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1986년 출생]][[분류:2011년 데뷔]][[분류:샌드포인트(아이다호)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레슬링 선수]][[분류:오클라호마 주립대학교 출신]]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i-res-7cf4c576ff74a61618da084982ace873_crop_north.jpg|width=100%]]}}} || || '''{{{#white 이름}}}''' ||재러드 대니얼 로숄트[br](Jared Daniel Rosholt) || || '''{{{#white 국적}}}'''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 || '''{{{#white 출생지}}}''' ||샌드포인트, [[아이다호주|아이다호]] || || '''{{{#white 생년월일}}}''' ||[[1986년]] [[8월 4일]] ([age(1986-08-04)]세) || || '''{{{#white [[종합격투기|{{{#white 종합격투기}}}]] 전적}}}''' ||[[https://www.sherdog.com/fighter/Jared-Rosholt-76763| 28전 20승 8패]] || || '''{{{#white 승}}}''' ||7KO, 1SUB, 12판정 || || '''{{{#white 패}}}''' ||6KO, 1SUB, 1판정 || || '''{{{#white 체격}}}''' ||188cm / 109kg / 194cm || || '''{{{#white 링네임}}}''' ||The Big Show || ||<|4> '''{{{#white 주요 타이틀}}}''' ||2008 [[NCAA]] Divison l [[올 아메리칸|All-American]] || ||2009 [[NCAA]] Divison l [[올 아메리칸|All-American]] || ||2010 [[NCAA]] Divison l [[올 아메리칸|All-American]] || ||2011 [[ADCC]] 북미 예선 +99kg {{{#aa9872 금메달}}} || ||<|1> '''{{{#white 기타}}}''' ||2019 [[PFL]] 라이트헤비급 토너먼트 준우승 || || '''{{{#white SNS}}}''' ||[[https://m.facebook.com/people/Jared-Rosholt/17117938/|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instagram.com/jared_rosholt?igshid=YmMyMTA2M2Y=|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UFC 헤비급 종합격투기 선수. == 전적 == * 주요 승: 디 버치필드, 레이 클레이튼, 커크 그린린튼, 로버트 해니, 리처드 오돔스, 바비 브렌츠, 리처드 화이트, 제이슨 월레이븐, [[월트 해리스]], [[다니엘 오밀란척]], [[소아 파렐레이]], [[조시 코플랜드]], [[티모시 존슨]], [[스테판 스트루브]], [[닉 로즈버러]], 발드린 이스트레피, [[켈빈 틸러]](2), [[이시이 사토시]], 무하마드 디리스 * 주요 패: [[데릭 루이스]], [[알렉세이 올리닉]], [[로이 넬슨]], 카이우 아우란카르, [[켈빈 틸러]], [[필리페 린스]], [[데니스 골초프]], [[알리 이사예프]] == 커리어 == NCAA 디비전 l 올아메리칸 3번 선정된 레슬러이다. 하지만 약한 맷집과 부실한 타격 능력으로 인해 레슬링 원툴 선수로 전락했고 더 높은 위치로 올라가지 못했다. UFC에서의 전적은 6승 2패로 꽤 준수한 편이나 판정으로 거둔 승리가 많고 지루하게 흘러간 경기가 많아 재계약에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 파이팅 스타일 == == 여담 == 형인 [[제이크 로숄트]] 역시 NCAA 올아메리칸 4회를 기록한 레슬러이자 종합격투기 선수로 활약했다. 형은 재러드에 비해 레슬링 커리어는 좋으나 종합격투기에서는 좋은 커리어를 쌓지 못하고 일찍 은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