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만 육군사령)] ||<-2> '''제3대 중화민국 육군총사령[br]{{{+1 장파쿠이}}}[br]張發奎'''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발규.jpg|width=100%]]}}} || ||<|2> '''출생''' ||[[1896년]] [[7월 25일]] || ||[[청나라]] [[광둥성|광동성]] 시흥현 || ||<|2> '''사망''' ||[[1980년]] [[3월 10일]] || ||[[영국령 홍콩]]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만, 출력=중화민국)] || || '''자''' ||향화(向华) || || '''학력''' ||무창 육군무비학당 || || '''직업''' ||군인, 정치인 || || '''계급''' || || || '''참전''' ||[[국민당의 1차 북벌]][br][[4.12 상하이 쿠데타]][br][[난창 폭동]][br][[장황사변]][br][[광저우 폭동]][br][[중일전쟁]] || [목차] [clearfix] == 개요 == [[군벌/중화민국|중화민국의 군벌]], 반장파에 속했으나 [[중일전쟁]] 중에 [[장제스]]에게 복종하여 항일에 힘썼다. [[국공내전]] 이후 [[영국령 홍콩]]으로 망명했다. == 생애 == === 초기 이력 === 1896년 [[광둥성|광동성]]에서 태어난 [[객가]]인이다. 1912년 황포초급군교를 거쳐 중국 동맹회에 가입했고 무창의 육군무비학당을 졸업했다. 1915년 [[위안스카이]]가 [[홍헌제제]]를 단행하자 [[호국전쟁]]에 가담해 호국군 영장, 단장을 역임했다. 이후 [[중국 국민당]]에 가입, 1922년 [[천중밍]]이 [[영풍함 사건]]을 일으키자 [[쉬충즈]] 휘하에서 천중밍 토벌에 가담했고 1925년 국민정부 설립 이후 리지천 휘하에서 국민혁명군 4군 12사단장을 지내다가 확대개편 과정에서 4군 군장에 임명되었다. === [[국민혁명]]시기 === 1926년 [[국민당의 1차 북벌]]에 나서 4군을 지휘, [[우페이푸]] 군대를 격파했고 탕성즈의 8군과 [[주페이더]]의 3군, [[천밍수]]의 11군과 함께 서로군에 배속되어 전진을 계속했다. 1927년 장제스가 [[4.12 상하이 쿠데타]]를 일으키자 우한 국민정부의 편에서 서서 [[리쭝런]]과 대치했다. 1927년 6월 12일 우한의 중국 국민당 중앙정치위원회 29차 회의에서 탕성즈 부대와 함께 4집단군으로 편성되어 4집단군 2방면군 총사령관에 임명, [[탕성즈]]와 함께 난징 토벌을 시도했으며 7월에 [[청첸]], [[주페이더]]와 함께 [[안후이성|안휘성]]을 침공하여 8월 7일 난창을 점령했다. [[쑨촨팡]]의 공세로 쉬저우를 잃은 장제스는 군사적 권위에 타격을 입고 하야해야 했다. 초기에는 [[국공결렬]]에도 반대하여 [[중국 공산당]]과 긴밀히 연계했으나 곧 분공조치에 따르기로 했는데 중국 공산당은 내부에서는 이를 어느 정도 인지하고도 장파쿠이와 함께 토지개혁을 실시하려고 희망을 버리지 못하고 있었다. 1927년 7월 중국 공산당 임시정치국 상무위원회는 [[리리싼]], [[윈다이잉]], [[담평산]] 등을 파견하여 강서성에서 장파쿠이의 휘하 부대를 이용하여 혁명을 실시하고자 했다. 하지만 장파쿠이는 2방면군에서 공산당원을 제거하는 것을 고려하던 중이었다. 공산당은 1927년 8월 1일, 장파쿠이의 부대가 광저우로 이동하여 난창이 빈 틈을 타 [[난창 폭동]]을 일으켰는데[* 중국 공산당의 공식 주장에 따르면, [[장궈타오]]는 끝까지 장파쿠이의 동의를 얻을 것을 주장.] 국민당 좌파를 포섭하기 위한 차원에서 장파쿠이를 [[쑹칭링]] 등과 함께 국민당 혁명위원회 위원으로 선출했으나 장파쿠이는 전혀 호응하지 않고 [[주페이더]]와 함께 가차없이 진압했다. 이후 리지선과 광동의 대권을 놓고 경쟁하였으나 패배하여 복건성 경계 지역으로 밀려났다. 장파쿠이는 광동에서의 열세를 만회할 겸 1927년 11월 [[리지선]]이 장제스와 합작하기 위해 난징으로 가자 왕징웨이 지지를 통전, 황기상과 함께 휘하의 리지선 군대를 축출하고 [[장황사변]]을 일으켜 반장을 시도했는데 리지선, 황샤오훙의 부대가 오주에 집결하여 장파쿠이를 토벌하고자 했고 천밍수도 여기에 가세했다. 장파쿠이는 먼저 황샤오훙을 물리쳐 기반을 튼튼히 한 다음에 천밍수를 사대하기 위해 조경과 오주 일대로 전진했는데 광저우에 잔류했던 4군 교도단과 경위단, 경찰들 중 [[예젠잉]]이 단장으로 있던 4군 교도단과 주문옹이 지휘하고 있던 노동자 적위대, 4군 경위단 등 6천명의 공산당 계열 부대들이 광동성위원회 서기 [[장타이레이]]의 사주를 받고 폭동을 [[광저우 폭동]]을 일으켰다. 이를 알게 된 장파쿠이는 황급히 황기상의 부대를 불러들여 계엄령을 선포하고 광저우 폭동을 진압했다. 봉기가 실패한 장파쿠이는 하야를 통전하고 [[일본 제국]]으로 망명했고 장파쿠이와 밀접한 관계였던 왕징웨이도 장황사변과 광저우 폭동에 원인을 제공했다는 이유로 비난을 받고 입지가 좁아져서 사직 후 프랑스로 외유를 떠나야 했다. === [[반장전쟁]] === 1929년 [[1차 장계전쟁]]이 일어나자 장제스 지지를 통전, 이 덕택에 4사단장에 임명되어 복직하여 호남성에서 광서군을 소탕한 후 호남에 주둔했다. 하지만 [[1차 장풍전쟁]]에서 농해철도 수비 명령을 받고 이를 거부하며 개조파의 반장 주장에 호응, 9월 17일 3전대회의 불법성과 난징 정부의 부패를 비난하며 반장을 통전하여 [[계계군벌]]의 잔여세력과 합작, [[2차 장계전쟁]]을 일으켰다. 하지만 [[천지탕]]의 공격에 패했고 이에 [[탕성즈]]와 연대하여 [[장당전쟁]]을 일으켰지만 탕성즈와 사이좋게 토벌당했다. 1930년 [[중원대전]]이 일어나자 북평국민정부의 제1로군 지휘관 겸 4군 군장에 임명되어 근성있게 장제스 토벌을 통전하고 [[리한훈]], [[쉐웨]]를 거느려 장제스에 맞섰으나 또 참패했다. 1931년 [[탕산 사건]]을 빌미로 반장파들이 결집하여 광저우 국민정부를 수립하고 [[1차 양광사변]]을 일으키자 또 다시 참가하여 4집단군에 소속되어 [[허젠]]이 수비하는 호남 공략을 맡았다. 이때 [[왕징웨이]]를 광저우 국민정부에 합류시키기도 했다. 하지만 9월 18일에 [[만주사변]]이 일어나면서 난징 국민정부와 광저우 국민정부는 장제스 하야를 조건으로 통합했다. 1932년 1월 [[쑨커]]를 중심으로 하는 새 내각이 들어섰으나 경제위기와 일본의 침략에 대응하지 못하고 한달만에 퇴갤했고 1932년 1월 [[왕징웨이]]를 행정원장으로, [[장제스]]를 군사위원장으로 하는 [[장왕합작]] 내각이 출범하였다. 이후 1936년 [[초공작전]]에 참여하여 절강, 강서, 안휘, 복건의 공산당 토벌을 맡았다. === [[중일전쟁]] === ||[[파일:1938년장발규.jpg]]|| || 1938년의 장파쿠이 ||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고 일본군이 [[제2차 상하이 사변|상하이를 공격하자]] 8월 13일 심야, 8집단군 사령관에 임명되어 일본군에 맞섰고 3전구 우익집단군 총사령관에 임명되어 8,10집단군을 이끌고 상하이 수비를 맡았다. 이후 9전구 2병단 총사령으로 항전에 임하다가 광저우 함락 이후 [[위한머우]]를 대신하여 광저우 수정주임 겸 4전구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유명한 반장파였다는 점에서 장제스에 맞서 일본이 신정권을 수립한다면 사천의 판원화, 운남의 [[룽윈]]과 함께 이에 합류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이 때문에 [[왕징웨이 공작]]에 넘어간 왕징웨이로부터 [[왕징웨이 정권]]에 합류할 것을 권했으나 거절했다.[* 룽윈과 판원화 역시 거절했다. 사실 애초에 왕징웨이 정권에 붙은 군벌이 '''없었다'''. 장제스 하면 이를 갈던 반장파 군벌들도 장제스 제거를 일본 제국 타도보다 우선으로 두는 미친 짓은 안 했다.] 이후 일본군을 상대로 유격전을 적극적으로 실시했으며 [[1939년 동계공세작전]] 직전 일본군의 역습으로 난닝을 잃고 참패를 당해서 4전구 사령관에서 사직하고자 했으나 장제스의 만류로 자리를 유지했다. 이후 1939년 동계공세작전에 참여하여 일본군에 대한 유격전을 시행했다. 이후 6전구 사령관도 겸했으나 1944년 [[대륙타통작전]]이 일어나자 20만의 병력을 이끌고 맞섰으나 제대로 싸우지도 못하고 참패했다. 1945년 5월 26일, 일본군에 대한 반격을 실시하여 난닝을 점령했고 8월에 승전을 맞이하여 광저우에서 화남에 주둔한 일본군의 항복을 받아냈다. 일본군 항복 이후 [[포르투갈령 마카오]]를 무력으로 회수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여 11월부터 12월 사이 군대를 출동하여 마카오를 포위하고 마카오 내부의 소요를 종용했으나 마카오 식민당국이 반포르투갈 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하고 영국을 통해 중재를 요청하자[* 포르투갈 당국은 마카오에서 중국 국민당의 공개 활동을 합법화해주겠다는 유화책을 제시했다.] 마카오 포위를 풀수 밖에 없었다. === [[국공내전]]과 그 이후 === 종전 이후 1946년 광저우 행영주임이 되었으며 광서성에서 베트남 국민당을 지원하여 [[인도차이나 전쟁]]에 개입했다. 1947년 총통부 전략위원회 고문에 임명되었으며 홍콩을 해방시킨 공을 인정받아 영국정부로부터 [[대영제국 훈장]] 1등급을 수여받았다. 1949년 1월 21일 하이난 특별구행정장관에, 1949년 3월 중화민국 육군 총사령관에 임명되었으나 1949년 중화민국이 몰락에 이르자 7월 모든 공직을 사직하고 [[영국령 홍콩]]에 망명하여 그곳에 은거했고 숭정총회명예회장으로 추대되어 객가인들의 회합을 주선했다. 1952년 [[구멍위]], [[장궈타오]] 등 홍콩에 거주하던 저명한 정치가들과 중국자유민주전투동맹을 창설했다.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모두 그에게 서로 합류를 권했으나 어느 쪽에도 응하지 않았다. 1972년 [[쌍십절]] 기념행사에 참여하여 [[장제스]] 및 [[장징궈]]와 회견했으나 전체적으론 중립을 지켰다. 1980년 홍콩 양화의원(養和醫院)에서 병사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역시 객가인이었던 [[예젠잉]]이[* 예젠잉은 국민혁명 시기 장파쿠이의 참모장을 지낸 전력이 있다.], 중화민국에서는 [[장징궈]]가 조의를 표했다. == 매체에서 == [[파일:건군대업장발규.jpg]] 영화 [[건군대업]]에 나온 장파쿠이. 배우 여애뢰(余皚磊)가 분했다. [[카이저라이히]]의 국민당 좌파 팩션에서 육군 3성 원수로 등장한다. == 참고문헌 == === 저서 === * 중화민국과 공산혁명, 신승하, 대명출판사. * 장개석 연구, 배경한, 일조각. * 왕징웨이 연구, 배경한, 일조각. * 마오쩌둥 평전, 알렉산드르 판초프, 스티븐 레빈, 민음사. * 군신정권, 진지양, 고려원. * 다큐멘터리 중국 현대사 2,3권, 서문당 편집실, 서문당. * 중국공산당역사 1권 상,하, 중국중앙공산당사연구실, 서교출판사. * 중일전쟁, 권성욱, 미지북스. * 중일전쟁과 중국의 대일군사전략(1937~1945), 기세찬, 경인문화사. * 중국 인민해방군사, 국방부 국방군사연구소. * 중국근현대사 3권 혁명과 내셔널리즘(1935~1945) * [[http://www.visitbeijing.or.kr/detail.php?number=3903|베이징 관광국 장파쿠이 소개글]] === 논문 === * 광주국민정부의 北伐과 蔣介石의 대응, 김영신, 중국학연구 55권 55호, 중국학연구회. * 蔣介石의 '第1次 下野'와 復職, 김영신, 중국학보 44권, 한국중국학회. * 中央特別委員會의 役割과 活動, 김영신, 동국사학 36권,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唐生智와 武漢國民政府, 나현수, 중국근현대사연구 29권 29호, 중국근현대사학회. == 관련문서 == * [[호국전쟁]] * [[부원지쟁]] * [[장훈복벽]] * [[1차 호법운동]] * [[호법전쟁]] * [[2차 호법운동]] * [[영풍함 사건]] * [[국민당의 1차 동정]] * [[국민당의 2차 동정]] * [[중산함 사건]] * [[국민혁명]] * [[국민당의 1차 북벌]] * [[영왕운동]] * [[난창 군무선후회의]] * [[천도논쟁]] * [[한커우 사건]] * [[난징사건]] * [[4.12 상하이 쿠데타]] * [[마일사변]] * [[국공결렬]] * [[난창 폭동]] * [[영한합작]] * [[추수폭동]] * [[광저우 폭동]] * [[편견회의]] * [[반장전쟁]] * [[호남 사건]] * [[1차 장계전쟁]] * [[1차 장풍전쟁]] * [[중동로 사건]] * [[2차 장계전쟁]] * [[봉소전쟁]] * [[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탕산 사건]] * [[1차 양광사변]] * [[만주사변]] * [[제1차 상하이 사변]] * [[열하사변]] * [[중일전쟁]] * [[제2차 상하이 사변]] * [[1939년 동계공세작전]] * [[대륙타통작전]] * [[국공내전]] [[분류:월계군벌]][[분류:중화민국 육군총사령]][[분류:국민혁명군/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국공내전/군인]][[분류:1896년 출생]][[분류:1980년 사망]][[분류:사오관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