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조선]] [[분류:한국의 옛 수도]] [include(틀:역대 한국의 수도)] || 명칭 ||장당경(藏唐京) || || 이칭,별칭 ||당장경(唐藏京),장장평(庄庄坪) || || 시대 ||고조선 || || 유형 ||도읍지|| || 위치 ||[[황해도]] [[신천군]](信川郡)(?) [br] [[중국]] [[선양시]](?) || [목차] [clearfix] == 개요 == 장당경(藏唐京)은 [[고조선]]의 도읍지로 알려진 곳이다. '당장경'(唐藏京)이라고도 한다. == 역사 == 《[[삼국유사]]》 <기이>(紀異) -고조선조-에서는 《[[단군고기|고기]]》(古記)를 인용해 >[[단군]]이 요임금 즉위 50년이 된 해인 경인년에 [[평양성]]을 도읍으로 정하고 조선이라 일컬었다. 그후 도읍을 백악산 [[아사달]]로 옮겨서 1,500년을 다스리다가, [[무왕(주)|주무왕]](周武王)이 즉위하고 [[기자(중국)|기자]](箕子)를 조선후에 봉하자 도읍을 다시 이곳으로 옮겼다. 고 했다.[* [[기자조선]]이 실재했다고 가정할 경우, 기존에는 기자가 오면서 [[단군조선]]이 끝나는 것으로 이해됐지만, 이 기사를 보면 기자가 온 후에도 단군이 따로 도읍을 옮겨간 것이 되므로 기자와 단군이 양립했을 수도 있다.] 《삼국유사》에는 '장당경'이라고 했으나 《[[고려사]]》, 《세종실록》,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문헌에는 '당장경'으로 기록되어 있다. 《삼국유사》의 기록대로라면 고조선의 도읍지는 평양성→아사달→장당경 순으로 옮겨졌으므로 장당경은 세 번째 도읍지가 된다. 그 위치에 대해 《[[세종실록지리지]]》나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문헌에서는 《고려사》의 '장장평'이 단군이 도읍했던 '당장경'의 잘못 전해진 지명이라 하여 문화현[* 현 [[황해도]] [[신천군]]. 구 문화현에 속했던 산천면 대덕리에 장당경의 후보지로 꼽히는 '장재이벌터'라는 유적이 있다.]의 동쪽에 있다고 했으며, 중국의 대릉하 유역이나 유주[* [[허베이성]] 북부 및 [[랴오닝성]] 서부 일대를 가리키던 고대 중국의 지명] 일대라고 하는 견해도 있다. 고고학계의 통설을 보면 고조선의 초기 발원지는 요서의 차오양시 일대고(십이대영자 문화), 이곳에서 발원한 집단이 점차적으로 [[요동 반도]] 일대로 세력을 확대하며 영역을 넓히고, 그 중 정주민적 성격이 강한 집단은 중심지를 선양 일대로 옮기고(정가와자 문화) 발원지인 요서는 유목민적 성격이 강한 집단(남동구 유형)이 차지했지만 요동과 요서는 서로 관계를 지속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기원전 3세기경 연나라의 침공으로 갑자기 이 문화들은 평양 일대로 옮겨가는데, 이것은 사서에 기록된 [[고조선-연 전쟁]]에 대한 언급과 매우 일치한다. 고조선의 원래 수도였을 선양 일대는 연나라의 요동군 후성현(候城縣)으로 지정된다. 후가 일반적인 군주의 칭호였으니 후성현이라는 이름만으로도 선양 일대가 고조선의 수도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삼국유사에 기록된 고조선의 도읍 이름 중 어떤 것이 원래 후성현의 이름일지는 짐작할만한 근거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