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삼국지연의의 가공인물, rd1=장무(삼국지연의), other2=전량의 인물, rd2=장무(전량), other3=백제의 인물, rd3=장무)] 張茂 생몰년도 미상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대]] [[중국]]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위(삼국시대)|조위]]의 인물이며 자는 언림(彥林)으로 예주 패국 패현 사람. == 생애 == 태자사인을 지내다가 237년에 [[조예]]가 궁전을 호화롭게 꾸미고 사치를 하는 것으로 낙양궁을 크게 고치고 소양전, 태극전을 만들면서 총장관을 지었고, 백성들은 이 노역을 하느라 농사를 짓기를 놓쳤으며, 여러 신하들이 상소를 했다. 장무를 비롯해 동심, [[양부(삼국지)|양부]], [[고당륭]], [[위기(조위)|위기]] 등이 조예에게 간했다. 장무는 상소에서 군대를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부세가 감당이 안되는데 궁에 들이지도 않고 기록되지도 않은 여자를 왜 가지냐면서 황후의 거처인 초방의 모후들에게도 제멋대로 상을 내려주고 안팎으로 바꿔가며 이끌어주니 그 비용이 군비의 절반이나 된다면서 한고조가 곤명지를 만들고 삼신산, 점대를 만들었지만 그 때는 천하가 하나라 다툴 세력이 없었고 지금은 조위를 위협할 세력이 있다면서 요나 순처럼 절약하는 것이 아닌 한고조와 같은 사치스러운 일을 하니 그러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했지만 조예는 이 말을 듣지 않았다. == 기타 창작물 == 소설 삼국지 유지경성에서는 조예가 관중을 복구하는 일에 힘쓰다가 향락에 빠져 궁중에서 일하는 사람을 모두 여자로 바꾸자 장무는 죽을 각오로 쓴 소리를 하기로 마음먹었으며, [[사마의]]가 뒷배를 봐줄 테니 마음놓고 지르라고 하자 반문했다. 장무는 주의 부세가 궁에 머무는 후궁에게 들어가는 비용이 군사를 유지하는 비용의 절반에 달하는 것, 수렵을 위해 장안에 사슴을 풀었지만, 천자의 수습을 함부로 죽일 수 없어 그 사슴으로 백성들의 식량이 피해를 입어 수확을 포기한 것, 병사의 가족이 굶고 백성들이 치료하지 못하면서 갑옷과 병기가 녹슬었는데도 불구하고 황제는 놀 궁리만 하는 것, 황제의 건축을 위해 대신들이 사재까지 터는 것 등을 간언했다. 이로 인해 조예가 폭발 직전이 되었지만 사마의가 나서서 한나라와의 전쟁으로 이목을 돌리는 식의 간언을 하고 양부도 이를 같이 하자 장무의 상소는 받아들여졌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장무, version=38, paragraph=2)] [[분류:조위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