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장유 전체를 부르는 명칭 혹은 장유신도시, rd1=장유(지역))] [include(틀:김해시의 읍면동)] [include(틀:김해시의 신도시 및 발전계획)] ||<-2> '''[[김해시|{{{#000000,#dddddd 김해시}}}]]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장유동}}}'''[br]長有洞 | Jangyu-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김해시 장유dong,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남도]] || || '''기초자치단체''' || [[김해시]] || || '''행정표준코드''' || 4825013200 || || '''관할 행정동''' || 장유3동 || || '''면적''' || 3.73㎢ || [목차][clearfix] == 개요 == [[경상남도]] [[김해시]] 남부에 위치한 [[법정동]]. 동쪽으로는 응달동, 서쪽으로는 율하동, 남쪽으로는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강서구]] 지사동, 북쪽으로는 응달동에 접해 있다. '장유'라는 이름을 가지고는 있지만 장유에서 가장 끄트머리에 해당한다. 사실상 '''[[율하2지구]]'''로 90% 이상 설명이 끝나는 곳이므로 해당 링크도 본 문서로 리다이렉트 된다. 조만간 장유1동의 신문동과 같은 장유3동의 응달동, 수가동과 함께 장유4동으로 분리된다는 설이 있다. == 주요 시설 == === 주거 === * 김해 율하 원메이저 [[자이]] / [[힐스테이트]] / [[푸르지오]] - 2018년 12월 입주. * [[GS건설]] / [[현대건설]] [[율하자이힐스테이트]] - 2019년 05월 입주 * 김해율하2 행복주택-2019년 05월 입주 * 시티건설 김해 율하 시티프라디움 - 2019년 11월 입주 * 계룡건설산업 김해 율하 계룡리슈빌 더 스테이 - 2020년 03월 입주 * LH아파트-2020년 03월 입주 == 교통 == === 버스 === ==== 일반 ==== * [[김해 버스 3-1]] * [[김해 버스 21]] * [[김해 버스 22]] * [[김해 버스 23]] ==== 좌석 ==== * [[김해 버스 220]][*A 율하2지구입구 경유] == 학교 == * 김해모산초등학교(2019년 3월 개교)[* 원메이저가 들어선 곳의 마을 이름인 '모산'마을에서 가져온 것. ] * 김해율산초등학교 (2020년 3월 개교) * 김해모산중학교 (2020년 3월 개교) == 기관 == * 율하 119 안전센터 * 율하파출소 == 여담 == * 율하 2지구 아파트 분양 당시 많은 사람들이 율하동 지역인 줄 알았다고 한다. * 율하2지구 도로명을 정할 때 아파트 입주민들은 '''여기가 율하2지구니까 [[율하로]]로 하자'''는 반면 장유 원주민들은 '''원래 여기가 ‘장유’였다. 그러니까 장유는 꼭 들어가야한다'''며 ‘장유율하로’를 주장하였다. 하지만 율하로로 하자는 의견이 우세해 결국 그렇게 정해졌다. * 이름이 '장유'이다 보니 장유신도시 건설 이전에 여기가 장유면의 중심지였다고 알려지기도 했다. 특히 장유동 원주민들이 그렇게 이야기한 게 기사화되다 보니 이것이 사실인 것처럼 알려졌다. 다만 무계동이 장유의 중심지였던 기간도 결코 짧지 않으며, 면사무소라는 개념이 처음 생긴 일제강점기 때부터 무계리가 면소재지였다. 그리고 무계동에 장유전통시장, 장유농협, 장유우체국이 다 있다. 다만 원주민들의 이야기가 담긴 기사에서 장유리에 가장 먼저 사람이 살았으며 옛날에 장유리에 오랫동안 장이 섰다고 하는 것을 보아, 오래 전까지의 역사를 보면 장유동이 무계동보다 더 번화한 곳이었다는 뉘앙스로 말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부군면 통폐합]] 이전에는 무계동은 유하면의 중심지였으며 장유동이 장유면의 중심지였다. [[분류:김해시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