼민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생겨났다. 초등학생들이 잼민이라는 말을 귀여운 느낌 때문에 오히려 좋아하는 경우도 있어서 결국 '[[좆|ㅈ]]민이', '[[무개념]] 잼민이', '악성 잼민이' 등의 부정적인 표현을 덧붙여 사용하는 경우가 생겨났다.[* 비슷하게 함축하는 의미가 넓어지는 방식으로 변화한 게임 용어에 '[[트롤링|트롤]]'이 있다. 원래는 고의적으로 게임을 망치는 악성 플레이어를 지칭했으나 고의가 아님에도 단순히 실력이 떨어지는 플레이어까지 모두 포괄하게 되었고 기존의 뜻은 고의라는 단어를 붙여 '고의 트롤'이라고 따로 지칭하게 되었다.] 사실 이런 경우에는 위에 나열된 개초딩, 초글링, 급식충 등을 쓰면 되겠지만 [[유행어]]라는 특성상 이제는 잘 쓰이지 않는 해당 단어로 '무개념 잼민이' 등의 말이 대체되는 것을 바라는 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ZEM]]을 이용하는 아이들(보통 초등학생)이라는 의미로 잼(ZEM)민이를 사용하는 경우도 생겨났다. == [[/특징|특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잼민이/특징)] == [[육아/사회생활에서의 주의점|대처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육아/사회생활에서의 주의점)] == 용어에 대한 문제점 및 비판 == [[멸칭|이런 종류의 용어들]]이 대부분 그렇듯 오용, [[남용]]되는 경향이 짙다. 유독 멸칭이 남용되는 경향이 있는 [[나무위키]]에서도 남용되는데, 무개념은 다 잼민이라는 식으로 링크를 걸어 이 문서로 오게끔 하고 있다. 과거 '[[초딩]]'이나 '[[초글링]]' 등의 단어들로 공격받았던 아이들이 [[2023년]] 기준 '''20대 중반~30대 초반'''에 접어들면서 '잼민이'와 같은 용어를 멸칭으로 사용하고 있고, 저연령층들이 나이를 먹은 뒤 앞세대에게 받았던 공격들을 [[보상심리|나만 받을 수 없다는 생각으로]] 뒷세대에게 [[악순환|돌려주는 현상]]은 앞으로도 [[역사는 반복된다|계속 반복될 것이다.]][* 초등학생 때 잼민이 소리를 들었던 현 중학생들도 잼민이 등의 단어를 초등학생 멸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요즘 애들이 [[요즘 젊은 것들은 버릇이 없다|버릇이 없다는 소리]], [[패드립]](부모욕)을 잘 한다는 소리는 2000년대는 물론이거니와 그보다 훨씬 이전에도 꾸준히 제기된 바 있으며, 한국 사회에서 무개념 초딩 담론이 생긴 것 또한 어언 '''20년''' 전의 일이다. 자신의 의견에 반대한다는 이유, 단순히 거슬린다는 이유로 [[원천봉쇄의 오류|"너 잼민이지?" 또는 "너 초딩이지?"]][* 이러한 말에 "ㅇㅇ 나 초딩(잼민)임. 그래서 뭐?" 등으로 쿨하게 받아치는 사람들도 있다.]와 같은 말로 [[인신공격의 오류|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무분별하게 저연령층들을 싸잡아서 비판하지 말아달라는 부탁에 저렇게 반응하기도 한다. 틀린 맞춤법[* 저연령층이 맞춤법을 자주 틀리긴 하지만 중·고등학생, 성인들도 맞춤법을 틀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 당장 [[우리말 겨루기]] 문서만 봐도 우승할 확률이 우리나라 퀴즈 프로그램 중 가장 낮은 축에 속한다.] 등의 [[정치질|부족한 근거로 상대를 무조건 잼민이로 몰아가는]] 사람들이 있기도 하다. 또한 어떤 안 좋은 일이나 무개념들을 보고 무조건 [[갈라치기|잼민이 탓]]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 문단에서 말한 행동들을 저연령층들이 하는 경우도 있다. 인터넷에서 본 저연령층 대부분이 무개념이었다고 말하며 "모든 저연령층들의 인터넷, 게임 사용을 금지시켜야 한다"와 같은 말을 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인터넷에서 무개념 행위를 비판하는 사람들이 모두 고연령자라고 생각해 저연령층은 무개념 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이는 성인 유저들의 행동은 그 사이트만의 문제로 보지만, 저연령 유저들의 행동은 쉽게 일반화하는 풍조도 한몫한다.] 특정 계층을 하나로 묶어 차별하고 비하하는 것은 막연한 혐오에 불과하다. [[정치병]], [[이성혐오]] 등의 [[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생각을 했어요?|각종 혐오 발언이 높은 좋아요를 받는 등]], 인터넷에서 무개념의 비율이 높아 보이는 건 비단 저연령층 뿐만이 아니다.[* 특히 대중들 인식이 좋지 않은 커뮤니티에서 이러한 성향이 두드러진다.]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사실인데, [[파레토 법칙|'''잼민이로 악명이 높은 플랫폼인 유튜브에 댓글을 다는 사람들은 조회수의 몇십분의 1도 안되는 집단이다.''']] 유튜브에 나이 많은 장년층 또한 꽤 많기도 하다. == 기타 == * 이 용어가 사회에서 정착된 [[KBO 리그/2020년|2020년]]에 [[KBO 리그]]에 데뷔한 선수들 중 몇몇은 잼민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름이 비슷하여 별명을 얻게 된 사례는 [[한화 이글스]]의 [[강재민]]과 [[롯데 자이언츠]]의 [[심재민]], 키가 작아서 별명을 얻게 된 사례는 [[삼성 라이온즈]]의 [[김성윤]]과 [[김지찬]][* 둘 다 프로필상 신장은 163cm로 2022년 기준 KBO 역대 최단신. 일명 잼찬이, 잼지찬. 김성윤은 원래 그렇게 불리지 않았지만 김지찬의 입단 후 김지찬은 내잼민, 김성윤은 외잼민이라고도 불리기 시작했다. 각각 내야수, 외야수이기 때문. 사족으로 외잼민과 내잼민이 모두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 선발되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했다.]이다. * 유래인 '[[재민(인명)|재민]]'이라는 인명이 워낙 흔한 이름이다 보니, 자신의 이름이 재민인 사람들이 의도치 않은 별명이 생기는 경우가 많아졌다. 어감이 심히 입에 잘 달라붙어서 정작 이름이 재민인 본인이 이 단어를 많이 쓰는 경우도 많다. 무릎 [[배재민]]도 예외는 아니다. * 잼민이라는 단어가 유행하기 시작하면서, 결국 신생아의 이름을 '재민'으로 짓는 경우가 급격히 줄어들었다고 한다. [[https://www.insight.co.kr/news/392267|#]] * 발음의 유사성으로 [[제미니]](Gemini)가 붙는 것들의 별명이 되기도 한다. [[사운드 볼텍스]]의 [[GEMINI LA2ER]](잼민이 레이저) 등등. * [[디아블로 시리즈]]의 [[본 페티쉬]]도 잼민이라는 별명이 있다. 이동속도가 대폭 빠르며, 죽을 때 자폭을 한다. 단, 용병 및 소환물은 면역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 유튜브의 [[영상툰]]에서도 꼰대짓이나 진상짓을 일삼는 아저씨나 아줌마와 더불어서 단골 악역으로 나온다. * 이 말의 어원인 [[렐라]]의 사촌동생인 민재 군은 이미 고등학생이 되었고, 렐라의 2022년 복귀 방송 도중 렐라에게 "손기웅 감 다 뒤졌노"라는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 * 2023년에 개최된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새만금 잼버리]]에 참가한 [[세계스카우트연맹|스카우트]] 대원들에 대한 처우가 너무 열악하여 마치 [[난민]] 캠프 같다는 혹평을 받았고, 때문에 대원들이 "'''잼'''버리 + 난'''민'''"이라는 뜻으로 '잼민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http://www.naewoeilbo.com/news/articleViewAmp.html?idxno=774625|#언론]] [[https://m.fmkorea.com/best/6054205720|#커뮤니티]] [[https://image5jvqbd.fmkorea.com/files/attach/new3/20230809/486616/1350839185/6054205720/ef1828a3973702cf94ecc2e1009b3456.jpg|#어원]] == 관련 문서 == * [[렐라]] - 이 말이 탄생하게 된 근원. * [[청소년 혐오]] * [[급식충]] * [[급식체]] * [[좆중고딩]] * [[초등학생]] * [[초딩]] * [[개초딩]] * [[초딩주먹]] - 많은 사람들이 잼민이하면 이 사진을 떠올린다. * [[초글링]] * [[촉법소년]] * [[멸칭]] * [[중2병]] * [[가해자가 된 피해자]] * [[마인크래프트]] * [[플레이어(마인크래프트)#스티브|스티브]] - 잼민이를 묘사할 때 가장 자주 쓰이는 캐릭터이다. * [[언더테일]] - 잼민이들로 인해 [[스포일러|피해]]를 본 대표적인 게임 중 하나다. * [[샌즈]] - 잼민이들이 샌즈에 관련된 스포일러를 퍼뜨리고 다녔기 때문에 잼민이들의 상징으로 쓰이기도 한다. 다만 스티브에 비해 잘 사용되지는 않는다. * [[메갈로바니아]] - 스티브가 잼민이를 상징하는 캐릭터라면 이쪽은 음악이다. 참고로 잼민이들은 대부분 메갈로바니아라는 정식 제목을 모르고 '샌즈브금', '샌즈음악' 정도로만 알고 있다. * [[조카몬]] * [[병신TV]] * [[어쩔티비]] * [[어몽어스 잼민이]]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초딩, version=3002)] [[분류:속어 유행어]][[분류:멸칭]][[분류:트위치/밈]][[분류:인터넷 밈/정치 및 사회/대한민국]][[분류:한국어 욕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