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잭 안토노프}}}[br]Jack Antonoff'''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ack-antonoff-feb-2019-billboard-1548-compressed.jpg|width=100%]]}}} || || '''본명''' ||잭 마이클 안토노프 (Jack Michael Antonoff) || ||<|2> '''출생''' ||[[1984년]] [[3월 31일]] ([age(1984-03-31)]세) || ||[[미국]] [[뉴저지|뉴저지주]] 버겐필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신장''' ||180cm || || '''직업''' ||[[싱어송라이터]], [[프로듀서]] || || '''형제''' ||누나 레이첼 안토노프 || || '''배우자''' ||[[마가렛 퀄리]]^^(2023년 ~)^^ || ||<|2> '''링크''' ||개인: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ackantonoff, 크기=20)] [[https://www.instagram.com/jackantonoff/|[[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threads.net/@jackantonoff|[[파일:Threads 아이콘.svg|width=20]]]] || ||블리처스: [[https://www.youtube.com/user/bleachers/feature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bleachersmusic/|[[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leachersmusic, 크기=20)] [[https://www.instagram.com/bleachersmusic/|[[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프로듀서. 미국의 밴드 [[FUN.]]의 멤버이자 밴드 블리처스(Bleachers)의 멤버이다. == 활동 == === 스틸 트레인(Steel Train) === 2002년 결성된 록 밴드이다. 잭 안토노프를 비롯해 총 다섯 명의 멤버로 시작했으며, 안토노프가 리드 싱어였다. 스틸 트레인은 2013년 해체되었다. === [[FUN.]] === 자세한 내용은 [[FUN.]] 항목 참조. 2015년 2월 4일 [[FUN.]]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FUN.의 활동 중단을 알렸다. 다만 팀 해체는 아니라고 밝혔다. [[http://ournameisfun.com/|링크]] === 블리처스(Bleachers) === 2014년 2월 데뷔한 잭 안토노프의 1인 밴드이다.[* 공식 멤버가 잭 안토노프 뿐이다. 사실상 '프로듀서=잭 안토노프, 가수=블리처스'로 활동하는 셈.] 블리처스와 별개로 FUN. 활동도 계속한다고 밝혔다. 2014년 2월 18일 첫 싱글 'I Wanna Get Better'을 공개했다. 발매 직전까지 발매 사실을 팬들에게도 비밀로 부쳤다. 이 곡은 [[빌보드 얼터너티브 송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다. 2014년 7월 10일 블리처스의 데뷔 앨범, 'Strange Desire'를 발매했다. 해당 앨범은 주로 FUN. 월드투어 기간에 호텔 방에서 만들었다고 한다. 2017년 6월 2일, 블리처스의 두 번째 앨범인 'Gone Now'가 공개되었다. 2018년 3월 16일 발매된 [[러브, 사이먼]]의 사운드트랙에 참여하였다. 2019년 3월 'Gone Now'의 컴필레이션 앨범인 'Terrible Thrills, Vol. 3'가 발매되었다. 2020년 [[칼리 레이 젭슨]]의 4집 Dedicated의 미수록곡을 담은 EP인 [[Dedicated Side B]]의 수록곡인 'Comeback'에 피쳐링으로 참여하였다. 블리처스로서는 거의 2년 만의 신곡이다. 2020년 11월 16일 두 곡의 싱글을 공개했다. 곡 이름은 '45'와 'Chinatown'이며, 동시에 2021년 새 앨범을 발매하겠다고 밝혔다. [[https://www.buzzfeed.com/angelicaamartinez/jack-antonoff-bleachers-new-album-bruce-springsteen|#]] 2021년 5월 18일, 새 싱글 'Stop Making This Hurt'를 발매했다. 또 새 앨범을 7월 30일에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새 앨범의 제목은 'Take the Sadness Out of Saturday Night'이며, 수록곡은 이미 공개한 '45', 'Chinatown', 'Stop Making This Hurt'를 포함해 총 10곡이다. 2021년 7월 30일, 예정대로 블리처스의 정규 3집, 'Take the Sadness Out of Saturday Night'이 발매되었다. 수록곡 '91'의 프로듀싱에는 [[세인트 빈센트]]가, 'Don't Go Dark'의 작사작곡에는 [[라나 델 레이]]가 참여했다. 라나 델 레이는 'Secret Life'의 피쳐링도 맡았다. === 프로듀싱 활동 === 사실 2020년을 전후로 안토노프는 프로듀서로서의 활동에 보다 적극적이다. 그가 메인 프로듀서로 참여한 앨범들이 평단의 극찬을 받으면서 능력을 인정받는 중. 특히 [[테일러 스위프트]], [[라나 델 레이]]와 밀접한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참여한 앨범의 목록이 정말 화려하다. 각종 평론지의 연말 결산 1위를 차지한 앨범도 많고, [[그래미]] 올해의 앨범에 노미네이트 된 앨범도 다수이다. 특히 '''[[얼터너티브]] 장르'''에 강세를 보여서, 최근 들어 얼터너티브를 추구한 유명 여가수들은 거의 안토노프와 협업했다. [[라나 델 레이]], [[로드(가수)|로드]], [[테일러 스위프트]], [[세인트 빈센트]] 등. ==== [[테일러 스위프트]] ==== 안토노프는 [[테일러 스위프트]]와 지속해서 앨범 작업을 같이 하고 있다. [[1989(음반)|1989]]부터 [[Fearless (Taylor's Version)]]까지 무려 여섯 번 연속이다. 2013년 영화 원 찬스의 OST인 'Sweeter than Fiction'를 [[테일러 스위프트]]와 공동으로 작사 작곡하였다. 해당 곡은 2014 [[골든글로브]] 주제가상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2014년 발매된 [[테일러 스위프트]]의 스튜디오 앨범인 [[1989(음반)|1989]]에 참여하였다. 'Out of the Woods', 'I Wish You Would', 'You Are in Love의 세 곡의 크레딧에 이름을 올렸다. 2017년 발매된 [[테일러 스위프트]]의 정규 6집 [[reputation]]에 참여해 '''총 6곡[* "Look What You Made Me Do", "Getaway Car", "Dress", "This Is Why We Can't Have Nice Things", "Call It What You Want", "New Year's Day"]의 프로듀싱'''을 맡았다. 이 중 "Look What You Made Me Do"를 제외한 다섯 곡은 크레딧에 안토노프와 테일러 스위프트 둘 만 이름을 올렸다. [[테일러 스위프트]]의 정규 7집 [[Lover]]에 참여하였다. 이전과 달리 '''메인 프로듀서'''이다. 총 11곡[* "Cruel Summer", "Lover", "The Archer", "I Think He Knows", "Paper Rings", "Cornelia Street", "Death By a Thousand Cuts", "London Boy", "Soon You'll Get Better"(featuring The Chicks), "False God", "Daylight"]에 참여했다. 2020년 발매된 정규 8집 [[folklore]]와 정규 9집 [[evermore(테일러 스위프트)|evermore]]에도 어김없이 참여했다. 또한 [[folklore]]가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에 선정되면서 테일러와 함께 시상대에 올랐다. [[Fearless (Taylor's Version)]][* 2021년 발매된 재녹음 앨범]에도 참여해서, 총 네 곡[* "Mr. Perfectly Fine", "That's When (feat. Keith Urban)", "Don't You", "Bye Bye Baby"]의 프로듀싱을 맡았다. 2022년 10월 20일에 발매된 테일러 스위프트의 10집 앨범 [[Midnights]]에서는 전곡의 프로듀싱을 테일러와 공동으로 맡았다. 이쯤되면 테일러의 음악적 단짝이라 해도 손색 없다. ==== [[라나 델 레이]] ==== 2019년 8월 30일 발매된 [[라나 델 레이]]의 앨범 '''[[Norman Fucking Rockwell!]]의 메인 프로듀서'''이다. 이 앨범 역시 평론가들의 극찬을 받았으며, [[피치포크]]의 2019년 올해의 앨범에 선정되었다. 2021년 발매된 정규 7집 [[Chemtrails Over The Country Club]]에도 메인 프로듀서로 이름을 올렸다. ==== [[세인트 빈센트]] ==== 특유의 전위성으로 얼터너티브-록 계의 중심에 있는 [[세인트 빈센트]]와도 두 번에 걸쳐 작업을 같이했다. 안토노프가 2017년 발매된 정규 5집 'Masseduction'과 2021년 발매된 정규 6집 'Daddy's Home'에 프로듀서로서 참여했다. ==== [[로드(가수)|로드]] ==== [[로드(가수)|로드]]의 2집 '''[[Melodrama]]에 메인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Melodrama 스탠다드 버전의 전곡을 로드와 공동으로 작사 작곡하였다. 2017년 6월 16일 발매된 이 앨범은 평단의 극찬을 받았고, [[그래미 어워드]]에도 노미네이트되었다. 로드의 3집, [[Solar Power]]에도 메인 프로듀서로서 참여했다. ==== 기타 ==== 2015년 공개된 [[트로이 시반]]의 'Heaven(featuring Betty Who)'를 단독으로 프로듀싱하였다. 2018년 공개된 영화 [[러브, 사이먼]]의 사운드트랙에도 프로듀서로 참여하였다. [[칼리 레이 젭슨]]과도 몇 번에 걸쳐 작업을 같이하고 있다. 2012년 정규 2집 [[Kiss(칼리 레이 젭슨)|Kiss]]의 수록곡 'Sweetie'를 시작으로, 2019년 정규 4집 [[Dedicated]]의 수록곡 'Want You in My Room'에 프로듀서로 이름을 올렸다. 2020년 발매된 [[칼리 레이 젭슨]]의 EP '[[Dedicated Side B]]'에도 참여해서, 두 수록곡 'This Love Isn't Crazy', 'Comeback(feat. Bleachers)'의 프로듀서이다. 특히 'Comeback'에는 프로듀싱 뿐만 아니라 보컬로서도 참여했다.[* 블리처스로서는 거의 2년 만의 신곡이다.] == 디스코그래피 == FUN.으로서의 활동은 [[FUN.|항목]] 참조. === 앨범 === ==== Strange Desir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range Desire.jpg|width=100%]]}}}|| |||||| '''Strange Desire''' [br] (2014.07.11) || || '''트랙''' || '''곡명''' || '''길이''' || || 1 || Wild Heart || 3:20 || || 2 || Rollercoaster || 3:08 || || 3 || Shadow || 3:51 || || 4 || I Wanna Get Better || 3:24 || || 5 || Wake Me || 2:43 || || 6 || Reckless Love || 3:01 || || 7 || Take Me Away (feat. [[Grimes]]) || 2:30 || || 8 || Like a River Runs || 3:33 || || 9 || You're Still a Mystery || 4:24 || || 10 || I'm Ready to Move On / Wild Heart Reprise [br] (feat. [[Yoko Ono]]) || 4:11 || || 11 || Who I Want You to Love || 4:50 || ==== Gone Now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one Now.jpg|width=100%]]}}}|| |||||| '''Gone Now''' [br] (2017.06.02) || || '''트랙''' || '''곡명''' || '''길이''' || || 1 || Dream of Mickey Mantle || 3:10 || || 2 || Goodmorning || 3:13 || || 3 || Hate That You Know Me || 3:06 || || 4 || Don't Take the Money || 3:36 || || 5 || Everybody Lost Somebody || 3:55 || || 6 || All My Heroes || 3:04 || || 7 || Let's Get Married || 3:06 || || 8 || Goodbye || 2:57 || || 9 || I Miss Those Days || 3:38 || || 10 || Nothing Is U || 2:23 || || 11 || I'm Ready to Move On/Mickey Mantle Reprise || 4:24 || || 12 || Foreign Girls || 4:01 || 백그라운드 보컬에 잭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가수들이 상당수 참여했다. 일례로, 세 번째 트랙 'Hate That You Know Me'에는 [[로드(가수)|로드]], [[칼리 레이 젭슨]], [[줄리아 마이클스]] 등이 백 보컬로 참여했다. ==== Take the Sadness Out of Saturday Night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ake the Sadness Out of Saturday Night.jpg|width=100%]]}}}|| ||<-3> '''Take the Sadness Out of Saturday Night''' [br] (2021.07.30) || || '''트랙''' || '''곡명''' || '''길이''' || || 1 || 91 || 2:59 || || 2 || Chinatown (feat. [[Bruce Springsteen]]) || 4:04 || || 3 || How Dare You Want More || 4:00 || || 4 || Big Life || 2:30 || || 5 || Secret Life (feat. [[Lana Del Rey]]) || 3:06 || || 6 || Stop Making This Hurt || 3:19 || || 7 || Don't Go Dark || 4:03 || || 8 || 45 || 3:23 || || 9 || Strange Behavior || 3:05 || || 10 || What'd I Do with All This Faith? || 3:18 || === 싱글 === ==== 2014년 ==== * I Wanna Get Better * Shadow * Rollercoaster * Like a River Runs ==== 2015년 ==== * Entropy (with Grimes) ==== 2017년 ==== * Don't Take the Money * Hate That You Know Me * Everybody Lost Somebody * I Miss Those Days ==== 2018년 ==== * Alfie's Song (Not So Typical Love Song) ==== 2020년 ==== * 45 * Chinatown (feat. Bruce Springsteen) ==== 2021년 ==== * Stop Making This Hurt === 참여 앨범 === 프로듀서로서 참여한 앨범. 블리처스 명의로 발매한 앨범은 제외했다. * [[테일러 스위프트]] * [[1989(음반)|1989]] (2014), [[reputation|Reputation]] (2017), [[Lover]] (2019), [[folklore|Folklore]] (2020), [[evermore(테일러 스위프트)|evermore]] (2020), [[Fearless (Taylor's Version)]] (2021), [[Midnights]] (2022) * [[로드(가수)|로드]] * [[Melodrama]] (2017), [[Solar Power]] (2021) * [[세인트 빈센트]] * Masseduction (2017), Daddy's Home (2021) * [[브록햄튼|Kevin Abstract]] * Arizona Baby (2019) * [[라나 델 레이]] * [[Norman Fucking Rockwell!]] (2019), Violet Bent Backwards over the Grass (2020), [[Chemtrails Over The Country Club]] (2021) * [[더 칙스]] * Gaslighter (2020) * [[Clairo]] * sling (2021) === 참여 싱글 === 프로듀서로서 참여한 곡. 블리처스 명의로 발매한 싱글은 제외했다. 목록을 보면 알겠지만 엄청나게 다작한다. ||<-5> '''2010년대 참여 곡''' || || '''연도''' || '''곡명''' || '''가수''' || '''수록앨범''' || '''기타''' || || 2012 || Sweetie || [[칼리 레이 젭슨]] || [[Kiss(칼리 레이 젭슨)|Kiss]] || [* 자신이나 [[FUN.|자신이 속한 밴드]]가 아닌 다른 가수의 곡에 참여한 최초의 곡이다.] || ||<|4> 2013 || How Come You Don't Want Me || Tegan and Sara || Heartthrob || || || Brave ||<|2> Sara Bareilles ||<|2> The Blessed Unrest || || || Chasing the Sun || || || Sweeter Than Fiction || [[테일러 스위프트]] || 원 찬스 OST || [* 테일러 스위프트와의 첫 번째 곡이다.] || ||<|4> 2014 || I Don't Wanna Break || [[크리스티나 페리]] || Head or Heart || || || Out of the Woods ||<|3> [[테일러 스위프트]] ||<|3> [[1989(음반)|1989]] || || || I Wish You Would || || || You Are in Love || || ||<|2> 2015 || Heaven (feat. Betty Who) || [[트로이 시반]] || Blue Neighbourhood || [*SP 단독 프로듀싱] || || Stand by You || [[레이첼 플래튼]] || Wildfire || || ||<|6> 2016 || Help Me Run Away || St. Lucia || Matter || || || House on Fire || [[Sia]] || [[This is Acting]] || || || Changes || Brooke Candy || - || || || Dope || [[피프스 하모니]] || 7/27 || [*SP 단독 프로듀싱] || || Lost Youth/Lost You || How to Dress Well || Care || || || I Don't Wanna Live Forever || [[제인 말리크|Zayn]], [[테일러 스위프트]] || [[50가지 그림자: 심연|Fifty Shades Darker]] OST || [*SP 단독 프로듀싱] || ||<|23> 2017 || Green Light ||<|10> [[로드(가수)|로드]] ||<|10> [[Melodrama]] || || || Sober || || || The Louvre || || || Liability || || || Hard Feelings/Loveless || || || Sober II (Melodrama) || || || Writer in the Dark || || || Supercut || || || Liability (Reprise) || || || Perfect Places || || || Crowded Places || Banks || - || || || New York ||<|4> [[세인트 빈센트]] ||<|4> Masseduction || || || Masseduction || || || Happy Birthday, Johnny || || || Sugarboy || || || Look What You Made Me Do ||<|6> [[테일러 스위프트]] ||<|6> [[reputation|Reputation]] || || || Getaway Car || || || Dress || || || This Is Why We Can't Have Nice Things || || || Call It What You Want || || || New Year's Day || || || Beautiful Trauma ||<|2> [[P!nk]] ||<|2> Beautiful Trauma || [*SP 단독 프로듀싱] || || Better Life || [*SP 단독 프로듀싱] || ||<|5> 2018 || Alfie's Song (Not So Typical Love Song) ||<|2> 블리처스 ||<|4> [[러브, 사이먼]] OST || || || Keeping a Secret || || || Never Fall In Love || 잭 안토노프, [[MØ]] || || || Strawberries & Cigarettes || [[트로이 시반]] || || || All Loved Up || Amy Shark || Love Monster || [*SP 단독 프로듀싱] || ||<|34> 2019 || Mariners Apartment Complex ||<|11> [[라나 델 레이]] ||<|11> [[Norman Fucking Rockwell!]] || || || Venice Bitch || || || hope is a dangerous thing for a woman like me to have - but i have it || || || How To Disappear || || || Norman Fucking Rockwell || || || Fuck It, I Love You || || || Love Song || || || Cinnamon Girl || || || The Greatest || || || California || || || Happiness Is a Butterfly || || || Want You in My Room || [[칼리 레이 젭슨]] || [[Dedicated]] || [*SP 단독 프로듀싱] || || Big Wheels ||<|10> Kevin Abstract ||<|10> Arizona Baby || || || Joyride || || || Georgia || || || Corpus Christi || || || Baby Boy || || || Mississippi || || || Use Me || || || Peach || || || American Problem || || || Crumb || || || Cruel Summer ||<|11> [[테일러 스위프트]] ||<|11> [[Lover]] || || || Lover || || || The Archer || || || I Think He Knows || || || Paper Rings || || || Cornelia Street || || || Death By a Thousand Cuts || || || London Boy || || || Soon You'll Get Better (feat. The Chicks) || || || False God || || || Daylight || || || Holy Terrain (feat. [[Future]]) || [[FKA Twigs]] || Magdalene || || ||<-5> '''2020년대 참여 곡''' || || '''연도''' || '''곡명''' || '''가수''' || '''수록앨범''' || '''기타''' || ||<|24> 2020 || Gaslighter ||<|12> [[더 칙스]] ||<|12> Gaslighter || || || Sleep at Night || || || Texas Man || || || Everybody Loves You || || || For Her || || || March March || || || My Best Friend's Weddings || || || Tights on My Boat || || || Julianna Calm Down || || || Young Man || || || Hope It's Something Good || || || Set Me Free || || || Together || [[Sia]] || Music [br]– Songs from and Inspired by the Motion Picture || || || This Love Isn't Crazy ||<|2> [[칼리 레이 젭슨]] ||<|2> [[Dedicated Side B]] || [*SP 단독 프로듀싱] || || Comeback (feat. Bleachers) || [*SP 단독 프로듀싱] || || My Tears Ricochet ||<|9> [[테일러 스위프트]] ||<|7> [[folklore|Folklore]] || || || Mirrorball || || || August || || || This Is Me Trying || || || Illicit Affairs || || || Betty || || || The Lakes || || || Gold Rush ||<|2> [[evermore(테일러 스위프트)|evermore]] || || || Ivy || || ||<|18> 2021 || Play Dumb || [[Sia]] || Music [br]– Songs from and Inspired by the Motion Picture || || || White Dress ||<|10> [[라나 델 레이]] ||<|10> [[Chemtrails Over The Country Club]] || || || Chemtrails over the Country Club || || || Tulsa Jesus Freak || || || Let Me Love You Like a Woman || || || Wild at Heart || || || Dark But Just a Game || || || Not All Who Wander Are Lost || || || Breaking Up Slowly || || || Dance Till We Die || || || For Free [br](feat. Zella Day and Weyes Blood) || || || Mr. Perfectly Fine ||<|4> [[테일러 스위프트]] ||<|4> [[Fearless (Taylor's Version)]] || || || That's When (feat. Keith Urban) || || || Don't You || || || Bye Bye Baby || || || 1 Step Forward, 3 Steps Back ||<|2> [[올리비아 로드리고]] ||<|2> [[SOUR]] || [* 테일러 스위프트와 잭 안토노프의 'New year's day'를 샘플링] || || Deja Vu || [* 테일러 스위프트와 잭 안토노프, [[세인트 빈센트]]의 'Cruel Summer'를 샘플링] || || Solar Power || [[로드(가수)|로드]] || [[Solar Power]] || || == 여담 == * 세 남매 중 둘째로, 누나인 레이첼 안토노프는 패션 디자이너이다. 레이첼은 [[네이트 루스]]와 사귄 적도 있다. * 유대인 계 미국인이다. * 미국의 여배우 레나 던햄[* [[HBO]]의 미드 Girls로 잘 알려져 있다.]과 2012년부터 교제하다가 2017년 헤어졌다. [[테일러 스위프트]]의 앨범 [[1989(음반)|1989]]의 수록곡인 'You Are In Love'가 잭과 레나에 관한 곡으로 알려졌다. 테일러가 둘 간의 사랑을 보면서 쓴 곡이라고 한다. * 과거 [[스칼렛 요한슨]]과 사귄 적이 있었다.[* 둘 다 유대인이고, 뉴욕 Professional Children's School 동창이다. 84년생으로 나이도 같다.] * 2021년부터, 10살 연하 [[마거렛 퀄리]]와 교제중이다. 2022년 5월, 약혼했으며 2023년 8월, 결혼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FUN., version=109, paragraph=2)] [[분류:미국 남가수]][[분류:미국의 싱어송라이터]][[분류:미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1984년 출생]][[분류:버건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유대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