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 인민해방군 역대 해군사령원)] ||<-2> {{{#ffff00 {{{+2 '''장딩파'''}}}[br]张定发[br]Zhang Dingfa }}}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Zhang_Dingfa.jpg]] || || {{{#ffffff '''성명''' }}} ||장딩파(张定发, 장정발) || ||<|2> {{{#ffffff '''탄생''' }}} ||[[1943년]] [[12월 8일]] || ||[[파일:대만 국기.svg|width=30]][[중화민국]] [[상하이시]] 푸둥신구 || ||<|2> {{{#ffffff '''사망''' }}} ||[[2006년]] [[12월 14일]](향년 63세)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중국]] [[베이징시]] || || {{{#ffffff '''국적'''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중국]] || || {{{#ffffff '''사인''' }}} ||[[병사]]([[폐암]]) || || {{{#ffffff '''정당''' }}} ||[[중국공산당]] || || {{{#ffffff '''학력''' }}} ||상하이양시중학교(1960년졸업)[br]중국인민해방군 해군잠수함학원 || || {{{#ffffff '''직업''' }}} ||[[군인]] || || {{{#ffffff '''복무지''' }}}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width=30]][[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 || {{{#ffffff '''복무기간''' }}} ||[[1964년]] ~ [[2018년]] 12월 14일 || || {{{#ffffff '''계급''' }}} ||해군소장(1991년진급)[br]해군중장(1998년진급)[br]해군상장(2004년진급, 최종) || ||<|6> {{{#ffffff '''경력''' }}} ||<#BDBDBD>[[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사령원 || ||2003년 6월 ~ 2006년 8월 || ||<#BDBDBD>중국 인민해방군 군사과학원 원장 || ||2002년 11월 ~ 2003년 6월 || ||<#BDBDBD>중국 인민해방군 [[북해함대]] 사령원 || ||1996년 11월 ~ 2000년 12월 || >「中國共產黨的優秀黨員,久經考驗的忠誠的共產主義戰士,中國人民解放軍的優秀軍事指揮員、海軍現代化建設的優秀領導者」 -신화통신 [목차] == 개요 == [[중국]]의 [[군인]], [[제독]]. 한국의 [[해군참모총장]]격인 7대 [[해군사령원]]을 지냈다. == 생애 == 1943년 12월 8일 [[상하이]]에서 태어났다. 1960년 7월에 양사중학을 졸업한 뒤에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에 입대하였다. 1964년에는 [[중국 공산당]]에 입당을 허가 받았다. 커리어는 주로 [[잠수함]]으로 쌓은 탓에 중국 해군 내에서는 '잠정(잠수함)파'라고 불렸다. 특히 핵잠정([[원자력 잠수함]]의 중국식 표현)을 중시했다. 1985년에 [[북해함대]]의 [[참모장]]조리[* 조리(助理)는 중국어로 [[보좌관]]을 뜻한다.]에 올랐고 칭따오[[기지사령부]] 참모장을 지냈다. 1988년에 계급이 부활하자 해군 대교로 계급을 받았다. 1991년에는 해군 소장[* 중국군에는 준장이 없어 소장이 첫 [[장성급 장교]]이자 [[제독]]이다. 그러나 상급대령에 속하는 대교를 [[준장]]의 카운터파트로 대해주는 편이고 소장이 해외에 가면 별은 원스타 달고 있지만 투스타에 상당하게 대우해준다.]으로 진급했고 1993년에 북해함대 참모장, 1995년에 같은 함대의 부사령원으로 영전했다. 1996년에는 [[제남군구]] 부사령원 겸 북해함대 사령원을 맡았다. 1998년에는 해군 중장으로 올라갔다. 이래저래 [[커리어]]를 쌓은 곳이 죄다 북해함대 쪽이다.[* 북해함대는 한국 입장에서는 [[제2함대(대한민국 해군)|제2함대]]와 [[서해]]를 공유하는 함대이다.] 2003년에 인민해방군 해군의 해군사령원에 올랐다. 엄밀히는 해군 내부의 최정점이고 동급인 정치위원도 있고 총참모부나 다른 주요 해방군 4대 부서에 다른 해군상장도 있긴 하지만 해군에서 작전권을 지닌 사령관으로서는 최선임이다. 중장으로 해당 보직을 수행하다가 2004년에 해군상장으로 진급했고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의 위원으로도 들어가게 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Tomb_of_Zhang_Dingfa.jpg]] 바바오산 혁명묘지의 장딩파의 묘지 2006년 12월 14일 [[폐암]]으로 병사했다. 후임자는 [[우성리]]이다. [[분류:인민해방군 해군사령원]][[분류:1943년 출생]][[분류:2006년 사망]][[분류:상하이시 출신 인물]][[분류:중국공산당 15기 중앙위원회 후보위원]][[분류:중국공산당 16기 중앙위원회 후보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