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천주교 춘천교구장)] ---- [include(틀:역대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 ---- ||<-3> '''6대 [[천주교 춘천교구|{{{#000000 천주교 춘천교구}}}]]장'''[br]'''4대 [[천주교 함흥교구|{{{#000000 천주교 함흥교구}}}]]장 서리''' [br] '''{{{+1 장익 [[십자가의 요한|{{{#000000 십자가의 요한}}}]]}}}'''[br] '''張益''' | '''John Chang Yik''' || ||<-3> [[파일:장익 주교.jpg|width=100%]] || ||<|2> '''출생''' ||<-2>[[1933년]] [[11월 20일]] || ||<-2>[[서울특별시]] || || '''사망''' ||<-2>[[2020년]] [[8월 5일]] (향년 87세) || || '''국적'''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3> '''재임기간''' ||[[천주교 춘천교구|춘천교구]]장 || [[1994년]] [[12월 14일]] ~ [[2010년]] [[1월 28일]] || ||[[천주교 함흥교구|함흥교구]]장 서리 ||[[2005년]] [[11월 21일]] ~ [[2010년]] [[1월 28일]] || ||[[천주교 춘천교구|춘천교구]]장 서리 겸 [[천주교 함흥교구|함흥교구]]장 서리 ||[[2010년]] [[1월 28일]] ~ [[2010년]] [[3월 25일]] || ||<-3> [[파일:장익주교문장.jpg|width=100%]] || ||<-3> '''하나 되게 하소서 [br] (Ut Unum Sint)''' [* "이 사람들을 지켜 주십시오. 그리고 아버지와 내가 하나인 것처럼 이 사람들도 하나 되게 하여 주십시오" (요한 17,11).]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 가톨릭]]의 성직자. 본관은 [[인동 장씨|인동]](仁同)[* 상장군 금용(金用)계 황상(凰顙)파 15세. 인동 장씨 32세.], [[세례명]]은 [[십자가의 요한]]이다. == 생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I4dvo38rso)]}}} || || '''장익 십자가의 요한 주교의 생애를 정리한 [[가톨릭평화방송]]의 뉴스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eekly.chosun.com/2147_78_04.jpg|width=100%]]}}} || || '''1940년에 촬영된 사진. [[장면]] 총리의 바로 오른쪽에 있는 사람이 바로 장익 주교이다.''' || [[대한민국 제2공화국|제2공화국]]의 정부 수반이었던 [[장면]] 총리와 어머니 [[경주 김씨]] 김옥윤(金玉允) 사이의 다섯 아들 중 [[3남]]으로 태어나, 1963년 30세의 나이로 [[성품성사|사제서품]]을 받고 [[신부(성직자)|신부]]가 되었다. 이후 [[김수환|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의 비서신부 등을 거쳐 제6대 [[춘천교구]]장 겸 [[함흥교구]]장 서리,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을 역임했다. [[이탈리아]] [[로마]] [[교황청립 그레고리오 대학교]] [[유학]] 중이던 1980년대 초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이 [[한국]]으로의 사목방문을 준비하고 있었고, "1984년 5월 [[서울]]에서 열리는 [[한국 천주교]] 200주년 기념대회 겸 [[김대건 안드레아, 정하상 바오로와 101위 동료 순교자|103위 순교성인]] 시성식 [[미사]]를 [[한국어]]로 집전하고 싶다"는 의사를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이 당시 장익 신부에게 전하자, 교황의 한국어 과외 선생님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그 덕분에 당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비록 인쇄된 문구를 읽는 수준이었지만 방한 기간 중 꽤 또렷한 한국어 실력을 보여주기도 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kado.net/457525_145041_2642.jpg|width=100%]]}}} || || [[파일:천주교 춘천교구.jpg|width=55]] '''[[천주교 춘천교구|천주교 춘천교구장]] 시절''' || 유학 후 서울대교구 사목연구실 실장, 세종로 성당 주임 신부, 가톨릭대학교 교수로 사목하다가 1994년 [[춘천교구]]장 [[주교]]가 되었다. 2005년 [[정진석(추기경)|정진석 니콜라오 대주교]]와 [[강우일|강우일 베드로 주교]]와 함께 차기 [[추기경]] 후보에 오르기도 하였다. 춘천교구장 착좌 15년 후인 2010년 정년이 되자 교황청에 사임청원을 하였고,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이를 받아들임과 동시에 신임 [[춘천교구]]장으로 [[서울대교구]] 보좌주교인 [[김운회(주교)|김운회 루카 주교]]를 임명하였다. 장익 주교는 은퇴 이후 죽을 때까지 줄곧 [[춘천]]의 [[공소(가톨릭)|공소]]에서 생활하였다. 2023년 기준 현재는 [[천주교 춘천교구|천주교 춘천교구장]]에서 은퇴한 [[김운회(주교)|김운회 루카 주교]]가 이곳에서 생활하고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001/2013/04/19/PYH2013041909330001300_P2_59_20130419173236.jpg|width=100%]]}}} || || '''[[장면]] 총리 가옥 복원 기념식''' [* 2013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에 위치한 부친 [[장면]] 총리의 가옥이 복원되었을 당시 [[김영종(1953)|김영종]] [[종로구]]청장과 [[정세균]] [[국회의원]]([[종로구]]), [[박원순]] [[서울시장]] 등과 함께 기념식에 참석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익 사망.jpg|width=100%]]}}} || || '''장익 십자가의 요한 주교 선종 부고''' || 2020년 8월 5일, 향년 87세를 일기로 선종했다. 장 주교는 1년 전 간암 진단을 받고 투병생활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빈소는 [[죽림동 성당|천주교 춘천교구 죽림동 주교좌 성당]]. 입관은 8월 8일 8시 30분, [[죽은 이를 위한 미사#장례 미사|장례 미사]]는 8월 8일 10시 30분, [[죽림동 성당|천주교 춘천교구 죽림동 주교좌 성당]]에서 후임 [[천주교 춘천교구|천주교 춘천교구장]] [[김운회(주교)|김운회 루카 주교]]등 주교단의 참석 아래 엄수되었다. 고별식은 장익 주교의 동창인 前 [[천주교 광주대교구|천주교 광주대교구장]] [[최창무|최창무 안드레아 대주교]]가 주례하였으며, 유해는 춘천 죽림동 성직자 묘지에 안장되었다. [[https://www.instagram.com/p/CDgWVgyJGqc/?igshid=41oap8h6rwk2|#]] [[분류:1933년 출생]][[분류:2010년 은퇴]][[분류:2020년 사망]][[분류:상장군계 인동 장씨]][[분류:천주교 춘천교구장]][[분류:천주교 함흥교구장]][[분류:간암으로 죽은 인물]][[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교황청립 그레고리오 대학교 출신]][[분류:한국의 정치인 자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