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 * 개통 전 가칭이 장항역이었던 일산선의 역 : [[마두역]] * 2021년에 폐역한 서천군 장항읍의 화물역(구 장항역(~2007), 현재 장항도시탐험역) : [[장항화물역]] || '''{{{#ffffff {{{-1 폐역}}}}}}''' || '''장항''' - --[[장항화물역|[ruby(장항화물, ruby=~2021)]]]-- || ||<-3> {{{+2 {{{#ffffff '''장항역'''}}}}}} || ||<|2> [[용산역|{{{#!html
용산 방면}}}]][[서천역|서 천]][br]← 4.8 ㎞ || [[새마을호|{{{#!html
장항선
새마을호
}}}]] ||<|3> [[익산역|{{{#!html
익산 방면}}}]][[군산역|군 산]][br]7.0 ㎞ → || || [[무궁화호|{{{#!html
장항선
무궁화호
}}}]] || || [[용산역|{{{#!html
용산 방면}}}]][[대천역|대 천]][br]← 36.7 ㎞ || [[서해금빛열차|{{{#!html
G-train}}}]] || ||<-3>[include(틀:지도, 장소=장항역, 너비=100%, 높이=225px)]|| ||<-3> '''{{{#ffffff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Janghang || || [[한자]] ||<-2> 長項 || || [[간체자]] ||<-2> 长项 || || [[가나(문자)|가나]] ||<-2> [ruby(長項, ruby=チャンハン)] || ||<-3> '''{{{#ffffff 주소}}}''' || ||<-3>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장항역길 55 (덕암리) || ||<-3> '''{{{#ffffff 관리역 등급}}}''' || ||<-3> [[보통역]][br]([[대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 ||<-3> '''{{{#ffffff 운영 기관}}}''' || || [[장항선]] ||<-2> [[한국철도공사]] || ||<-3> '''{{{#ffffff 개업일}}}''' || || [[장항선]] ||<-2> 2008년 1월 1일 || || [[새마을호|{{{#ffffff 새마을호}}}]] ||<-2> 1991년 11월 25일[*기준 기존의 장항역이었던 [[장항화물역]] 영업 개시일을 기준으로 한다.]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2> 1984년 1월 1일[*기준] || || [[서해금빛열차|{{{#ffffff G-train}}}]] ||<-2> 2015년 2월 5일 || ||<-3> '''{{{#ffffff 철도거리표}}}''' || || [[천안역|{{{#!html
천안 방면}}}]][[서천역|서 천]][br]← 4.8 ㎞ || '''[[장항선]]'''[br]장 항 || [[익산역|{{{#!html
익산 방면}}}]][[군산역|군 산]][br]7.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항역.jpg|width=100%]]}}}|| || {{{#ffffff '''장항역 전경'''}}} || [[장항선]]의 [[철도역]].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장항역길 55 (덕암리 386)에 위치해 있다. 개업일이 [[2008년]] [[1월 1일]]이다. 기존의 장항역은 신 장항역이 개업하면서 [[장항화물역]]으로 이름이 바뀌어 화물전용역으로 운영하다가 [[2021년]]에 폐역되었다 >'''1930년 개업한 장항선의 옛 종착역''' >장항역은 1930년 11월 보통역으로 서천군 장항읍에서 영업을 개시하였다. 장항이란 역명은 동명의 지명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금강 하류에 돌출한 황금봉의 길목에 위치한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서쪽과 남쪽으로 황해와 금강을 두고 장항선 철길이 있어 수륙교통이 편리한 지역이다. 특히 장항역은 장항선의 종착역으로 오래전부터 물류거점으로 역할하였으며, 현재에도 장항화물선이 분기하는 철도역이다. 2008년 군산-장항 철도 연결로 구 마석리에 신장항역이 들어서면서 옛 장항선은 장항화물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는데, 2019년 과거 물류거점이던 옛 장항역, 장항화물역이 새로운 이름으로 탄생한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 역 이전과 접근성 문제 == 철도 이설로 발생한 [[파크웨이 철도역]]의 대표적 실패 사례 중 하나이다. 구 장항역인 [[장항화물역]]은 장항읍내에 있어서 접근성이 괜찮았다. 하지만 장항-군산 철도연결로 인해 마서면에 신 장항역이 생기면서 접근성이 떨어져서 여객수요가 '''1/3 수준'''으로 떨어졌다. 구 장항역인 [[장항화물역]]은 한 해 승하차량이 약 35만 명이었는데 신 장항역인 이 역은 한 해 승하차량이 약 14만명 수준. 이렇게 된 이유는 장항-군산 철도연결이 [[금강하굿둑]]을 통해서 연결되었기 때문인데, 금강하구둑은 장항과 군산 시내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거기다가 한때 구 장항역인 [[장항화물역]]이 [[장항선]]의 종점이었던 것도 생각해야한다. 장항역-[[익산역]]으로 이어진게 별거 없어보이지만, 이는 기존에 종점이었던 舊 장항역인 [[장항화물역]]의 수요 분산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2급 [[관리역]]에서 3급 [[보통역]]으로 떨어졌고, 관리역은 [[대천역]]이 물려받았다가 이후에 [[홍성역]]이 관리역 2급으로 승격되면서 관리역 자리는 홍성역에게 주어졌다. 그리고 서천읍에 학교가 있는 장항읍 사람들, 혹은 장항읍에 학교가 있는 서천읍 사람들은 장항역을 지나가는 시간일 경우 한탄하는 소리가 절로 나온다.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교통#충청권|장항역의 유래가 된 그 장항읍내로부터 너무나 멀리 떨어졌기 때문.]] 일부러 장항역을 가려고 하지 않는 경우. [[버스]] 기사들도 마찬가지라서 안 다니게 해 달라고 하는 정도. 그렇다고 이 곳에 버스가 많이 다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서천-장항간 농어촌버스의 일부가 경유를 하는데, 장항 방면은 1일 9회, 서천 방면은 1일 8회이다.][* 장항으로 가는 버스의 경우 오후의 익산행/서대전행을 타고 올거라면 새마을호 시간대에 가는게 이득이다. 버스가 많지도 않고 새마을호로 타고 와야 그나마 덜 기다리고 버스를 탈 수 있다. 무궁화호를 타고 이 역에 내렸다면 매우 오래 기다려야하거나, 택시를 타고 이동하거나 해야한다. 그 주변의 상점이라고는 가끔가다 포장마차 하나, 그리고 역내의 스토리웨이 한 곳 뿐이므로 생태원이라도 방문할 것이 아니면 정말 할 짓이 없다. 음식도 늦게 도착했다면 문 다 닫고 판매하지 않는다. 장항역으로 저녁 지나서 갈 때에는 택시비와 배를 든든히 챙겨놓자.] 혹 장항에 볼 일이 있다면 [[서천역]]에서 내려 버스를 갈아타는 것을 추천한다. 서천역도 위치가 바뀌었기 때문에 버스터미널과는 멀어졌으나 체력이 적당하다면 서천터미널까지 걸어다닐만하지만, 장항역에서 읍내 내지는 장항터미널까지 가려면 몸에 부담이 상당한 편이다.[* 택시로 가는 경우 6천원 가량 나오는 거리이다.] 가능하면 열차를 타고 장항을 갈 때는 서천역에서 버스를 타고 터미널에서 내려서 장항행 버스를 타는 것을 권장한다. 그런데, 2014년에 개장한 서천 [[국립생태원]]과의 접근성이 대단히 좋아서[* 장항역 바로 뒤편이다. 걸어서 2~3분 거리. 철길 아래 굴다리 지나면 바로 서문매표소가 나온다. 생태원 내부에서 기차 지나가는 소리가 들릴 정도.] 무료 입장 기간동안 수 만명의 사람들이 [[철도]]를 이용하면서 간만에 사람구경을 했었다. 항간에서는 어차피 [[군산역]]과 접속해야 하니 시내 상권을 포기하고 생태원 관광객 유치를 위해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는 얘기가 나오기도 한다. 실제로 [[서해금빛열차]]는 장항역에는 정차하지만 [[서천역]]에는 정차하지 않는데[* 좀 더 넓게 보면 이 열차는 [[대천역]]을 출발한 뒤 [[판교역(장항선)|판교]]는 커녕 [[새마을호|새마을]]과 [[무궁화호|무궁화]]가 모두 정차하는 [[웅천역|웅천]], [[서천역|서천]]도 통과한 뒤 장항에 정차한다.] 이를 보면 코레일 역시 장항역이 장항읍 주민들에게는 막장이더라도 생태원과 하구둑 등 관광지로 가는 관문으로의 가치는 크다고 판단한 것이다. 크게 정리하면, 기존 장항읍내 근처의 역사 시절에는 수요가 많았으나, 군산과 직결된 탓에 수요가 크게 줄었다가 국립생태원의 개관으로 인해 어느정도 수요가 늘었다고 볼 수 있다. 현 시점에서는 사실상 [[국립생태원]] 전용역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은 형국.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새마을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5288F5; font-size: .9em" {{{#ffffff '''새마을호'''}}}}}}]]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 {{{#ffffff '''총합'''}}} || {{{#ffffff '''비고'''}}} || || 2004년 || 151명 || {{{#f55839 647명}}} || 798명 || || || 2005년 || 168명 || 594명 || 762명 || || || 2006년 || 169명 || 501명 || 670명 || || || 2007년 || {{{#5288f5 424명}}} || 582명 || {{{#red 1,006명}}} || || || 2008년 || 110명 || 272명 || 382명 || || || 2009년 || 101명 || 252명 || 353명 || || || 2010년 || 102명 || 237명 || 339명 || || || 2011년 || 111명 || 218명 || 329명 || || || 2012년 || 105명 || 211명 || 316명 || || || 2013년 || 105명 || 192명 || 297명 || || || 2014년 || 169명 || 306명 || 475명 || || || 2015년 || 142명 || 305명 || 447명 || || || 2016년 || 147명 || 287명 || 434명 || || || 2017년 || 156명 || 283명 || 439명 || || || 2018년 || 143명 || 263명 || 406명 || || || 2019년 || 146명 || 260명 || 406명 || || || 2020년 || 56명 || 110명 || 166명 || || || 2021년 || 62명 || 112명 || 174명 || || ||<-5> {{{#ffffff '''출처'''}}} || ||<-5>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202&key=1421|철도통계연보]] || }}} == 승강장 == ||<-13> ↑ [[서천역|서천]] || || ㅣ || ㅣ || ㅣ || {{{#ffffff 1}}} || {{{#ffffff 2}}} || ㅣ || ㅣ || {{{#ffffff 3}}} || {{{#ffffff 4}}} || ㅣ || ㅣ || ㅣ || ㅣ || ||<-13> ↓ [[군산역|군산]] || || {{{#ffffff 1·2}}} ||<|2> [[장항선]] ||<|2> [[새마을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5288F5; font-size: .9em" {{{#ffffff '''새마을호'''}}}}}}]]·[[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br][[서해금빛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9em" {{{#000066 '''G-train'''}}}}}}]] ||[[대천역|대천]]·[[천안역|천안]]·[[용산역|용산]] 방면 || || {{{#ffffff 3·4}}} ||[[군산역|군산]]·[[대야역|대야]]·[[익산역|익산]] 방면 || == 시간표 == === 상행 === |||||||| [[새마을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288f5; font-size: .9em" {{{#ffffff '''새마을호'''}}}}}}]]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상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05:55 || 무궁화 || 1552 || 용산 || || 06:25 || 새마을 || 1052 || 용산 || || 07:08 || 무궁화 || 1554 || 용산 || || 08:58 || 새마을 || 1054 || 용산 || || 09:28 || 무궁화 || 1556 || 용산 || || 10:13 || 새마을 || 1056 || 용산 || || 12:15 || 무궁화 || 1558 || 용산 || || 13:23 || 무궁화 || 1560 || 용산 || || 14:30 || 새마을 || 1058 || 용산 || || 15:42 || 무궁화 || 1562 || 용산 || || 17:24 || 무궁화 || 1564 || 용산 || || 18:40 || 무궁화 || 1566 || 용산 || || 19:28 || 새마을 || 1060 || 용산 || || 20:39 || 무궁화 || 1568 || 용산 || |||||||| [[서해금빛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be00; font-size: .9em" {{{#ffffff '''서해금빛열차'''}}}}}}]] (상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16:40 || 서해금빛열차 || 2552[*관광 목 ~ 월요일만 운행] || 용산 || === 하행 === |||||||| [[새마을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288f5; font-size: .9em" {{{#ffffff '''새마을호'''}}}}}}]]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하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08:57 || 무궁화 || 1551 || 익산 || || 09:39 || 무궁화 || 1553 || 익산 || || 10:38 || 무궁화 || 1555 || 익산 || || 12:26 || 새마을 || 1051 || 익산 || || 13:49 || 무궁화 || 1557 || 익산 || || 15:28 || 새마을 || 1053 || 익산 || || 16:07 || 무궁화 || 1559 || 익산 || || 16:49 || 새마을 || 1055 || 익산 || || 17:52 || 무궁화 || 1561 || 익산 || || 18:27 || 새마을 || 1057 || 익산 || || 19:41 || 무궁화 || 1563 || 익산 || || 21:04 || 새마을 || 1059 || 익산 || || 21:37 || 무궁화 || 1565 || 익산 || || 00:03 || 무궁화 || 1567 || 익산 || |||||||| [[서해금빛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be00; font-size: .9em" {{{#ffffff '''서해금빛열차'''}}}}}}]] (하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11:33 || 서해금빛열차 || 2551[*관광 목 ~ 월요일만 운행] || 익산 || == 연계 교통 == === [[서천군 농어촌버스]] === || 노선도의 출처는 [[http://naver.me/G1tdjNYW|네이버 지도]]이고, 버스 시간표의 출처는 [[http://www.seocheon.go.kr/tour/sub06_01_04_02.do|서천군 문화관광 사이트]]이다. || ||<-2> {{{#fff 서천군 농어촌버스 노선 목록}}}[br]{{{#fff 2018년 2월 3일 기준}}} || || '''노선''' || '''경유지''' || || [[서천군 농어촌버스/노선#s-2.1.26.2|서천-장항 (장항역 경유)]] ||서천터미널 - 마서면사무소 - 서천한국요양병원 - '''장항역''' - 장항터미널 - 장항화물역 - 신창리 - 신흥아파트|| ||<-6> {{{#fff 서천군 농어촌버스 시간표}}}[br]{{{#fff 2015년 12월 7일 기준}}} || ||<-3> 서천행 ||<-3> 장항행 || || 08:25 || 10:15 || 11:15 || 09:25 || 11:25 || 12:25 || || 12:15 || 13:15 || 14:15 || 14:25 || 15:55 || 16:55 || || 15:15 || 18:15 || || 18:25 || 18:55 || 20:55 || == 지위 == 종착역의 지위를 날려버렸기 때문에 [[2008년]] [[2월 1일]]부로 [[관리역]](2급)에서 [[보통역]](3급)으로 격하되었다. 그리고 [[일산선]] [[정발산역]]은 구 장항역인 [[장항화물역]] 때문에 장항역이 되지 못했다는 [[흑역사]]가 있다. == 기타 == [[일산선]] ([[수도권 전철 3호선]]) [[마두역]]의 가칭이 '''장항역'''이었다. 장항동이 인근에 있기 때문. 그런데 문제는 장항역이 무슨 [[평촌역(경전선)| 경전선 평촌역]]마냥 시골 변두리 간이역도 아니고 '''새마을호도 들어가는 중요 간선의 종착역이자 그 간선 철도 노선명이 유래한 중요역'''인지라... 당시 철도청이 포기한 듯. == 둘러보기 == [include(틀:장항선의 역 목록)] [include(틀:장항화물선의 역 목록)] [[분류:2008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장항선의 철도역]][[분류:장항선 새마을호]][[분류:장항선 무궁화호]][[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서천군의 철도역]][[분류:서해금빛열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