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인 가수, rd1=장승현(가수))] [include(틀:두산 베어스/간략(포수))] ||
'''{{{#fff 장승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ffffff 장승현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두산 2019V6.png|width=auto&height=5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2019년 한국시리즈|{{{#ffffff 2019}}}]]''' || ---- ||
[[파일:asia_probaseball_champion_ship_2017.png|width=auto&height=70]][br]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8c8c8c 은메달}}}''' || || '''[[선동렬호/2017년|{{{#FFFFFF 2017}}}]]''' ||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2번}}}''' || || 황필선[br](2011) || {{{+1 →}}} || '''장승현[br](2013~2015)''' || {{{+1 →}}} || [[최용제]][br](2016)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4번}}}''' || || 이찬기[br](2017) || {{{+1 →}}} || '''장승현[br](2017)''' || {{{+1 →}}} || [[전민재]][br](2018)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2번}}}''' || || [[박유연]][br](2017) || {{{+1 →}}} || '''장승현[br](2018~2019)''' || {{{+1 →}}} || [[정현욱(1999)|정현욱]][br](2020)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22번}}}''' || || [[강동연]][br](2019) || {{{+1 →}}} || '''장승현[br](2020~)''' || {{{+1 →}}} || 현역 || }}} || ---- || '''{{{#FFFFFF A대표팀 참가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선동열호/2017 APBC 엔트리)]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승현2023.png|width=100%]]}}} || ||<-2> '''두산 베어스 No.22''' || ||<-2> '''{{{+2 장승현}}}[br]張勝賢 | Jang Seung-Hyun'''[*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 공식 등록명.] || ||<|2> '''출생''' ||[[1994년]] [[3월 7일]] ([age(1994-03-07)]세)|| ||[[인천광역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인천서림초 - [[동산중학교(인천)|동산중]] - [[제물포고등학교 야구부|제물포고]] || || '''신체''' ||184cm | 86kg | [[B형]]|| || '''포지션''' ||'''[[포수]]'''|| || '''투타''' ||[[우투우타]][* 고교 시절까지는 좌타자였고, 2018년부터 스위치 타자 전향을 시도하기도 했지만 계속 우타자로 출전하고 있다. 2022시즌 종료 후 마무리 캠프와 자체 청백전에서는 좌타 연습을 하면서 다시 스위치 타자로 전향하나 했지만 시즌 초반 성적이 좀처럼 나오지 않자 다시 우타로 돌아왔다..]||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13년/신인드래프트#s-3|2013년 4라운드]] (전체 36번, [[두산 베어스|두산]])|| || '''소속팀''' ||[[두산 베어스]] (2013~)|| || '''병역''' ||[[경찰 야구단]] (2016~2017)|| || '''연봉''' ||6,000만원 (23.1%↓, 2023년)|| || '''등장곡''' ||[[FTISLAND]] - 《좋겠어》 || || '''응원가''' ||[[https://youtu.be/8RLvrj-SgzY|구단 자작곡]][*가사 '''오오오 두산의 장승현~ 오오오 두산의 장승현~ 힘차게 날려라 오 장승현~ 오오오 두산의 장승현~''']|| || '''SNS''' ||[[https://www.instagram.com/jang_s_h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2><^|1>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아버지 [[장광호]], 어머니 || || '''종교''' ||[[천주교]]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두산 베어스]] 소속 [[포수]]. == [[장승현/선수 경력|선수 경력]] == ||<-4>
'''{{{#ffffff 장승현의 선수 경력}}}''' || ||<-4> '''통합 선수 경력 : [[장승현/선수 경력]]''' || ||<-4>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10]] || || [[장승현/선수 경력#s-3.1|'''{{{#ffffff 2013년}}}''']] || [[장승현/선수 경력#s-3.2|'''{{{#ffffff 2014년}}}''']] || [[장승현/선수 경력#s-3.3|'''{{{#ffffff 2015년}}}''']] || [[장승현/선수 경력#s-3.4|'''{{{#FFFFFF 군 복무}}}''']] || || [[장승현/선수 경력#s-3.5|'''{{{#ffffff 2017년}}}''']] || [[장승현/선수 경력#s-3.6|'''{{{#ffffff 2018년}}}''']] || [[장승현/선수 경력#s-3.7|'''{{{#ffffff 2019년}}}''']] || [[장승현/선수 경력#s-3.8|'''{{{#ffffff 2020년}}}''']] || || [[장승현/선수 경력/2021년|'''{{{#ffffff 2021년}}}''']] || [[장승현/선수 경력/2022년|'''{{{#ffffff 2022년}}}''']] || [[장승현/선수 경력/2023년|'''{{{#ffffff 2023년}}}''']] || ||<-4>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svg|width=50]] || ||<-4> [[장승현/선수 경력#s-4.1|'''{{{#ffffff 2017년}}}''']] || ||<-4> [[장승현/선수 경력#s-2|'''{{{#FFFFFF 아마추어 시절}}}''']] || == 플레이 스타일 == 요약하자면 수비적 기본기가 잘 갖춰진 수비형 포수이다. === 수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짱포도루저지.gif|width=100%]]}}} || || '''장승현의 도루저지'''[* 2021년 4월 27일 키움전.] || 수비력은 백업임을 감안하더라도 준수한 편으로 리드, 수비 등에서 골고루 적절하게 안정적인 모습을 비춘다. 아마추어 시절부터 전업 포수로 뛰었고, [[경찰 야구단]]에서도 수비형 포수로 자리매김한 바 있다. 안정적인 포구와 블로킹, 좋은 팝 타임과 강견에 기반한 좋은 도루저지 능력까지 두루두루 갖췄다. 또한 커리어 대부분을 주전급의 실력도 아니고 백업으로 보낸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투수 리드에 있어서 투수를 다독이는 스타일과 안정된 경기 운영을 보여주며, 이 점을 살려서 외국인 투수들이나 [[최승용]], [[김동주(투수)|김동주]] 등 신인 투수들의 전담 포수를 맡기도 한다. 다만 프레이밍 능력은 부족함이 보이는 편. 낮은 쪽 보더라인에 걸치는 공을 안정적으로 포구하기 위해 덮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붙은 별명이 장덮밥. 그러나 덮밥 프레이밍의 경우 24시즌 도입되는 AI심판의 영향으로 프레이밍 지표 자체가 의미가 사라졌기 때문에 장승현 입장에서는 약점이었던 프레이밍 능력이 사라짐으로서 나름 호재가 되었다. 그러나 2022 시즌에는 수비에서도 잦은 블로킹 실수와 덮밥 프레이밍을 노출했다. 때문에 주전 박세혁이 장승현 못지않게 심각한 부진에 빠졌음에도 주전 자리에 도약하는 데 실패하는 원인이 되었다. 2023 시즌 초반에도 수비에서 심각한 리드와 처참한 블로킹+포구 능력으로 인해 제대로 정착하는 데 실패했으나, 후반기 들어서부턴 덮밥 프레이밍을 제외하면 준수한 수비력을 보여주며 2023년 7월 기준 포수 WAR 10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 타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포 잠실런.gif|width=100%]]}}} || || '''장승현의 타격폼'''[* 2021년 6월 5일 SSG전 투런 홈런.] || 타격의 경우에는 아마추어 시절의 기대치에 비해서 많이 아쉽다. 고교 시절에는 나름 거포 유망주로 평가받았지만 프로에 와서는 2군에서도 타격으로는 두각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장승현의 아버지 [[장광호]] 역시 아마추어 시절에는 거포 유망주로 주목받았으나, 프로 입단 이 후 나무배트 적응 실패와 무릎이 빨리 열리는 잘못된 타격폼 때문에 수비형 포수로 전락한 바 있다.] 타석에서 보여주는 덩치에 비해 장타력이 미미하고 볼삼비가 떨어지는 편. 그래도 중요한 상황에서 뚝심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괜찮은 결과를 여럿 만들기도 했다. 일단 2021년 [[박세혁]]의 부상으로 주전 자리를 꿰차게 되었는데, 시간이 지나며 점점 타격 성적이 향상되는 모습을 보여주며 두산 팬들의 기대를 받고 있다. 거포 유망주로 평가받았던 만큼 뜬금 장타력도 몇 번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2022 시즌에는 그동안 받았던 타격 기대치를 모조리 날려먹는 끔찍한 부진에 시달렸고, 나아가 후반기 반등 전까진 [[안승한]]의 등장으로 백업 포수 자리도 잠시 내주기까지 했다. 2023 시즌에는 6월까지는 백업포수임를 감안해도 심각한 타격을 보였지만 7월 연승 기간 동안 타율. 368를 기록하며 팀의 상승세에 기여하며[* 장승현의 7월 활약으로 양의지가 지명타자로 마음 놓고 플레이할 수 있게 됐고 체력도 비축하면서 양의지는 4할을 넘는 타율을 기록하며 엄청난 공격력을 선보였다.] 꽤나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호사다마였는지 후반기 시작 이후부터는 원래 모습으로 귀신같이 돌아와버렸다. 한편 프로입단 초기에는 우투좌타였지만 경찰 야구단에서 우타자로 변경했다. 좌타석에서도 컨택은 괜찮지만 오른손잡이다 보니 아마추어 시절에 비해 장타력이 잘 나오지 않았던 모양. [[정진호(1988)|정진호]]에 의하면 30안타를 치면 30루타가 나온다고 할 정도의 똑딱이였다. 그러다 새로 부임한 [[이승엽]] 감독의 적극적인 지도 아래 2023년 부터 [[스위치 히터]]로 전환하기도 했다.[* 표본은 적지만 마무리 캠프에서 나온 좌타석 타격 모습을 보면 왼손 타석에서도 꽤 준수한 컨택 능력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결국 2023 시즌 좌타석에서 10타수 1안타로 부진하면서 다시 우타자로 돌아왔다. 이제 좌타는 완전히 포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477&aid=0000425335|#]] 좌타를 포기하자마자 며칠 지나지도 않아 우타석에서 연이틀 홈런을 쏘아올리는 활약을 펼치면서, 지금까지 좌타석이 일종의 [[가불기]]가 아니었나 하는 반응도 있을 정도. === 주루 === 주루는 포수라는 포지션을 고려하고 보면 [[똥차(야구)|똥차]] 수준으로 느리진 않지만 어째 [[송성문]], [[김민성]]처럼 큰 체구가 아님에도 생각보다 빠르지 않다. 단독 도루는 거의 불가한 수준.[* 동료였던 [[박세혁]]이나 현재 백업 포수 경쟁을 하고 있는 [[안승한]]은 포수치고 유난히 발이 빠른 편이라 대비가 된다.] === 결론 === 좋은 기본기를 밸런스있게 보유하고 있는 포수이지만, 소속팀이 포수 왕국으로 유명한 두산임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기량이 발전되지 않았고, 그 기본기가 아주 작은 육각형 상태에 그친 채 성장이 멈춰 기대 이상으로 도약하지 못한 선수다. 사실 2021년 전반기에 박세혁이 이탈하자 공수에서의 발전된 기량으로 주전 포수 자리를 꿰찬 모습 등 분명히 주전 자리까지 갈 수 있는 기회는 충분히 많았으나 그 기회를 제대로 살리지 못했다. 프로입단 동기인 [[김준태(야구선수)|김준태]], [[한승택]], [[이홍구]] 등과 마찬가지로 한 팀의 주전 포수를 차지하기엔 전체적인 툴이나 기량이 모자란 선수지만 백업 포수로 딱 적당한 수준. [[양의지]]가 주전 포수 자리를 차지한 이후 백업 포수 자리가 무주공산이 되어버린 두산에서 1순위 백업포수로 자주 얼굴을 비추고 있다. == 여담 == * [[파일:장승현장광호.jpg|width=100%]] 아버지인 [[장광호]]에 이어 부자가 프로에서 포수 포지션을 맡고 있다. 장광호 씨는 [[김동기(야구)|김동기]], [[박경완]]에 밀려 백업이었긴 하지만, 인천 연고팀인 [[태평양 돌핀스]]와 [[현대 유니콘스]]에서 활약한 프랜차이즈 포수였다. 또한 장승현은 장광호에게 30대 중반까지 선수 생활을 할 수 있었던 은인과 같은 존재다. 장광호는 1993시즌 종료 후 현역 일반병으로 입대하면서 선수 생활이 끝날 위기를 맞았는데[* 1993년 당시에는 프로 선수의 상무 입대가 불가능했다.] 장승현이 태어나면서 집안의 생계 유지 곤란 사유로 [[의가사 제대]]를 해 복귀할 수 있었다. * [[2019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해 우승반지를 얻어 KBO에서 세번째로 부자 한국시리즈 우승멤버가 됐다. * 가장 흔히 불리는 별명은 [[양의지]]를 닮은 외모때문에 붙은 '''경자 2호기''', '''짭경자'''. 더불어 장승현의 성을 딴 "장"과 포수의 "포"를 따 '''장포''', 짱포라는 별명도 생겼는데, 과거 [[홍성흔]]의 별명중 하나였던 '홍포'를 계승한 것이다.[* 비슷한 사례가 2020 시즌까지 두산에 있던 [[이흥련]]으로, 이쪽은 중간글자 '흥'을 따서 '흥포'였다.] * 경기에 나설때마다 항상 헤어밴드를 쓰고 다녀서 [[양의지]]는 [[차무혁|소지섭]]이라고 부르는 듯 하다. * 아마추어 시절에는 한동안 [[스위치 히터]]였고 프로 입성 이후에도 비교적 흔치 않은 [[우투좌타]] 포수였다. 하지만 경찰 야구단 입대 이후 우타자로 전향했다. 전역 후 2018 시즌 초반 [[스위치 히터]] 전향을 노리기도 했지만, 결국 우타자로 정착하여 현재까지 뛰는 중이다. * 두산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면 꼬박꼬박 엔트리에 등록은 되지만 정작 포스트시즌 경기에 나선 적은 한번도 없다. [[양의지]]가 있던 때는 기용 가능성이 거의 없는 써드 포수 역할로나 등록되었고, 양의지의 이적으로 [[박세혁]]이 주전이 된 뒤에도 경험이나 기량 격차 때문에 장승현은 거의 기용되지 않는 편. 어찌됐든 선수 개인적으로는 출장 없이도 포스트시즌 경험을 두둑하게 쌓아가는 중이다. * 2021 시즌에 첫 홈런을 치면 [[박건우(1990)|박건우]]가 '''100만원'''을 장승현에게 주는 내기를 했다고 한다. 그리고 2021년 5월 8일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KIA전에서 3점홈런을 쳤다]]. * 다른 프로 선수들에 비해 독기가 없고 순한 편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주전 선수가 빠진 가운데 결승타를 기록하고도 주전 선수의 빈자리를 돌아올 때까지 잘 채우겠다는 식으로 무난한 인터뷰를 하는 편이다. 이에 대해 [[김태형(1967)|김태형]] 감독은 프로라면 빈자리를 채우겠다고 하지 말고 자리를 차지할 각오를 하라고 아쉬움을 드러기도 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109&aid=0004703795|#]] * 2023년 7월 7~9일 '렛두로 시리즈'에서 사용한 등장곡은 [[BIGBANG|빅뱅]], [[2NE1]]의 '롤리팝'이다. * 2021~2023 시즌 포수 도루저지율 '''36.8%'''을 기록, 도루저지율 분야 2위에 있다.[* 1위는 팀 선배 양의지의 44.2%]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두산 베어스/선수단]] * [[장광호]] [각주] [[분류:장승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