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長安寺 四聖之殿 十六羅漢坐像. [[조선]]시대 1459년([[세조(조선)|세조]] 5)에 제작되어 [[북한]] [[금강산]]의 [[장안사]]에 소장되어 있던 불상. [[북한의 국보]] 제96호였다. == 내용 == * 이 단락의 내용은 [[https://web.archive.org/web/20230316042154/http://luckcrow.egloos.com/2622888|1912년 촬영된 고려말-조선전기 목조각상들 (장안사 사성전 16나한좌상등)]]의 내용을 참조하였습니다. [[1459년]]에 [[세조(조선)|세조]]가 직접 [[금강산]]의 장안사를 중수하고 후원할 때 만들어진 다수의 불상들이다. 세조의 명으로 장안사 내에 사성지전이 만들어질 때 함께 만들어졌다. 600년전에 만들어진 전각과 불상들로 국보로 지정될 정도로 역사적 가치가 매우 큰 한국의 문화재였으나 [[6.25 전쟁]] 당시 폭격을 받아 모조리 소실되었다. 다만 [[일제강점기]]에 이를 찍어놓은 사진들이 상세히 남아있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남한의 불교단체에서 장안사를 복원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http://news.donga.com/3/all/20061120/8375001/1|동아일보 : “남북 힘합쳐 장안사도 복원해야죠” 제정 스님]] == 갤러리 == [[파일:장안사 사성지전.jpg]] [[1459년]] 세조의 명으로 건축된 사성지전의 모습([[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04485&cid=51267&categoryId=51267|출처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04486&cid=51267&categoryId=51267|출처2]]) [[파일:장안사 16나한1.jpg]] [[파일:장안사 16나한2.jpg]] [[1459년]] 만들어진 불상들의 모습([[https://web.archive.org/web/20230316042154/http://luckcrow.egloos.com/2622888|출처]]) == 외부 링크 == * [[https://web.archive.org/web/20230316042154/http://luckcrow.egloos.com/2622888|1912년 촬영된 고려말-조선전기 목조각상들 (장안사 사성전 16나한좌상등)]] * [[http://www.bulkyo21.com/news/articleView.html?idxno=18126|[화보] 사진으로 보는 금강산]] * [[https://web.archive.org/web/20230316042657/http://luckcrow.egloos.com/2507530|사라진 건축 (1) 돌아가는 금강산 장안사의 3층 불전조각 그리고 영국사 대장전지 (1485년 기록)]] * [[https://web.archive.org/web/20230316042844/http://luckcrow.egloos.com/2508014|장안사의 회전 3층 목조집 구조물]] [[분류:조선/건축]][[분류:목조 불상]][[분류:화재로 없어진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