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439B 0%, #1A2842 20%, #1A2842 80%, #1D439B)" {{{#ffffff '''장피에르 파팽의 역임 직책'''}}}}}} || || {{{#!folding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439B 0%, #1A2842 20%, #1A2842 80%, #1D439B)" {{{#ffffff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 ''' }}} }}} || || [[마누엘 아모로스]][br]{{{-1 (1988~1992) }}} || {{{+1 {{{#D4C172 ▶ }}} }}} || '''{{{#ffffff 장피에르 파팽[br]{{{-1 (1992~1993)}}}}}}''' || {{{+1 {{{#D4C172 ▶ }}} }}} || [[에릭 칸토나]][br]{{{-1 (1993~1995)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439B 0%, #1A2842 20%, #1A2842 80%, #1D439B)" {{{#ffffff '''장피에르 파팽의 수상 이력'''}}}}}}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리그 1 #s-10|[[파일:리그 1 심볼.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91C3D; font-size: 0.9em;" [[리그 1 #s-10|{{{#ffffff '''리그 1 득점왕'''}}}]]}}} ||<-3>[[틀:리그 1 득점왕(1980년대)|1987-88]] · [[틀:리그 1 득점왕(1980년대)|1988-89]] · [[틀:리그 1 득점왕(1980년대)|1989-90]] · [[틀:리그 1 득점왕(1990년대)|1990-91]] · [[틀:리그 1 득점왕(1990년대)|1991-92]] || || [[틀:발롱도르(1990년대)|[[파일:발롱도르 트로피.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틀:발롱도르(1990년대)|{{{#c18e33 '''1991 발롱도르'''}}}]]}}} || [[틀:월드 사커 올해의 선수(1990년대)|[[파일:월드사커 로고.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D1C35; font-size: 0.9em" [[틀:월드 사커 올해의 선수(1990년대)|{{{#ffffff '''1991 월드 사커 올해의 선수'''}}}]]}}} || [[옹즈도르|[[파일:옹즈도르.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옹즈도르|{{{#ffd700 '''1991 옹즈도르'''}}}]]}}} || || ---- ||<-3> '''{{{#white 1991 FIFA 올해의 선수}}}''' || || 수상 [br] [[로타어 마테우스]] || 2위 [br] '''장피에르 파팽''' || 3위 [br] [[게리 리네커]] || ||<:><-3><#24a9ff> '''{{{#white 1989 Onze d'Or}}}''' || ||<:><-1><#ffd700> '''Onze d'Or''' ||<:><-1><#d3d3d3> '''Onze d'Argent''' ||<:><-1><#c49c48> '''Onze de Bronze''' || ||<:><-1> {{{#000000 [[마르코 반 바스텐]]}}} ||<:><-1> {{{#000000 [[루드 굴리트]]}}} ||<:><-1> '''{{{#000000 장피에르 파팽}}}''' || ||<:><-3><#24a9ff> '''{{{#white 1990 Onze d'Or}}}''' || ||<:><-1><#ffd700> '''Onze d'Or''' ||<:><-1><#d3d3d3> '''Onze d'Argent''' ||<:><-1><#c49c48> '''Onze de Bronze''' || ||<:><-1> {{{#000000 [[로타어 마테우스]]}}} ||<:><-1> {{{#000000 [[살바토레 스킬라치]]}}} ||<:><-1> '''{{{#000000 장피에르 파팽}}}''' || }}} || ||<-3> {{{+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fff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B'''}}}]]}}} || ||<-3> {{{#bea064 '''Olympique de Marseille B'''}}}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ean-pierre-papin-foot.jpg|width=100%]]}}} || ||<-2> {{{#ffffff,#e5e5e5 '''이름'''}}} || {{{+1 '''장피에르 파팽'''}}}[*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인명을 표기할 때 줄표(-)를 무시한다. 줄표의 앞뒤를 별개의 단어로 보아 띄어 쓰지는 않되, 연음 등은 고려하지 않고 표기한다.][br]'''Jean-Pierre Papin''' || ||<|2><-2> {{{#ffffff,#e5e5e5 '''출생'''}}} ||[[1963년]] [[11월 5일]] ([age(1963-11-05)]세) || ||[[프랑스]] 불로뉴쉬르메르 || ||<-2> {{{#ffffff,#e5e5e5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2> {{{#ffffff,#e5e5e5 '''신체'''}}} ||[[키(신체)|키]] 176cm || ||<-2> {{{#ffffff,#e5e5e5 '''직업'''}}} ||[[축구 선수]] ([[스트라이커(축구)|스트라이커]] / ^^은퇴^^)[br][[축구 감독]] || ||<|2> {{{#ffffff,#e5e5e5 '''소속'''}}} || {{{#ffffff,#e5e5e5 '''선수'''}}} ||INF 비시 (1983~1984 / ^^유스^^) [br] [[발랑시엔 FC]] (1984~1985) [br] [[클뤼프 브뤼허 KV]] (1985~1986) [br]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1986~1992)''' [br] [[AC 밀란]] (1992~1994) [br] [[FC 바이에른 뮌헨]] (1994~1996) [br] [[FC 지롱댕 드 보르도]] (1996~1998) [br] [[EA 갱강]] (1998~1999) [br] JS 생 피에르 (1999~2001) || || {{{#ffffff,#e5e5e5 '''감독'''}}} ||FC 바생 다르카숑 (2004~2006) [br]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RC 스트라스부르]] (2006~2007) [br] [[RC 랑스]] (2007~2008) [br] [[LB 샤토루]] (2009~2010) [br] FC 바생 다르카숑 (2014~2015) [br] 클루브 샤흐트레 풋볼[* [[프랑스]] [[샤르트르]]를 연고로 하는 [[샹피오나 나시오날 2]] 참가 구단] (2020~2022)[br][[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B]] (2023~ ) || ||<-2> {{{#ffffff,#e5e5e5 ''' 국가대표 ''' }}} ||54경기 30골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 / 1986~1995)^^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external/www.sportsignings.com/papin2.jpg]] 프랑스의 [[축구 선수]] 출신 [[축구 감독|감독]].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였다. 약칭은 JPP. 현역 시절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에서 [[리그 1]] 4연패를 이끌면서 1991년 [[발롱도르]]를 수상하는 등 팀의 간판 스타로 활악했다. 특히 구석으로 정확하게 차 넣는 슛과 발리 슛은 그의 전매특허였다. 다만 국가대표팀에서는 1990, 1994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하는 바람에 이렇다 할 족적을 남기지 못한 비운의 선수다.[* 1986 멕시코 월드컵에 출전해서 2골을 넣고 3위를 차지하기는 했지만 3·4위전을 제외한 토너먼트 경기에 모두 결장하는 등 주역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 선수 경력 == === 클럽 === [[파일:external/29d0c512e5518046deaafa474b65092fc2a72e41e944a851819af382f8c308c7.jpg]]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급]]이었던 마르세유 시절. [[파일:external/www.milansverige.se/img-le-onze-de-reve-de-jean-pierre-papin-1317395898_620_400_crop_articles-140303.jpg]] [[AC 밀란]] 시절. 당시 2부 리그에서 뛰던 [[발랑시엔 FC|발랑시엔]]에서 데뷔를 했다. 될놈은 떡잎부터 다르다고, 시작부터 남달랐던 스트라이커로 데뷔 시즌인 84-85 시즌에 33경기 15골을 집어넣으며 자신의 등장을 알렸다. 다음 시즌 벨기에의 [[클뤼프 브뤼허 KV|클뤼프 브뤼허]]로 이적해 31경기 20골을 넣었다. 그러한 활약으로 당시 마르세유 제국을 건국 중이었던 언론 갑부--였다가 훗날 [[승부조작]] 사기꾼이 된-- 구단주 베르나르 타피의 과감한 투자로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에 입성하게 된다. 당시 같이 이적한 선수들이 [[카를하인츠 푀르스터]], [[알랭 지레스]]인데, 카를하인츠 푀르스터는 [[UEFA 유로 1980|유로 1980]] 우승팀인 서독에서만 81경기를 뛴 레전드이자 [[크리스토프 메첼더]]의 우상이고, 알렝 지레스는 [[FC 지롱댕 드 보르도|지롱댕 드 보르도]]에서만 519경기 168골을 넣은 프랑스의 전설적인 선수로, [[1980년대]] 초중반에 [[옹즈 몽디알]]의 유럽 최우수 선수상인 [[옹즈도르]]에서 [[미셸 플라티니]]와 엎치락뒤치락했던 선수다. 이런 가운데 마르세유 입단 이후 무려 5연속 [[리그 1]] 득점왕과 3연속 [[유러피언컵]] 득점왕이라는 말도 안 되는 활약을 펼쳤고, 그 속에서 마르세유는 4시즌 연속 리그 1 우승과 90-91 시즌 유러피언컵 준우승을 달성하는 등 전성기를 달렸다. [[파일:mag award FF 1991 photo.jpg]] 마르세유 시절 1989, 1991년 프랑스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하는 등 여러 상을 수상했는데, 특히 1991년의 경우는 [[발롱도르]]까지 거머쥐며 그의 선수 인생 최고의 시즌으로 자리매김한다. 이후 92-93 시즌, 세계 이적료 기록을 갈아치우는 £10m의 이적료로[* 역사상 최초의 1,000만 파운드 이상의 이적료를 기록한 선수가 파팽이다. 그러나 이 기록은 불과 24일만에 유벤투스가 [[잔루카 비알리]]를 £12m에 영입하며 깨졌다.] [[AC 밀란]]으로 이적하게 된다. 이유는 [[루디 푈러]]의 영입과 챔피언스리그 우승.[* 3시즌 동안 벤피카, 츠르베나 즈베즈다, 스파르타 프라하 등에게 밀려 탈락했다. 특히 츠르베나 즈베즈다에겐 결승전에서 승부차기로 패배] 밀란 이적 첫 시즌에 원하던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 올라갔는데 아이러니 하게도 상대가 마르세유였다. 게다가 결과는 1:0으로 패배. 하지만 다음 시즌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차지함으로서 결국 목표를 달성했다. 챔스 우승 이후 밀란에서 짐을 싸서 [[FC 바이에른 뮌헨|바이에른 뮌헨]]으로 이적하게 된다. 하지만 결과는 2시즌 간 27경기 3골에 그치며 완벽한 먹튀로 전락하게 된다. 그 후 지롱댕 드 보르도로 이적하여 55경기 22골을 넣으며 부활하였고, 98-99 시즌 [[EA 갱강]]으로 이적한 후에 한시즌 뛰다가 레위니옹[* 프랑스령 레위니옹이며 마다가스카르 근처에 있는 섬 맞다.] 프리미어리그 팀인 JS 생 피에르로 이적해서 2년 뛰고 은퇴했다. === 국가대표 === [[파일:papin france.jpg]] 명성에 비해서 굉장히 어두운 국가대표 시절을 보냈다. [[미셸 플라티니]]의 2세대 전성기([[1982 FIFA 월드컵 스페인|1982 스페인 월드컵]] 4위, [[UEFA 유로 1984|유로 1984]] 우승,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1986 멕시코 월드컵]] 3위)[* 참고로 파팽과 같이 영입됐던 [[알랭 지레스]] 역시 2세대 프랑스 국가대표팀의 중심이었다.]와 [[지네딘 지단]]의 3세대 전성기([[1998 FIFA 월드컵 프랑스|1998 프랑스 월드컵]] 우승, [[UEFA 유로 2000|유로 2000]] 우승) 사이에서 전성기를 보낸 것. 물론 파팽이 못한 것은 아니라서 1986 멕시코 월드컵에서 조별 리그 1차전 캐나다전과 3·4위전 벨기에전에서 골을 넣고, [[UEFA 유로 1992|유로 1992]]에서는 조별 리그에서만 2골을 넣는 등 제몫을 다했다. 하지만 1986 멕시코 월드컵에서는 16강-8강-4강 모두 결장하고, 유로 1992에서는 조별 리그 탈락을 해버렸다는게 문제. 특히 파팽의 전성기가 시작됐을 때가 하필이면 '''[[프랑스 축구의 저주받은 세대]]'''로 불리던 시대라 1990, 1994 월드컵에서 모두 예선 탈락을 하는 등 최악의 시기를 보냈다. --그래도 월드컵에 한 번도 못 나온 [[에릭 칸토나|이 아저씨]]에 비하면 양반이다.-- 이런 이유와 더불어 프랑스 리그에 크게 관심이 없는 한국에서는 상대적으로 이름이 덜 알려진 편이다. 하지만, 전 세계적인 명성을 갖고 있던 선수였다. 다만 최근 들어서는 [[피파 온라인 2]]를 통해 많이 알려진 편이다. --침투가 상당히 좋은 편이어서 사용하는 유저들이 많았다.-- == 지도자 경력 == 2004년 6부 리그의 바생을 맡아 2004-05 시즌 5부 승격을 이끌어냈다. 2005-06 시즌 계약이 종료되었다. 2006-07 시즌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의 감독으로 부임해 19승 13무 6패를 기록하며 리그 3위로 팀을 승격시켰다. 2023년 11월 30일,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의 리저브 팀 감독으로 부임했다.[[https://www.om.fr/fr/actualites/4808/club/81411-reorganisation-du-pole-sportif|#]] == 기록 == === 대회 기록 === * [[클뤼프 브뤼허 KV]] (1985~1986) * 벨기에컵: 1985-86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1986~1992) * [[리그 1|디비지옹 1]]: 1988-89, 1989-90, 1990-91, 1991-92 * [[쿠프 드 프랑스]]: 1988-89 * [[AC 밀란]] (1992~1994) * [[세리에 A]]: 1992-93, 1993-94 *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1992, 1993 * [[UEFA 챔피언스 리그]]: 1993-94 * [[FC 바이에른 뮌헨]] (1994~1996) * [[UEFA컵]]: 1995-96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FIFA 월드컵]] 3위: 1986 * [[기린컵]]: 1994 * 프랑스 U-21 축구 국가대표팀 * [[툴롱 토너먼트]]: 1985 === 개인 수상 === * [[발롱도르]]: 1991 * [[FIFA 올해의 선수]] 2위: 1991 * [[월드 사커 올해의 선수]]: 1991 * [[UEFA 챔피언스 리그|유러피언컵]] 득점왕: 1989-90, 1990-91, 1991-92 * [[리그 1|디비지옹 1]] 득점왕: 1987-88, 1988-89, 1989-90, 1990-91, 1991-92 * 벨기에컵 득점왕: 1985-86 * [[쿠프 드 프랑스]] 득점왕: 1988-89, 1990-91, 1991-92 * [[툴롱 토너먼트]] 득점왕: 1985 * [[옹즈도르]]: 1991 * [[옹즈 드 옹즈]]: 1989, 1990, 1991 * 프랑스 올해의 선수: 1989, 1991 * 독일 올해의 골: 1995 * 엘 파이스 유럽 축구의 제왕: 1991 * IFFHS 세계 최고 득점자: 1991 * UNFP 20주년 스페셜팀 트로피: 2011 * [[FIFA 100]]: 2004 * FIFA XI: 1997, 1998, 1999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110년 드림팀: 2010 * 골든풋: 2013 [각주] [[분류:1963년 출생]][[분류:1984년 데뷔]][[분류:2001년 은퇴]][[분류:불로뉴 출신 인물]][[분류:프랑스의 축구선수]][[분류:프랑스의 축구감독]][[분류:공격수]][[분류:발랑시엔 FC/은퇴, 이적]][[분류:클뤼프 브뤼허 KV/은퇴, 이적]][[분류: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은퇴, 이적]][[분류:AC 밀란/은퇴, 이적]][[분류:FC 바이에른 뮌헨/은퇴, 이적]][[분류:FC 지롱댕 드 보르도/은퇴, 이적]][[분류:EA 갱강/은퇴, 이적]][[분류:RC 스트라스부르/역대 감독]][[분류:RC 랑스/역대 감독]][[분류:LB 샤토루/역대 감독]][[분류:프랑스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참가 선수]][[분류:프랑스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1992 참가 선수]][[분류:발롱도르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