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장화현]][[분류:대만의 현할시]] [Include(틀:장화현의 행정구역)] ||<-4><#AE1932> {{{#FFF {{{+1 '''장화시'''}}}[br]彰化市 | Changhua City}}} || ||<-4> [[파일:장화시휘장.jpg|width=100%]] || ||<-4><#AE1932> [include(틀:지도,장소=彰化市,너비=100%, 높이=100%)] || ||<-2><#AE1932> {{{#FFF '''면적'''}}} ||<-2> 65.69㎢ || ||<-2><#AE1932> {{{#FFF '''하위 행정구역'''}}} ||<-2> 73리 || ||<-2> {{{#FFF '''시간대'''}}} ||<-2> UTC+8 || ||<-2><#AE1932> {{{#FFF '''인구'''}}} ||<-2> 226,516명 || ||<-2><#AE1932> {{{#FFF '''인구 밀도'''}}} ||<-2> 3,448명/㎢ || ||<-2><#AE1932> {{{#FFF '''시장'''}}} || [[린스셴]] || [include(틀:민주진보당)] || ||<-2><#AE1932> {{{#FFF '''입법위원[br]^^(장화현 제2선거구)^^'''}}} || [[황슈팡]] || [include(틀:민주진보당)] || || [[파일:장화시전경.jpg|width=100%]] || [목차] == 개요 == 장화시는 [[장화현]]의 현할시로 장화현의 현청 소재지이다. 인구는 226,516명으로 장화현은 물론 대만의 현할시 중 가장 인구가 많다. 장화현의 북쪽의 충적평야지대에 위치하며 [[타이중시]]와 접하고 있다. 본래 [[대만일치시기]]에 [[대만총독부]]가 설치한 11개 시 중 하나였으며, 대만 반환 후 행정구역이 중국 본토식으로 개편되는 과정에서 성할시로 개편되었으나 1950년에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과도하게 많은 성할시의 수를 줄이는 과정에서 현할시로 격하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이와 유사한 사례로 [[핑둥현]]의 현청소재지인 핑둥시가 있다.] == 경제 == 1965년 [[포모사 그룹]]의 공장이 자리잡은 이래로 화학제품과 플라스틱 제조업이 시의 주요 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 정치 == 입법위원 선거구는 인근의 향진들과 함께 장화현 제2선거구에 속해 있다. 대만 중부의 도시답게 윗동네 [[타이중시]]와 마찬가지로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의 경합지역으로 대체로 대만 전체의 선택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다만 [[차이잉원]] 정부 이후 [[민주진보당]]의 세가 조금 더 강해진 편으로 최근의 총통선거와 입법위원 선거, 그리고 국민당이 압승했던 2018년 지방공직자 선거에서도 장화시에서는 민주진보당이 근소하게 승리했다. == 교통 == 철도는 [[타이완 철로관리국 종관선]] [[타이중선|산선]]과 해선의 분기점인 [[장화역]]이 있다. 고속도로 [[중산고속공로]]와 [[포모사고속공로]]가 지나가며 두 고속도로가 장화시에서 교차한다. 고속철도 이용시에는 [[장화역(고속철도)]]이 아닌 [[타이중역(고속철도)]]에서 하차해야 하며 신우르역에서 장화역까지 오는 [[구간차]] 열차와 101번 시내버스가 수시로 다니고 있다. 고속철도 장화역은 장화시와는 한참 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장화시내로 오는 시외버스편도 거의 없다. == 교육 == 장화현의 유일한 국립대학인 국립장화사범대학이 시내에 위치해 있다. 대만 중부지역 유일의 사범대학이다. == 스포츠 == 장화현립체육장을 홈구장으로 삼는 포모사드리머스 농구팀이 있었다. 2017년 창단 이래로 장화를 연고로 아세안농구리그(ABL)에 참여하였고, 2020년 이후로는 대만 프로농구 P.LEAGUE+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2021-2022시즌부터는 타이중으로 연고 이전을 하여 현재 장화를 연고로 하는 프로팀은 없다. 대신 2022년 장화현이 운영하는 장화BLL(彰化柏力力) 구단이 창단되어 실업농구리그에 참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