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영국 왕실 인증 허가 브랜드)] ---- ||<-2><#ffffff,#2e2f34> {{{#221d1f,#dddddd '''{{{+2 JLR}}}'''}}} || ||<-2> [[파일:재규어 랜드로버 로고.svg|width=150&theme=light]][[파일:재규어 랜드로버 로고 화이트.svg|width=150&theme=dark]] || ||<|2> '''기업명''' ||'''정식''': Jaguar Land Rover Automotive PLC || ||'''한글''': 재규어 랜드로버 자동차 유한회사 || || '''설립''' ||[[2008년]] [[1월 18일]] ([[금요일]]) ([age(2008-01-18)]주년) || || '''본사'''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코번트리]] 휘틀리 || || '''핵심 인물''' ||에드리안 마델 (CEO) || || '''업종명''' ||[[자동차 제조사|자동차 제조업]] || || '''모기업''' ||[[타타자동차]] ([[타타그룹]]) || || '''기업 규모''' ||[[대기업]] || || '''매출액''' ||197억 3,100만 파운드[*참조 [[2021년]] [[3월 31일]] 기준.] || || '''영업 손실''' ||8억 6,100만 파운드[*참조] || || '''당기순손실''' ||11억 파운드[*참조] || || '''자산 총액''' ||231억 7,100만 파운드[*참조] || || '''자본 총액''' ||52억 6,300만 파운드[*참조] || || '''홈페이지''' ||[[https://www.jaguarlandrover.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linkedin.com/company/jaguar-land-rover_1|[[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youtube.com/@JaguarLandRoverOfficia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타타자동차]] 산하의 [[영국]]의 고급 자동차 제조사다. 산하 브랜드로 프리미엄 자동차 브랜드인 [[재규어(자동차)|재규어]]와 프리미엄/럭셔리 SUV 브랜드인 [[랜드로버]]가 있다. [[재규어(자동차)|재규어]] 및 [[랜드로버]]는 원래는 별개의 회사였으나 2008년 1월 18일 인수 합병을 통해 하나의 회사가 되었다. == 역사 == || [[파일:corporate.7f94bba1.png|width=100%]]|| [[파일:재규어 랜드로버 로고.svg|width=60%&theme=light]][[파일:재규어 랜드로버 로고 화이트.svg|width=60%&theme=dark]] || ||<#ffffff,#2e2f34> {{{#221d1f,#dddddd '''2012~2023'''}}} ||<#ffffff,#2e2f34> {{{#221d1f,#dddddd '''2023~현재'''}}} || === 전신 === 재규어와 랜드로버는 전혀 다른 차를 만드는 두 개의 독립된 브랜드이지만 같이 묶여 이리 저리 팔리고 다닌 역사가 대부분이다. 두 브랜드의 첫번째 만남은 [[브리티시 모터 홀딩스]][* [[브리티시 모터 코퍼레이션]]의 후신.]와 [[레일랜드 모터스]]가 합병해 만들어진 [[브리티시 레일랜드|브리티시 레일랜드 모터]](British Layland Motor)가 설립되면서인데 당시 브리티쉬 그룹에 소속되어 있던 두 브랜드 산하의 [[로버]][* 이 당시 랜드로버는 브랜드가 아닌 로버에서 파생된 차량 라인업들 중 하나였다.]가 둘의 첫 만남이었다. 하지만 당시 영국병, 거기다가 모회사의 산하 브랜드 무관심 및 경영 실력부족으로 인해 브리티시 레이랜드도 무너졌다. 상황이 나빠지면서 두 회사는 잠시 떨어지게 되는데 이 당시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던 [[BMW]]가 여러 차례 개편 끝에 이름이 [[오스틴 로버 그룹|로버 그룹]]으로 바뀐 BLM을 사들였는데[* 이 때 [[MINI]]도 가져왔다.] 이때 재규어는 BLM이 국영 [[오스틴 로버 그룹]]으로 존속하던 1984년에 영국 정부의 사업 일환으로 인해 매각되어 독자적인 브랜드가 되고, 랜드로버는 1988년을 기점으로 민영화된 로버그룹 산하의 브랜드로써 BMW에게 갔다. 이 때 재규어는 존 에간이라는 사업가에 의해 그 전에 있었던 수리, 물류, 사내개혁 등으로 다시 돈맛을 보고 있던 반면에 로버그룹을 인수한 BMW는 당대에 잘 나갔던 브랜드이긴 하지만 결국은 프리미엄 브랜드였기 때문에 대량생산 위주의 로버 그룹 브랜드들의 수지타산을 따라 잡지 못하며, 결국 로버그룹을 다시 팔게 된다.[* 적자만 본 BMW였지만 그래도 이 때 랜드로버의 기술을 상당부문 습득해 지금까지 X시리즈 등의 훌륭한 [[SUV]]를 만들고 있는 중이다.] 이 때 포드가 [[1989년]]에 재규어를 인수하고 BMW한테 가서 로버 그룹을 사겠다고 제안했으나, 최종적으로 랜드로버만 인수했다.[* 이 때 [[랜드로버]]와 로버라는 두 개의 이름 비슷한 다른 브랜드 때문에 BMW는 랜드로버의 이름은 팔지 않았고, [[포드 모터 컴퍼니|포드]]는 로버 그룹의 후신인 [[MG로버 그룹]]이 파산한 후인 [[2005년]]에야 랜드로버 이름도 갖게 된다.] 그렇게 두 브랜드는 다시 [[포드 모터 컴퍼니|포드]]의 [[프리미어 오토모티브 그룹]]이라는 브랜치 안에서 다시 재회하게 되지만 PAG는 당시 포드 CEO 자크 나쎄르(Jacques Nasser)의 터무니 없는 목표와 야망으로 인해 당시 개발된 재규어 대부분이 포드 부품을 사용하여 [[재규어(자동차)|재규어]]의 탈을 쓴 [[포드 모터 컴퍼니|포드]]라는 오명만 남기고 적자 브랜드로써 [[2007년]] 랜드로버와 묶여 [[타타]]에게 팔리게 된다. === 타타의 인수, 재규어 랜드로버의 탄생 === X-Type의 대실패로 인해 한동안 [[재규어(자동차)|재규어]]는 나락에 빠지고, [[랜드로버]]는 그래도 독보적인 프리미엄 [[SUV]] 브랜드라는 특징으로 겨우 겨우 살아 남고 있었는데 그들을 구한 게 [[타타]]이다. [[2008년]] 인수를 완료한 타타는 [[인도]] [[돈]]을 팍팍 써 가며, 브랜드를 되살리는데 주력하면서 [[재규어 XF]], [[레인지로버 스포츠]] 등 대중성과 디자인을 잘 잡은 차량들을 내놓기 시작하면서 다시 성공가도를 달린다. [[소형차]]와 [[트럭]]만 만드는 [[타타]] 입장으로써 재규어 랜드로버는 [[세계]]로 뻗을 수 있는 진출구이자 기회였기 때문에 엄청난 심혈을 기울이는 건 당연했다. 그렇게 다시 성공 브랜드의 반열에 오르게 된 재규어 랜드로버는 두 브랜드의 전기화, 급작스런 라인업 확장, 자율 주행, 심지어 암호화폐(...)까지 다양한 방면으로 사업확장 및 투자를 하게 되는데 문제는 A/S에 투자를 안 했다는 것이다. 결국 브랜드는 화려해지는데 차량의 질은 그를 따라가지 못하니 대중은 또 외면하기 일쑤였고, [[랜드로버]]는 그래도 그 특징과 고급성 때문에 어느 정도 인기는 있었지만 [[재규어(자동차)|재규어]]는 [[BMW]], [[벤츠]] 등의 경쟁사들에 비하면 터무니 없이 뒤떨어지는 차들로 인해 결국 [[2018년]] 다시 나락으로 추락하고 말았다. 안 그래도 좋지 않았던 딜러 서비스[* [[한국]]에서도 [[2018년]] 말썽을 일으키는 브랜드 중 하나가 랜드로버였다.], 브렉시트의 여파로 인해 비싸진 가격, 떨어지는 품질, 무리한 사업 확장 등의 [[그랜드슬램|복합적 문제]]로 인하여 4억 달러 적자에 놓이게 된다. 그렇다 보니 일각에선 [[PSA 그룹|PSA]]에 매각하려 한다는 루머도 있었다. 재규어 랜드로버는 1억 달러 투자 유치를 위해 이리저리 달리고 있는 중이며, [[타타]]는 절대 재규어 랜드로버를 팔지 않겠다는 입장이나 현재 상황은 암울해 보이기만 한다. 2023년 6월 5일 약칭인 JLR('''J'''aguar '''L'''and '''R'''over)이라는 새 CI를 공개하면서 하우스 오브 브랜드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랜드로버 브랜드 명칭은 그대로 두되, 레인지로버, 디스커버리, 디펜더로 세분화했으며, 모호함을 없애고 각 브랜드 별로 DNA와 정체성에 중점을 뒀다. === 대한민국 법인 === ||<-2><#ffffff,#2e2f34> '''{{{#221d1f,#ddd {{{+1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 [br] '''{{{#221d1f,#ddd Jaguar Land Rover Korea}}}''' || ||<|2> '''기업명''' ||'''정식''':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 주식회사 || ||'''영어''': Jaguar Land Rover Korea || || '''설립일''' ||[[2008년]] [[10월 1일]]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을지로]]5길 26 ([[수하동]], 미레에셋센터원빌딩 동관 13층) || || '''대표자''' ||로빈 콜건 || || '''업종''' ||자동차 수입업 || || '''매출액''' ||3,657억 793만원^^(2022년)^^ || || '''영업이익''' ||100억 4,958만원^^(2022년)^^ || || '''당기순이익''' ||86억 5,250만원^^(2022년)^^ || [clearfix] == 공장 == === [[영국]] === * [[버밍엄]] 캐슬 브롬위치 - [[재규어 XE|XE]], [[재규어 XF|XF]], [[재규어 F-타입|F-타입]]을 생산한다. * [[웨스트미들랜즈]] 솔리헐 - [[재규어 F-페이스|F-페이스]],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벨라|레인지로버 벨라]],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스포츠|레인지로버 스포츠]], [[랜드로버 레인지로버|레인지로버]]를 생산한다. * [[머지사이드]] 헤일우드 -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이보크|레인지로버 이보크]], [[랜드로버 디스커버리 스포츠|디스커버리 스포츠]]를 생산한다. 이전에는 [[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영국자사가 1963년부터 운영했던 현지 공장이었으나, 포드 산하였던 [[프리미어 오토모티브 그룹]]이 재규어 및 랜드로버를 소유하면서 2002년 폐쇄 예정이었던 곳을 [[재규어 X-타입|X-타입]], [[랜드로버 프리랜더|프리랜더]] 2세대를 생산하도록 계획을 바꿔서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 기타 === * [[인도]] 푸네 - 재규어 랜드로버의 차종들을 CKD(부품 반조립 생산)로 생산한다. * [[슬로바키아]] [[니트라]] - 2018년 신설한 현지공장. 솔리헐에서 생산하던 [[랜드로버 디스커버리|디스커버리]]가 이곳으로 옮겨졌으며, [[랜드로버 디펜더|디펜더]] 2세대가 이 곳에서 생산한다. == 계열사 == * [[재규어(자동차 제조사)|재규어]] * [[다임러(자동차 제조사)|다임러]][* 2008년 이후로 휴면 상태] * [[랜드로버]] == 합자회사 == * 체리 재규어 랜드로버 == 여담 == * 재규어 랜드로버 모두 [[이안 칼럼]] 및 게리 맥거번이 주도한 혁신적인 디자인으로 [[세계 올해의 차]]에서 여섯 개의 자동차 디자인 상을 수상했을 정도로 디자인은 호평을 받고 있다. 하지만 품질 면에서는 그렇지 못한 소리를 듣는데 이는 재규어나 랜드로버 문서에 잘 드러나있다. * 자사 [[텔레매틱스]] 서비스인 'InControl' 사용을 위해 지정된 서비스에 가입할 필요없이 사용하고 싶은 [[SIM|SIM 카드]]를 삽입해 사용할 수 있다. 국내에서 구매한 차량을 해외로 가지고 가거나, 해외에서 구매한 차량을 국내로 가지고 올 경우에도 관계 없이 적용된다. 통신사 데이터 쉐어링 [[SIM]]을 사용할 경우 요금은 무료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상당히 경제적이다. 대부분의 [[자동차 회사]]가 특정 통신사랑 계약해 무료 사용 기간이 끝나도 [[SIM]]을 교체 할 수 없고, 요금을 지불하고 사용해야하는데 그렇게 하지 않는 몇 안 되는 브랜드 중 한 곳이다. * 상하이차가 로위라는 브랜드를 런칭한 이유이기도 하다. [[분류:재규어 랜드로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