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각본 및 시나리오의 용어 장면, rd1=각본/용어)]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부통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67f 0%, #005ba6 20%, #005ba6 80%, #00467f)" {{{#ffc224 '''장면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 [include(틀:민주당(1955년) 대표)] ---- [include(틀:주 미합중국 특명전권대사)]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특별시}}}]] [[종로구|{{{#cfa547 종로구 을}}}]])'''}}} || || [[대한민국 국회]] 출범 || → || 초대[br]'''장면'''[* 주미대사 임명으로 사퇴.] || → || 초대[br][[이인]][* 보궐선거 당선] || ---- {{{#!wiki style="margin-top: -20px"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특별시}}}]] [[용산구|{{{#cfa547 용산구 갑}}}]])'''}}} || || 제4대[br][[엄상섭]] || → || 제5대 민의원[br]'''장면''' || → || 제6대[br][[서민호]][* 한일기본조약에 반대하며 의원직 사퇴] || }}} ---- [include(틀: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67f 0%, #005ba6 20%, #005ba6 80%, #00467f)" '''[[대한민국 부통령|{{{#ffc224 대한민국 제4대 부통령}}}]][br]{{{+1 장면}}}[br]張勉 | Chang My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장면 전 국무총리.jpg|width=100%]]}}} || ||<|2> '''출생''' ||[[1899년]] [[8월 28일]]|| ||[[한성부]] 서서 적선방 사온동계 사온동[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적선동]])[* 단, 어릴 때 인천으로 이주해서 살았기에, 실질적 고향은 [[경기도]] [[인천광역시|인천부]](現 [[인천광역시]])였다.]|| ||<|2> '''사망''' ||[[1966년]] [[6월 4일]] (향년 66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서울)|명륜동1가]] 36-5[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로5길 49)|| || '''묘역'''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이동교리 산14-1 일대[br](천주교 [[혜화동 성당]] 포천묘원)|| ||<|6> '''재임기간''' ||제2대 국무총리|| ||[[1950년]] [[11월 23일]] ~ [[1952년]] [[4월 23일]]|| ||제4대 부통령|| ||[[1956년]] [[8월 15일]] ~ [[1960년]] [[4월 23일]]|| ||제7대 국무총리 (내각제 총리)[* 당시의 총리직은 현재와 차이가 있다. 제2공화국은 영국식 의회 제도를 가져온 [[의원내각제]]였기 때문에 [[국무총리]]가 실권을 갖춘 [[정부수반]]이었고 [[윤보선]] 대통령은 [[상징적 국가원수]]가 된다.]|| ||[[1960년]] [[8월 19일]] ~ [[1961년]] [[5월 18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인동 장씨]] 상장군계[* 황상(凰顙)파 14세. 인동 장씨 31세.] || || '''부모''' ||아버지 장기빈, 어머니 황루시아 || || '''형제자매''' ||남동생 [[장발(1901)|장발]], 장극 [br]여동생 장정혜, 장정온, 장정량 || || '''배우자''' ||김옥윤 || || '''자녀''' ||아들 장영, 장진, 장건, [[장익(주교)|장익]], 장순, 장흥[br]딸 장명숙, 장의숙, 장명자 || || '''학력''' ||[[인천박문초등학교|인천 박문학교]] {{{-2 (수료)}}}[br]인천심상소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학부/농업생명과학대학|수원농림전문학교]] {{{-2 (졸업)}}}[br]맨해튼 가톨릭대학교 {{{-2 (영문학·교육학 / [[학사]])}}}[br]맨해튼 가톨릭대학교 {{{-2 (교육학 / [[석사]])}}}[br]맨해튼 가톨릭대학교 {{{-2 (법학 / [[박사]])}}}[br][[포덤 대학교]] {{{-2 (법학 / 명예박사)}}}[br][[시튼홀 대학교]] {{{-2 (법학 / 명예박사)}}} || || '''종교''' ||[[천주교]] {{{-2 ([[세례명]]: [[세례자 요한]])}}}[* 장면의 대자가 바로 [[김대중]]이다.] || || '''신체''' ||178cm[* [[파일:53FYTZYC25QJDIIDHOY7AYAXA4.jpg|width=150]] 이 사진을 보면 169cm였던 윤보선보다 상당히 더 큰 키를 추측할 수 있다. 당시 한국인으로선 키가 엄청 크다.] || || '''최종 당적''' ||[include(틀:민주당(1963년) )] || || '''의원 선수''' ||'''2''' || || '''의원 대수''' ||[[제헌 국회의원|'''1''']], [[제5대 국회의원|'''5(민)''']] || || '''자''' ||지태(志兌) || || '''호''' ||운석(雲石) || || '''상훈'''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2 (1998년 추서)}}}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교육자, 외교관 출신 정치인. 정계 진출 전에는 [[미국]]에서 수학한 [[가톨릭]] 교육자로서 [[동성고등학교]], [[계성초등학교(서울)|계성국민학교]] 등 가톨릭계 명문 학교들의 교장을 지냈으며, [[김수환]] [[추기경]]의 고교 시절 은사로도 유명하다. 정부수립 전 [[남조선과도입법의원]] 등을 역임한 뒤 [[제헌국회]]의원으로 당선되며 대한민국 정계에 데뷔하였다. 초대 [[주미대사]]로서 [[북한]]에 앞서 세계 각국으로부터 발빠르게 신생 [[대한민국 정부]] 승인을 얻어내었고, [[6.25 전쟁]]이 발발하자 [[유엔군사령부|유엔군]] 참전을 이끌어내어 전쟁의 향방을 바꾸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이후 제2대 국무총리, 제4대 [[대한민국 부통령]]을 역임했다. 헌정 사상 두 번째이자 마지막이었던 [[의원내각제]] 하에 제7대 [[국무총리]]를 지냈는데, 이때 '''정부수반으로서 이끌었던 [[장면 내각]]'''은 사실상 '[[대한민국 제2공화국]] 정부'와 동의어로 여겨진다.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인해 총리직에서 강제로 사임하였다. == 약력 == * 1908.8. 사립 [[박문초등학교|박문학교]] 입학 * 1910. 사립 박문학교 졸업 및 박문학교 고등과 진학 * 1912. 박문학교 고등과 졸업 * 1912.3. 인천공립심상소학교 6학년 편입학 * 1913.4. 인천공립심상소학교 고등과 진학 * 1914.3. 인천공립심상소학교 고등과 1년 수료 * 1914.4.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수원고등농림학교]] 진학 * 1917.3. 수원고등농림학교 졸업 * 1917.9. 경성 YMCA 영어학교 진학 * 1918.4. [[용산예수성심신학교]] 강사 * 1920.3. 경성 YMCA 영어학교 졸업 * 1925.6. 맨해튼 가톨릭대학교 영문학과 졸업. (부전공 교육학) * 1928. 평양 천주교회청년회장 * 1931.4. 동성상업고등학교[* 현 [[동성중학교(서울)|동성중학교]], [[동성고등학교]]] 교사 * 1933.6. 가톨릭 청년보 편찬위원 * 1936.11. 동성상업고등학교 교장 * 1936.11. [[계성초등학교(서울)]] 교장 취임 * 1937.4. 경성 혜화유치원 원장 * 1938.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간사 * 1939.4. 제3대 경성 [[계성초등학교(서울)|계성국민학교]] 교장 * 1939.9. 천주교청년회연합회 회장 * 1944.8. 제5대 경성 계성국민학교 교장 * 1946.2. 비상국민회의 최고정무위원,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 의원 * 1946.12.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선출 * 1947.3. 조선적십자사 고문 * 1947.11. 중앙선거위원회 위원 * 1948.5. [[제헌 국회의원]] (서울 종로 을, 무소속) * 1948.12. 제3차 유엔총회 대표단 대표, [[교황청]] 파견 대통령 특사 * 1948.12. 초대 [[주미대사|주미특명전권대사]] (1948.12.27. ~ 1951.2.) * 1950.4. [[호주]]·[[뉴질랜드]]·[[필리핀]] 파견 대통령 특사 * 1950.11. 제2대 국무총리 (1950.11.23. ~ 1952.4.23.) * 1954.5. [[제3대 국회의원 선거|제3대 민의원]] 후보로 출마 (서울 종로, 낙선) * 1956.8. 제4대 [[부통령]] (1956.8.15. ~ 1960.4.25.) * 1960.7. [[제5대 국회의원 선거|제5대 민의원]] 의원 (서울 종로 을, 민주당) * 1960.8. '''제7대 [[국무총리]] (1960.8.19. ~ 1961.5.18., 정부 수반)''' * 1962.8. [[이주당 사건]] 배후로 지목되어 투옥 * 1966.6. 사망, [[국민장]] 거행 == 생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장면/일생)] === [[장면 내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장면 내각)] == 기타 == * 일제강점기 당시 사용한 창씨명은 타마오카 츠토무(玉岡勉)이다. * 후일 장면은 1966년 [[주님 부활 대축일|부활절]] 아침 [[명동성모병원]]에서 같이 입원해있는 대학생 [[정대철]]에게 자신이 38시간 동안 [[가르멜회|가르멜 봉쇄수녀원]]에 가만히 있었던 이유를 "[[박정희]] 뒤에 [[최경록]] 장군이 있고 자네 부친 [[정일형]] 박사가 있었던 걸 알았네. 그래서 무척 당황했고 나가봐야 소용없겠다는 생각도 들고."라고 설명했다.[* <대한민국의 대통령> 강준식 100p] * 일설에는 장면의 수행원 중 하나가 필사적으로 장면을 찾다가 [[5.16 군사정변|쿠데타]] 당일 밤에 장면을 차에 태우고 도망쳤던 운전수를 만났는데 그 사람이 수행원의 애타는 질문에도 끝까지 장면이 있는 곳을 모른다고 잡아떼는 바람에 끝내 만날 수 없었다고 한다. 수행원들이 박정희 편에 매수되었거나 협박당해서 장면을 잡으려고 찾으러 다니는 것일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대통령이나 총리의 운전수 및 기타 노동 등을 하는 사람은 보안을 중요시할 수밖에 없다. *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 평생을 살았다. 아호는 운석(雲石)이고[* 호가 태암(太巖)이었던 아버지 장기빈은 아들들에게 운석, 우석(雨石), 하석(霞石)이라고 호를 지어줬다 한다. 큰 바위의 아이들이니 돌 석 자를 붙인 것이다.], 자는 지태(志兌), [[세례명]]은 요한(John)이다. 가족으로 동생인 서양[[화가]] [[장발(1901)|장발]](張勃,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초대 학장, 2001년 선종)과 장극(張剋, 항공공학자, 전 [[인천대학교]] 석좌교수, 2008년 선종), 아들인 장진(張眞, 전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2011년 선종), 장건(張建), [[장익(주교)|장익]] 주교([[십자가의 요한]], 전 [[천주교 춘천교구]]장, 2020년 선종), 장순(張舜), 장흥(張興) 등이 있다. * [[장기려]] 박사와 인연이 있는 여동생 장정온 악네다 수녀원장은 한국전쟁 당시 덕원수도원 소속으로 피랍되었다가 피살되어 평양에서 선종했다. 허리수술을 한지 얼마되지 않아 거동이 불편해 피신하지 못했으며 일설에 의하면, 우물 속에 생매장 된것으로 구전된다. 이 일은 장면 개인에게 가장 큰 아픔 이기도 했으며 악네다 수녀는 2022년 현재 하느님의 종 홍용호 프란치스코 보르지아 주교와 동료 80위 명단에 포함되어 시복시성이 교황청에서 진행 중이다. * 영문 통용명으로 이름이 존 M. 장(John. M. Chang)이다. [[천주교]] 세례명이 '요한'이어서 이름에 요한을 영어로 읽은 'John'이 붙었고 M은 면(Myon)의 약자다. [[http://publications.americanalpineclub.org/articles/12196346100/print|미국 국무부 당국자 아서 B. 에먼스 3세 씨가 암에 걸려 별세했다는 내용의 졸기(卒記)]]와 [[http://www.trumanlibrary.org/whistlestop/study_collections/achesonmemos/view.php?documentid=67-6_11&documentYear=1950&documentVersion=both|트루먼 기념도서관이 소장한 문서 원문을 통해 사실 여부를 확인해보면]] 주미한국대사 장면의 이름이 선명하게 보인다. * 일설에 의하면, [[초등학생|소학생]] 시절 자신의 어린 시절 별명이 "[[짜장면]]"이었다는 [[아재개그]]를 선보인 적이 있다고 한다. 다만 당시 짜장면은 서방 원조로 [[밀가루]]가 흔해지기 전 나름 고급 음식이라서 사람들이 잘 몰랐다는 얘기도 있다. * [[최규하]]와 친척인 최서면과 알고 지냈다. 당시에는 그의 정체를 몰랐지만. * 그가 살았던 가옥은 [[서울특별시]] [[혜화동]]에 복원되어 있다. [[대학로(서울)|대학로]] 로터리를 지나는 [[버스]]에서 이 근처 정류장에 도착하면 '장면 총리 가옥'이라는 안내도 함께 내보낸다. * [[가톨릭]]에 대한 [[개신교]]의 오해를 반박하는 호교서 <[[교부들의 신앙]]>을 번역했다. 본인의 말로는 [[수원시|수원]]농림학교에 다닐 때 개신교인의 근거 없는 조소에 한마디도 반박 못한 것 때문에 한이 맺혀서 [[미국]] 유학 때 번역했다고 한다. * [[일제강점기]] 당시 [[가톨릭]] 교육자로 활동한 행적이 있으며 2009년 편찬된 [[친일인명사전]]에 가톨릭 분야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등재된 오점이 있다. [[외교관]]으로서 초대 주미대사를 지내며 서방 국가들이 [[대한민국 정부]]를 조속히 승인하도록 기여하였고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유엔군사령부|유엔군]]의 신속한 참전 결정을 이끌어 내는데 공을 세웠다. [[자유민주주의]]와 [[반공주의]]를 지향하였고 친미적인 인물이었던 덕분에 특히 중도 [[우파]] 진영에서도 개인적으로는 뛰어난 능력을 가진 인물이었고 세련된 신사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지만 정치적인 결단력이 부족하다는 평을 종종 듣는다. [[김대중]]의 정치적 은사이기도 했다. * 1960년 [[4.19 혁명]] 이후 [[한국]] 헌정 사상 최초로 실시된 [[의원내각제]] 하의 2번째 행정수반 국무총리로 [[대한민국 제2공화국|제2공화국]] 내각의 실권을 가진 집권자였다. 그 이전에도 초대 [[주미대사]], 제2대 및 제7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제4대 [[부통령]]을 지내는 등 요직을 지냈다. 의원내각제 총리 재임 시절 성실성을 바탕으로 여러 사회, 경제 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하였지만 윤보선과 갈등하는 등 집권층 내부의 분열로 인해 리더십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며 급속한 지지기반의 상실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사회가 어수선해지며 집권한지 1년도 안되어 [[5.16 군사정변]]으로 실각하고 만다. * 1998년 '건국공로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다만 친일 논란에 대한민국장이 건국훈장 중에서도 제일인 1등급이라서 이를 두고 그에게 정치적으로 영향을 받은 [[김대중]] 당시 대통령의 의중이 포함된 것이 아니냐는 얘기도 있었다. == 대중매체에서 == * 1968년 제작한 영화 <[[잘 돼 갑니다]]>에서는 배우 정민[* 1923년생. 본명은 정동민.]이 연기했다. * 1981년 [[MBC]] 드라마 <[[제1공화국(드라마)|제1공화국]]>에서는 배우 [[한인수]]가 연기했다. * 1989년 [[MBC]] 드라마 <[[제2공화국(드라마)|제2공화국]]>에서는 배우 [[김무생]]이 연기했다. 첫 회에서 [[쿠데타]]군에게 쫓기는 장면이 있다. * 1993년 [[MBC]] 드라마 <[[제3공화국(드라마)|제3공화국]]>에서도 배우 [[김무생]]이 연기했다. 우유부단과는 거리가 먼 [[이미지]]이지만 [[가르멜회|가르멜 봉쇄수녀원]]으로 자신을 찾아온 [[장도영]]에게 "[[가룟 유다]]만도 못한 놈"이라고 호통치고 나서 바로 사과하는 장면은 진짜 명장면. * 1989년 [[KBS]] 미니시리즈 <[[무풍지대(드라마)|무풍지대]]>에서는 배우 [[신구]]가 연기했다. * 1994년 [[KBS1]] <다큐멘터리극장>에서는 배우 [[양영준]]이 연기했다. * 1998년 SBS 정치 대하드라마 <[[삼김시대(드라마)|삼김시대]]>에서는 배우 [[민욱]]이 연기했다. * 2003년 [[SBS]] 대하드라마 <[[야인시대]]>에서는 배우 [[신국]]이 연기했다. * 2004년 MBC 특별기획 드라마 <영웅시대>에서는 배우 [[최명수]]가 연기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c224 '''연도'''}}} || {{{#ffc224 '''선거 종류'''}}} ||<-2> {{{#ffc224 '''선거구'''}}} || {{{#ffc224 '''소속 정당'''}}} || {{{#ffc224 '''득표수 (득표율)'''}}} || {{{#ffc224 '''당선 여부'''}}} || {{{#ffc224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 [[서울]] || 제3선거구[* [[종로구 을|종로을구]]] || [include(틀:무소속)] || '''23,188 (57.05%)''' ||<|2> '''당선 (1위)''' || '''초선'''[* 1948.12.20: 의원직 사퇴 (주미대사 임명)] || || 1956 || [[제3대 대통령 선거|제4대 부통령 선거]] ||<-2><|2> [[대한민국]] ||<|3> [include(틀:민주당(1955년))] || '''4,012,654 (46.42%)''' || '''초선''' || || ~~1960~~ || ~~[[3.15 부정선거|제5대 부통령 선거]]~~ || ~~1,843,758 (17.51%)~~ || ~~낙선 (2위)~~ || [* 재선거 결정] || ||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 제13선거구[* 용산갑구] || '''29,098 (69.59%)''' || '''당선 (1위)''' || '''재선'''[* [[의원내각제]] 수반][* 1961.5.16: 자격정지([[5.16 군사정변]])] || || {{{#ffc224 '''역대 선거 벽보·공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장면 5대 대선.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장면 4대 대선.jpg|width=100%]]}}} || || [[제3대 대통령 선거|{{{#000,#fff 제4대 부통령 선거}}}]] [[대한민국 부통령|{{{#000,#fff (대한민국)}}}]] || [[3.15 부정선거|{{{#000,#fff 제5대 부통령 선거}}}]] (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장면 5대 총선.jpg|width=100%]]}}} || || || [[제5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용산 갑) || ||}}}}}}}}} || == 소속 정당 == || '''{{{#ffc224 소속}}}''' || '''{{{#ffc224 기간}}}''' || '''{{{#ffc224 비고}}}''' || || [include(틀:무소속)] || 1948 - 1951 || 정계 입문 || || [include(틀:자유당)] || 1951 - 1954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54 - 1955 || 탈당 || || [include(틀:민주당(1955년))] || 1955 - 1961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61 - 1963 || [[5.16 군사정변]]으로 인해 해산 || || [include(틀:민주당(1963년))] || 1963 - 1966 || 사망 || == 둘러보기 == [include(틀:장면)] [include(틀:장면 내각)] [include(틀:남조선과도입법의원 의원/관선)] [include(틀:제헌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5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민주당계 진영 관련 문서)] [[분류:장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