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경제]] [목차] == 개요 == jackson hole meeting. 매년 [[8월]] 말 [[미국]] [[와이오밍]]주의 휴양지인 잭슨홀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12지점 중 하나인 [[캔자스시티]] 연방은행 주도 하에 개최되어 [[경제]] 현안을 논의하는 연례 경제정책 [[심포지엄]]. == 상세 ==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을 비롯해 전세계 [[중앙은행]]장과 [[경제학자]]등 각국의 경제 전문가들이 모여 향후 통화정책 등 경제 전반에 대해 논의한다. 특히 연준 의장의 기조연설이 잭슨홀 미팅에서 가장 주목을 받는데, 연준 의장이 어떠한 메시지를 내느냐에 따라 기축통화국인 미국의 통화 정책 방향을 가늠할 수 있고, [[환율]]과 증시 등 금융시장에 큰 변동성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전세계의 경제계에서 큰 관심을 가지고 지켜본다.[* 연준 의장의 기조연설은 만년설의 티턴산이 둘러싼 잭슨홀에서 나오는 강력한 메시지라는 점에서 금융시장에서는 이를 8월 티턴산의 계시라고 부르기도 한다.] [[2005년]]에는 [[라구람 라잔]] 인도 중앙은행장이 미국 경제의 거품으로 인해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을 제기하였고, 실제로 2007년 [[세계 금융 위기]]가 도래하여 주목을 받았다. [[2010년]]에는 [[벤 버냉키]] 당시 연준 의장이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책으로 [[양적완화]] 확대와 제로금리 정책을 제안하여 향후 경제 불황을 극복하는데 일조하기도 하였다.[[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20824_0001988744|#]] [[2022년]]에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연준이 지속적으로 금리를 올리는데도 미국 증시가 계속 상승하자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고강도 금리 인상을 계속하겠다는 발언으로 인해 국내외 증시와 외환시장이 크게 출렁거렸다. [[2023년]]에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글로벌 경제의 구조적 변화를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미국 기준 금리 인상 여부에 대해 신중하게 결정하겠다고 발언하면서 시장에는 큰 충격을 주지 않았다. == 여담 == 잭슨홀 미팅은 원래 1978년부터 [[미주리주]] [[캔자스시티]] 등에서 미팅을 열다가 1982년 잭슨홀로 장소를 바꾸었다. 그 이유는 당시 연준 의장이었던 [[폴 볼커]]를 끌어들이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폴 볼커는 낚시광이었는데 [[송어]] 낚시로 유명한 호수가 있는 잭슨홀로 장소를 바꾸어 그를 잭슨홀 미팅으로 끌어들였다나. == 관련 문서 == *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