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재즈, rd1=재즈(트랜스포머))]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width=50]] }}} || ||<-2> [[파일:external/tfwiki.net/MovieJazz_promorender.jpg|width=100%]][* 사진에서는 바이저가 은색이지만 영화에서는 푸른색으로 나온다.] || ||<-2> '''{{{#fff {{{+1 재즈}}} [br]Jazz / ジャズ}}}''' || || '''{{{#fff 비클}}}''' ||[[폰티악 솔스티스]] || || '''{{{#fff 소속}}}''' ||[[오토봇]] || || '''{{{#fff 직위}}}''' ||오토봇 군단 부사령관[* 이후 이 자리는 [[아이언하이드(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아이언하이드]]가 맡는다.][br]옵티머스 부관[br]오토봇 군단 [[중위]][* 리부트 후 이 중위 직위는 [[클리프점퍼(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클리프점퍼]]가 맡는다.] || || '''{{{#fff 성우}}}'''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다리우스 맥크러리, [[앤드루 키시노]]([[트랜스포머: 더 게임|게임]])[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쿠스노키 타이텐]][* [[트랜스포머 카로봇]]에서는 [[블랙 콘보이]]를,[[트랜스포머 갤럭시 포스]]에서 [[옵티머스 프라임(아마다)|갤럭시 콘보이]]를, [[트랜스포머 어드벤처]]에서도 [[옵티머스 프라임(프라임)|옵티머스 프라임]]을, [[트랜스포머 아마다]]에서는 주인공 화이트의 아빠를, [[범블비(영화)]]에서는 잭 번스를 맡았다.][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박영재(성우)|박영재]] || [목차] == 개요 == [[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재즈(트랜스포머)|재즈]]. 비클 모드의 특징이 잘 살아있는 은색의 유선형 몸체가 특징이며 특유의 고글을 연상시키는 멋들어진 바이저가 잘 재현되어 있다. 직책은 부사령관. 1편 시점에서 [[옵티머스 프라임(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옵티머스 프라임]] 다음으로 지위가 높으며 부관을 맡고 있다. 주 무기는 원형 가드가 달린 화기로 독특하게도 마치 충격파를 쏘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며 그 외에 손에서 자기장을 발생시켜 인간들의 총기를 뺏기도 했다. 1편에서 등장한 오토봇 중 체구가 가장 작으며 이에 걸맞게 민첩한 동작이 특징. 직책에 걸맞은 노련한 실력을 가지고 있으나 체급이 밀리는 건 어쩔 수 없다. == 작중 행적 == === [[트랜스포머(영화)|트랜스포머]] === 범블비의 연락을 받고 출동한 오토봇들 중 하나로, 다른 동료들처럼 [[프로토폼]] 형태로 등장한다. 자동차 매장에 전시되어 있던 [[폰티악 솔스티스]]를 스캔한다. [[파일:800px-Jazz_movie_ally.jpg|width=600]] >'''안녕들 했냐?''' >([[옵티머스 프라임(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옵티머스]]) 우리 군단의 [[중위]], 통칭 '재즈' >'''[[지구|이 행성]] 물 좋은데.''' >---- >- 옵티머스가 재즈를 소개할 때. [[샘 윗위키]] 앞에서 다른 오토봇들이 변신할 때 혼자 브레이크 댄스를 추며 변신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옵티머스에 의해 소개될 때 "이 행성은 꽤 물 좋은 곳이군."이라는 대사를 치는 등 상당히 위트 있는 성격임이 드러난다. 라쳇이 전깃줄에 걸려 숨어야 했을 때 가장 늦게 숨었지만, 체급이 작아서 그런지 가장 잘 숨었으며[* 참고로 가장 어설프게 숨은 건 옵티머스다. 이쪽은 덩치가 너무 거대해서 그런 듯.], 가벼워 보이는 이미지와 달리 충성심과 동료애가 꽤 강한 편이다. 특히 1편 당시 막내였던 [[범블비(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범블비]]를 정말 이뻐한다. 혼자서 범블비를 걱정하는 말을 두 번이나 할 정도. >'''정말 아무것도 안 할 겁니까?''' >---- >- [[섹터 7]]에 잡혀가는 범블비를 옵티머스가 보고만 있을 때. >'''범블비는 어떻게 할 겁니까? 이대로 생체 실험 쥐가 돼서 죽게 내버려 둘 겁니까? ''' >---- >- 범블비가 정부에게 실험 대상으로 고통받고 있을 때. || [youtube(SofGcjSiLww)] || || {{{#ffffff '''오토봇 VS 브롤'''}}} || 후반부 시가전에서는 비중은 적었지만 민첩함을 살려 용감히 싸웠다. >'''덤벼라, 디셉티콘 애송이!''' >'''Come on, Decepticon punk!''' 위의 대사와 함께 [[브롤(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브롤]]에게 달려들어 포탑을 꺾고 미사일 런처를 발로 차 떼어내는 등 선전하지만 체급 차이가 너무 큰 탓인지 잡혀서 내동댕이쳐진다. 하지만 곧바로 일어나 슬라이딩하면서 동시에 사격을 가하는 등 멋진 모습을 보여준다. [[메가트론(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메가트론]]이 본격적으로 등장했을 때 다른 오토봇들과 미군들은 당황하여 후퇴한 반면 혼자서 용맹하게 맞선다.[* 사실 영화를 자세히 보면 재즈도 후퇴하려고 했지만 자기 뒤로 미처 도망 못 간 사람들이 있어 그들을 지키기 위해 메가트론에게 맞선 것이었다.] 그러나 메가트론이 쏜 캐논에 맞아 치명상을 입고[* 몸체가 찌그러지고 바이저도 깨져서 얼굴이 드러난다.] 그대로 붙잡혀 빌딩 위로 끌려간다. ||
[youtube(si-K5mTCoYk)] || || {{{#ffffff '''재즈의 죽음'''}}} || || [[파일:external/illuminatiwatcher.com/IlluminatiWatcherDotCom-Transformers-Illuminati-Jazz-Dies.png|width=100%]] || >재즈: [[유언/서양 창작물|You want '''a piece''' of me? You want a piece?('''한''' 판 붙어 볼래?)]] >메가트론: [[요참형|No! I want '''two'''!(아니! '''두 개'''가 좋겠군!)]] 그럼에도 겁먹기는 커녕 메가트론을 도발하며 끝까지 저항하나 압도적인 체급 및 실력차를 이겨내지 못하고 '''[[포확찢|반으로 찢겨 참혹하게 죽는다]].''' 재즈 입장에서는 최후까지 도발했지만, 메가트론은 이를 말장난으로 받아치면서 진짜로 재즈를 '''두 조각(pieces)'''으로 찢어죽였다.[* 자막판에서는 이러한 말장난을 살리기가 어려웠는지 메가트론의 대사가 "성가신 놈!" 혹은 "해볼 거나 있나!" 정도로 대충 번역됐다. 확실히 우리말로 살리기 어려운 말장난이긴 하다. KBS 더빙판에선 "내가 그렇게 탐나냐? 한 조각 줄까?"/"아니, 두 조각은 되어야지!"로 번역.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nsformers&no=137321&exception_mode=recommend&page=2|"한 번 붙어볼까? 한번 붙어보라고!"/"그래! 붙을 때까지 떼주마!" 같은 식으로]] 번역했으면 좋았을 것 같다는 의견도 있다.] 직후 프라임이 현장에 도착하고, 메가트론은 죽은 재즈를 내던진 뒤 전투에 돌입한다. 재즈의 시신은 전투가 끝난 뒤 [[아이언하이드(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아이언하이드]]에 의해 회수되었다.[* 아이언하이드가 회수한 시신에서 오른팔이 없는 것처럼 보여서 메가트론에게 두 동강나고 빌딩 아래로 던져졌을 때 떨어져 나간 것으로 보이나 [[https://m.dcinside.com/board/cybertron_tf/52599|자세히 보면 옵티머스 안쪽으로 접혀있는 걸 알 수 있다.]]] == 완구 == 1편에서 사망한 탓에 발매된 완구가 적은 편이다. * '''2007년 디럭스 클래스 오토봇 재즈''' [[파일:Jazzmovietoydeluxe.jpg]] 이외에 올스파크 버전, 프리미엄 버전, [[재즈(G1)|G1 컬러 버전]], 3편 개봉 당시 타겟 마트 한정판으로 나온 스모크 클리어 버전이 있다. 참고로 유일하게 이 완구에 부속된 무기는 제작 단계에서 있었던 것으로, 컨셉아트 옆에 "Arm Sword"라고 적혀있는 걸 보면 [[펜싱]] 검 비슷하게 쓰는 듯한 무기인듯. [[https://tfwiki.net/mediawiki/images2/1/18/Movie_Jazz_armswordconcept.jpg|#]] 그리고 허벅지 앞에 붙은 후미등이 제대로 구현된 유일한 완구이다. * '''2007년 디럭스 클래스 파이널 배틀 재즈''' [[파일:Movie_FinalBattleJazz_toy.jpg]] 작중에서 사용한 무기가 재현되었으며 여기저기 부서진 모습의 조형이 특징이다. * '''2010년 [[트랜스포머 휴먼 얼라이언스|휴먼 얼라이언스]] 오토봇 재즈''' [[파일:TF2010_HumanAlliance_Jazz&Lennox.jpg]] 이 휴먼 얼라이언스 완구는 가장 좋은 평가를 받는 제품 중 하나다. 비율이 뛰어나고 얼굴의 바이저를 개폐하는 기믹이 유일하게 재현됐기 때문에 호평받았다. 인기도 아주 높아서 프리미엄이 어마어마하게 붙어 부르는 게 값일 정도.[* 사실 위 사진의 모습을 한 해즈브로판은 마스터피스까지 출시된 이상 매물이 자주는 아니어도 간간이 뜨는 편이다. 하지만 여기에 바이저와 유리창이 무색 클리어로 변경된 타카라판은 정말로 아직까지 부르는 게 값이다.] 다만 당시 웬만한 피규어가 그랬듯 뒤로 길게 늘어뜨려진 등짐이 단점이다. 이후 중국제 복제품(KO)이 나왔는데 이 복제품마저 인기가 높다. 이를 악용해 이베이 같은 중고 사이트에서 KO라고 설명하지 않거나 정품으로 속여다 가격을 올려서 파는 사람들이 많으니 구매할 예정인 경우 주의. [[https://www.tfw2005.com/boards/threads/is-there-a-human-alliance-jazz-ko.1035281/|구별 방법]] * '''2018년 [[무비 더 베스트]] 오토봇 재즈''' [[파일:800px-TF-Movie-The-Best-MB-12-Jazz.jpg]] 넘버링은 MB-12. 디럭스급 재즈를 은색으로 재도색하고 파이널 배틀 재즈의 무장을 가져온 제품. === [[스튜디오 시리즈]] === * '''2018년 SS-10 디럭스 클래스 오토봇 재즈''' [[파일:StudioSeries-10-MV1-Deluxe-Jazz.jpg]] '''7년''' 만에 나온 디럭스 클래스 재즈로 스튜디오 시리즈답게 전체적인 조형과 비율이 잘 뽑혔다. 비클 모드에서의 껍데기 대부분이 등짐으로 남는 것과 발이 너무 작다는 것이 아쉬운 점. === [[마스터피스(완구)|마스터피스]] === * '''2019년 MPM-09 오토봇 재즈''' [[파일:TF-Masterpiece-MPM-9-Autobot-Jazz.jpg]] 전체적으로 휴먼 얼라이언스 재즈보다 영화 속 모습에 훨씬 가까워졌다. 동시에 웬만한 보이저 사이즈보다 크던 휴얼 재즈와는 달리 적절한 스케일을 위해 크기도 작아졌다. 가장 큰 특징은 상/하체를 분리하고 상체에 척추 부품을 끼워 작중 '''재즈의 최후를 재현'''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올스파크를 들고 달리는 모습의 [[샘 윗위키]] 피규어가 동봉된다.[* 뜬금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샘이 큐브를 들고 뛸 때 재즈는 비클 모드로 근처에 있었기 때문에 말이 되긴 한다. 물론 한동안 샘을 지켜주었던 아이언하이드나 라쳇과 더 잘 어울렸을 것이다. 아무래도 가장 작은 오토봇이다 보니 보너스로 넣어줬을 수도 있고, 오토봇 피규어를 수집할 명분을 제공하는 일종의 상술일 수도 있다.] 같은 스케일의 샘 윗위키가 재현된 건 휴먼 얼라이언스 범블비 이후 10년 만이다.[* 샘이 너무 크게 나온 거 아닌가 할 수도 있는데, 재즈의 비클인 폰티악 솔스티스가 원래 꽤 작은 차다.] 또한 등 부분의 변신을 대충 처리하던 이전 피규어들과 다르게 등 부분도 완벽하게 재현이 되어있다. 균형만 잘 잡는다면 한 손 물구나무서기도 가능할 정도로 안정적이라 온갖 곡예적인 움직임을 선보였던 재즈의 다양한 자세를 재현할 수 있다.[* 그런데 정작 발 부분은 통짜나 다름없다.] 하지만 조형과는 별개로 변신 난이도가 여태껏 나온 재즈 피규어들 중 가장 높다. 마스터피스 특유의 뽑기운, 깔끔하지 못한 도색, 부러지기 쉬운 사이드 미러, 변신의 용이함을 위해 허벅지 앞의 후미등이 종아리 뒤에 위치하게 된 것, 비대칭인 얼굴과 '''그냥 누락된 번호판''' 등 문제도 많다. == 기타 == * 1편에서 사망한 유일한 오토봇이지만 시리즈가 진행되면서 '재즈는 그나마 명예롭게 최후를 맞았다'는 평가를 받게 되었다. [[중위]]라는 직책에 걸맞게 최전선에서 디셉티콘들과 전투를 벌이고 마지막까지 메가트론을 상대로 도발하다가 장렬히 전사한 반면, 같이 1편에서 등장한 아이언하이드는 3편에서 배신자인 [[센티널 프라임(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센티넬 프라임]]에게 흉탄을 맞아 뭐가 어떻게 돌아가는지도 모른 채 비참하게 죽고 [[녹|산화(酸化)되어]] 시신도 남지못했고, 마찬가지로 1편에서 등장한 [[라쳇(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라쳇]] 역시 4편에서 인간들에게 배신당해 쫓기다가 치명상을 입고 [[락다운(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락다운]]에게 척살된 것도 모자라 시신 자체인 트랜스포뮴까지 착취당했다. *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이 개봉하기 이전, 재즈가 부활한다는 루머가 있었지만 [[사이드스와이프(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사이드스와이프]]를 재즈로 착각한 것이었다. 마이클 베이 역시 인터뷰에서 '재즈 대신 더 쿨한 캐릭터를 넣겠다'라고 했었다. * 1편에서 전투가 끝난 후 옵티머스는 재즈의 시체를 확인하며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옵티머스 프라임: 오... 재즈... 우린 훌륭한 동료를 잃었군. 하지만 [[샘 윗위키|새로운 동료]]가 생겼다. 국내에선 이 대사로 인해 사실 재즈가 [[고문관]]이었다는 억측과 옵티머스가 매정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 앞서 말한 프라임의 매정함 때문에 해외에서는 이런 농담도 있다. >옵티머스 프라임: 잘 가게, '[[블루스#s-1|블루스]]'. >[[라쳇(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라쳇]]: 그의 이름은 '재즈'였습니다, 프라임. >옵티머스 프라임: ... '''알 게 뭐야.''' 이게 급속도로 퍼지면서 트덕들 사이에서 '블루스'라고 불리는 재즈의 초라한 모습은 아예 [[밈]]이 되어버렸다. * 영화에서 재즈의 죽음에 대한 오토봇들의 슬픔이 부족했다고 여겨졌는지 [[IDW판 트랜스포머 코믹스 시리즈|무비판 코믹스]]인 얼라이언스에서는 재즈의 장례식에 참석한 옵티머스 프라임이 슬퍼하는 듯한 장면이 있다. * 성우가 [[흑인]]이고 말투도 흑인이어서 [[인종차별|'흑인이라서 죽은 거다']]라는 의견도 있었다. 한국에 비해 사람의 목소리나 말투로 국적/인종을 판명하는 미국에서 이런 의견이 강하다. 거기다가 이름도 흑인 음악인 재즈고. 그러나 마이클 베이가 본인 입으로 '''재즈가 싫다'''고 공언했다. * [[https://m.youtube.com/watch?v=CWhO_7jPC8U|후반부 시가전에서]] [[브롤(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브롤]]의 포탑을 꺾으며 공격하는 장면은 [[트랜스포머 더 무비]]의 [[오마쥬]]. [[컵(트랜스포머)|컵]]이라는 이름의 나이 든 오토봇이 [[블리츠윙(G1)|블리츠윙]]을 상대로 비슷한 장면을 보여줬다. * 1편에 등장한 트랜스포머들 중에서 [[프렌지(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프렌지]] 다음으로 크기가 작다. * 최후에 가려졌지만 영화 버전으로 나온 완구에 표기된 능력치 총합이 56점으로 1편에 출연한 오토봇들 중 라쳇과 함께 공동 2위다.[* 라쳇이 56점, 아이언하이드가 55점, 범블비가 52점.] 즉, 부관으로서의 밥값은 충분히 한다는 소리. 그 메가트론을 상대로 꽤나 오래 버틴 걸 생각하면 적절한 능력치이다. * 1편을 기반으로 만든 [[트랜스포머: 더 게임]]에서는 영화보다 더 활약하는데, 스타스크림과 [[블랙아웃(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블랙아웃]]을 상대로 싸워 승리한다.[* 미션에서는 스타스크림을 먼저 상대하다가 교대한 블랙아웃과 맞선다. 그러다 나중에는 둘에게 다굴당하는데 둘 다 쓰러뜨린다.] 그러나 곧바로 브롤과 전투를 벌이고 사망. * 비클 모드와 로봇 모드의 번호판이 서로 다른데, 로봇 모드에서는 [[바리케이드(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바리케이드]]의 번호판을 달고 있다.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bcJqVDNrsM)]}}}|| ||<#213963> '''{{{#fff 2007년 12월호 웹진 신년 연하장 버전 (GM대우 G2X 버전)}}}''' || * 여담으로, 비클 모드인 [[폰티악 솔스티스]]와 [[GM 카파 플랫폼|같은 플랫폼]]을 활용해 만든 차량인 [[GM대우 G2X]] 역시 국내에서 트랜스포머로 만들어진 적이 있었다. 해당 문서에도 소개되었지만, 2007년 10월호 웹진에서 붉은색 계열의 G2X가 트랜스포머로 변신하는 애니메이션이 등장한 바 있다. 이름은 '''지투'''라고.[* 같이 나온 [[GM대우 토스카|토스카]]는 토이, [[GM대우 윈스톰|윈스톰]]은 윈짱, [[GM대우 마티즈|마티즈]]는 마티라는 이름이 붙었다.] 위 연하장처럼 12월호 웹진 애니메이션에서는 [[김연아]] 선수처럼 피겨스케이팅을 하면서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고 적는다. 여담으로, 개별 로봇들이 등장하는 연하장 중 GM대우의 마스코트 캐릭터였던 참돌이가 등장하지 않았다. [[분류: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오토봇]][[분류:재즈(트랜스포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