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샌드박스 네트워크/트위치 파트너 스트리머)]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dee, #1b75bb)" '''{{{+1 딩셉션}}}[br]Dingception'''}}}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ingception.jpg|width=100%]]}}}|| ||<-2><#fff,#191919> '''{{{#0e90d4 장광면 (Jang Kwang-Myun)}}}''' || ||<|2> '''출생''' ||[[1989년]] [[9월 23일]] ([age(1989-09-23)]세) || ||[[경기도]] [[의정부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거주지''' ||[[경기도]] [[의정부시]][* 2019년 3월까지 송도에서 거주하다 이사했다.] || || '''ID''' ||'''Dingception'''[* PUBG 프로 시절. 현재는 Apex 레전드와 오토체스에서 사용하고 있다.][br]'''DinghisKhan'''[* 그를 상징하는 또 다른 아이디로, PUBG 스팀 서버와 오토체스에서 사용하고 있다.][br]DoligoDoligo[* PUBG 스팀 서버 부캐지만 현재는 잘 쓰지 않는다.][br]DinghiSkrr_Skrr[* PUBG 카카오 서버] || || '''소속사''' ||[[샌드박스 네트워크]]|| || '''소속 팀''' ||[[포엔트로]] (2017.05.26 ~ 2017.11.22)[br][[Cloud9 KR|Cloud 9]] (2017.11.28 ~2018.12.03) || || '''별명''' ||딩맘, 딩기스칸, 카를로스 돌리고 || || '''링크''' ||[[https://twitch.tv/dingception|[[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https://youtube.com/channel/UCl1XENGI2x5vRCnAESPPmc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4entr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dingception, 크기=20)]|| [목차] [clearfix] == 개요 == >'''[[솔의 눈]]으로 봐라!''' [[대한민국]]의 前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 現 [[발로란트]] [[해설자]], [[인터넷 방송인]]. == 상세 == 딩셉션이라는 닉네임은 [[하이머딩거]]와 [[인셉션]]을 합친 것이라고 한다. 이외에도 딩기스칸, 딩터스텔라, 딩맘[* 스트리머, 프로 선수들 중에서 나이도 많은 편이고 스쿼드를 돌릴 때 항상 팀원들을 챙기는 모습을 보여준다. [[실프(인터넷 방송인)|실프]]는 아예 엄마라고 부른다.], 돌리고돌리고[* [[배틀그라운드]]용 부계정] --딩텔[* 자세한 상황은 후술. 이후 라이젠을 까며 인텔을 적극 찬양하자 딩셉션과 인텔을 조합해 불리게 되었다.]-- 등의 닉네임을 쓰고 있다. [[배틀로얄 게임]] 계열에서 발군의 실력을 보여주는 방송인이다. 기본적으로 '''승리'''에 중시한 플레이를 보여주지만 시야와 샷발, 위치 선정, 상황 판단 모두가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승률은 타 플레이어와는 비교가 안되는 수준. 방송 스타일은 조용한 편이며, 캠으로 보여지는 얼굴이 상당한 [[동안]]이라 나이를 질문하는 시청자들이 많다. H1Z1 시절에는 각 플랫폼마다 50~200여명의 시청자가 방송을 봤으며, 대회가 열리면 600명에 가까운 시청자가 보는, 하꼬방에서 조금 잘나가는 수준의 방송이었다. 하지만 [[PUBG: BATTLEGROUNDS|PLAYERUNKNOWN'S BATTLEGROUNDS]]가 출시되고 게임이 크게 인기를 끌자 자연스레 딩셉션의 방에도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이는 [[https://kakao-tv.hwangti.kr/pd/2402286|딩셉션의 카카오tv 분석자료]]를 봐도 알 수 있다. 배틀그라운드를 막 잡았던 3월 말까지만 해도 최고 시청자가 200명대 선이었으나 4월 초부터 500~700명대 최고 시청자를 찍더니 4월 말에는 평균 1000명대 최고 시청자를 찍고 트위치로 넘어간다. [[https://archive.is/IaKwt|관련 디시글]].] 그리고 AS 솔로 랭킹 1, 2위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aumpotlive&no=82532|동시석권]], [[맥선생]]과의 듀오, [[얍얍]]과의 합방 등을 기점으로 시청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 수천명대의 동시 시청자를 기록하는 등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2017년 8월 기준 2000명 이상은 꾸준히 달성하고 있다. 9월 초에는 오후 1시 방송에도 7000명이 보는 대기업이 되었고 저녁 방송시 1만명 이상이 보는, 명실상부 KR트위치의 대표적인 배틀그라운드 방송인이 되었다. 프로 데뷔 이후에는 스크림 참가나 방송을 하지 않은 채로 연습하는 시간이 길어지다보니 자연스레 방송에 집중하기 힘들어졌고, 다른 배틀그라운드 스트리머들도 많이 알려지면서 전성기급의 시청자 수를 보여주진 않고 있지만, 여전히 평일 새벽 노캠 방송이어도 3천명 내외의 시청자가 볼 정도로 여전히 시청자수로는 탑클래스 수준을 유지했고, 2019년 말 들어 게임을 다변화하면서 400~1000명대의 시청자 수를 유지하고 있다. 주로 평일 저녁에 방송을 하며 가끔 낮부터 방송 하기도 한다. 방송 시간이 정해지지 않아서 방송을 시작하면 뒤늦게 온 시청자들이 알람이 늦게 온다며 사용하는 플랫폼에 불평을 쏟기도 한다. 한 번 방송을 시작하면 보통 6시간 이상 쉬지 않고 방송을 한다.[* 본인 말로는 아침에 키면 저녁까지, 오후에 키면 새벽까지, 저녁에 키면 다음날 아침까지라고...] 배가 고파지거나 맨탈이 깨졌을 때 방송을 잠시 끄고 식사 후 다시 시작하기도 한다. [[얍얍]], [[치킨쿤]], [[맥선생]], [[윤루트]], [[고라니]], [[김치워리어]], [[고추참치]], 4DOLLAR 등등의 타 스트리머와 친분이 있다. 특히 [[얍얍]]은 2015년 10월, 딩셉션이 딩기스칸이라는 닉네임으로 그를 직접 저격한 것이 얍얍 팬덤 내에서도 유명하다.[* 합의된 일이었다 빌런이라는 컨셉(?)이었다는 내용이 전에는 적혀져 있었는데 그냥 저격러 맞았다. 당시 [[얍얍]] 방송이 다양한 컨셉의 저격빌런들[* 충청맨, 시원스쿨맨, 술딸맨, 딩기스칸 등등]이 얍얍을 저격하고 [[치킨쿤]]이나 [[호무새]] 등이 보디가드를 하거나 통수를 치면서 컨텐츠를 만들었던 건 사실이지만 저격이 계속 들어오는 어쩔 수 없는 상태에서 분위기가 그렇게 잡힌거지 얍얍은 이에 대해 불쾌하다 싫다는 의사를 계속 내비친 바 있으며 이후에도 저격에 대해서는 좋은 반응을 보이지 않는 편이다. 때문에 딩셉션 입장에서도 그다지 떳떳하지 못한 흑역사라고 볼 수 있다. 저격러에게 지나치게 격한 반응을 보이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도 이런 전적이 있어서일지도. 물론 딩셉션도 본인을 겨냥한 저격은 무척 싫어한다.] 이외에도 H1Z1 플레이 당시 몇 안되는 랭커 스트리머와는 모두 친했다고 한다. 트위치 계약 이후에는 [[얍얍]], [[치킨쿤]]은 물론이고 [[김도|동]][[똘똘똘이|호]][[자동(인터넷 방송인)|회]](특히 [[자동]]), [[홍차(인터넷 방송인)|홍차]], [[호무새]], [[구교민|에버모어]], [[DDSG]], 스타일, [[박규태|유레카]], [[섹시피그]], [[이초홍]], [[소니쇼]], [[실프]], [[따효니]] 등 수많은 스트리머와도 합방을 진행했다. 본인의 출중한 실력과 더불어 대세 게임의 흐름을 탄 덕분에 두어달 정도만에 트위치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트리머 중 하나가 되었으며, 국내 배틀그라운드 스트리머로서는 최상위권의 시청자층을 보유 중이다. 프로 은퇴 이후 다시 스트리머로 돌아와 FPS게임 위주의 종합게임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배그가 힘이 빠지고, 이후 주력으로 삼는 게임들이 워존, 에이펙스, 발로란트 등 시청자 수 면에서 마이너한 게임들이라 한창 전성기 때에 비해 시청자가 많이 줄었으나 모바일 배그와 발로란트의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적당한 수준의 시청자 수를 유지하고 있다. == 프로 경력 == === [[포엔트로]] === [include(틀:포엔트로의 멤버)] 2017년 5월 각종 대회에 대비해 MDS[* 윤루트, 맥크리선생님, 오버워치 전 프로 에버모어.]라는 팀을 결성해서 팀원들과 스쿼드를 연습하기 시작했다. 8월 23일~ 26일. [[2017 Gamescom PUBG Invitational]]에 초청 선수로 참여하게 되었으며 팀원인 [[윤루트]], [[주안코리아]], [[구교민|에버모어]]와 함께 [[독일]] [[쾰른]]으로 출국했다. 팀 명은 [[포엔트로]]. 8월 23일(Day+1) 솔로 경기 1세트 Top10, 2세트 Top5 그리고 3세트에선 뒤가 잡혀 광탈해버렸다. ~~판다티비를 잡으려다 다른 판다티비에게..~~ 안타깝게도 [[딩셉션]]은 종합 13위라는 성적과 킬포인트 3위(8킬)로 솔로리그를 마쳤다. 팀원인 [[윤루트]]는 3세트 우승 종합 4위를 하였고 [[에버모어]]는 2세트 우승과 종합우승까지 했다. 8월 24일(Day+2) 3인칭 듀오 경기에 [[윤루트]]와 듀오로 참가했다. 1세트 Top15, 2세트 Top3, 3세트 Top 28의 성적으로 종합 7위와 [[딩셉션]] 킬포인트 2위(11킬), [[윤루트]] 킬포인트 11위(6킬)로 3인칭 듀오리그를 마쳤다. 8월 25일(Day+3) 1인칭 듀오 경기에 [[주안코리아]]와 듀오로 참가했다. 1세트 Top40, 2세트 Top9, 3세트 Top 37의 성적으로 1인칭 듀오리그를 마쳤다. 8월 26일(Day+4) 스쿼드 경기에 팀 포엔트로로 참가했다. 1세트 Top10, 2세트 Top11, 3세트 Top10의 성적으로 스쿼드리그를 마쳤다. 9월부터 [[구교민|에버모어]]가 아닌 [[실프(인터넷 방송인)|실프]]와 다른 포엔트로 멤버들과 스쿼드를 자주 하는 모습이 목격되었으며, 결국 10월 6일에 [[구교민|에버모어]]는 기존에 계약되어있던 [[콩두 레드도트]]로 떠나고 그 대신 아나키 팀에 미리 양해를 구하고 [[실프(인터넷 방송인)|실프]]를 영입했다는 오피셜을 발표했다. 귀국 이후에는 송도로 이사를 가서 본격적인 방송 환경을 갖추기 시작했다. 포엔트로가 [[2017 PUBG Asia Invitational]] 예선에서 탈락하면서 온갖 비판이 쏟아졌다. 멘탈이 강한 듯 보이는 딩셉션이지만 은근히 커뮤니티 여론을 신경 쓰는 듯 보인다. 실제 여러 커뮤니티에서 지스타 이후로 딩셉션의 에임이 슬럼프에 빠졌다는 지적이 꽤 있다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본인들의 시선에 불과하고 포지션 상 그럴 수밖에 없어 보인다. 포엔트로에서 다른 멤버들의 에임이 워낙 뛰어나 백업에 치중하다 보니 에임을 못 보여준다. 11월 22일 방송에서 오피셜로 포엔트로 해체를 발표했다. 이유는 각자 개인의 사정과 방향성 때문이라고 밝혔다. === [[Cloud9 KR]] === [[파일:장광면p.jpg|width=90%]] [include(틀:Cloud9 KR의 멤버)] [[포엔트로]] 해체 이후 앞으로 계획에 대해 며칠간 모호한 태도를 보이다가 2017년 11월 28일 [[미라클TV]], [[박규태|유레카]], [[석티비]]와 함께 새로 팀을 결성했다. 추후 모든 대회의 예선전에 참여 의사를 밝혔으며 꾸준히 스쿼드로 합을 맞추는 모습을 보였다.--팀을 결성하고 보니 인터넷 방송 3사가 다 모인 팀[* 미라클과 딩셉션은 트위치, 유레카는 카카오tv, 트위치 동시송출, 석TV는 아프리카tv에서 방송을 한다. 이 때문에 게임이 끝날 때마다 팀원들이 모두 같이 '별풍 도네 쿠키 구독즐찾 팔로우 추천 감사합니다'라는 장문의 리액션을 했었다. ]-- 2017년 12월 13일부로 팀 전원 [[트위치]]로 개인방송 플랫폼을 옮겼다. 시청자들에게 새로 결성한 팀의 이름을 추천을 받기로 했는데 평균 연령이 27살이 넘는다는 이유[* 타 프로팀에 비해 나이가 많다.]로 온갖 나이 관련 팀명 추천이 쏟아지고 있다. --서른 즈음에 / 실버타운 / 탑골그라운드 / 방탄노인단-- 최종적으로 정해진 것은 GG+4명의 나이 합 109를 따 G9가 되었다. [[APL]] [[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스플릿 1|Split 1]]에 G9로 참가하여 본선에 올랐다. Split 1 최종 성적은 스쿼드 종합 5위. 솔로 부문에서는 Day 3까지 10위권을 유지했지만, Day 4에서 70등을 기록하며 순식간에 2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Split 1 Day 4이후 경기 결과를 서술한 기사에서 그의 본명이 공식적으로 공개되었다. 2월 3일에 열리게 될 APL 결승에 15등으로 안착했다. 여전히 스크림에서 들쑥날쑥한 성적을 보여주었고 대외적으로도 기복이 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팀의 스폰에 대해선 G9라는 명칭 때문에 스폰이 비슷한 약자를 가진 C9이다. 배틀그라운드 프로 팀 창단이 유력한 SKT이다 / 딩셉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텔이다[* CF를 찍은 적이 있어서 이런 추측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등의 추측이 많았으나 2017년 12월 29일 공식적으로 [[Cloud9]] 측에서 [[http://cloud9.gg/news/intro-pubg-kr|발표하면서 C9에 입단한 것이 확정되었다.]] 유레카의 방송에서 공개된 바로는 G9라는 팀네임은 딩셉션이 명명했으며 어그로를 끌려고 이렇게 지었다고 한다. 2018년 초까지는 여러 시행착오를 겪으며 대회에서도 큰 활약을 보이지 못했지만 [[PUBG \#1 Club Match]]에서 2일차에 좋은 성적을 보이는 것을 시작으로 [[AfreecaTV PUBG League Season 1]] 48강에서 A조 종합 1위로 시작하는 등 준수한 성적을 내고 있다. 특히 딩셉션의 오더와 차량 운용이 빛나는 [[https://youtu.be/whSKceUaz0g|2일차 3라운드 경기]]는 이 대회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 이어지는 36강에서는 종합 4위로 마감, 어드밴티지 포인트 60점을 추가 확보하며 마침내 시즌 1 파이널 진출을 확정지었다. 시즌1 파이널에서는 운영 위주의 전략으로 초반 라운드 상위권에 꾸준히 매김하였으나, 3라운드 이후 혼자서 무리한 정찰 끝에 잘리는 등의 아쉬운 판단으로 순위가 점차 하락하기 시작했다. 파이널 라운드에서는 1, 2라운드에서 초반에 팀원을 잃고도 10위권 이내로 순위방어에 성공하며 팬들의 기대감을 끌어올리기도 했지만, 나머지 라운드에서 멤버들이 한 명씩 진입하다가 차례로 잘리는 플레이를 보여주며 지속적인 하위권을 기록했다. 결국 APL 시즌 1 파이널에서 종합 14위에 머무르며 아쉬운 마무리를 하게 되었다. APL 시즌 1과 동시에 치러진 OGN 주최의 [[PUBG SURVIVAL SERIES 2018 Season 1]] 48강에서는 B조로 참가하였다. Day 1에서는 광탈을 거듭하며 압도적인 점수로 24팀 중 꼴등을 기록했으나, Day 2에서 종합 1위의 성적을 거두며 48강 B조 최종 순위 9위로 마감해 각 조 상위 12팀이 오르는 승자 결승 진출전에 올랐다. 그러나 이 승자 결승 진출전에서 13위로 마감하면서 10위까지 주어지는 결승 직행권을 확보하지 못했다. 이후 10위까지 살아남는 최종 진출전마저 15위에 머무르며 결국 PSS의 파이널 무대에 오르지 못하게 되었다. APL 시즌 1과 PSS 시즌 1이 종료된 직후 개최된 스포티비 주관의 PWM에서는 초반에 고전했으나, 마지막에 폼을 끌어올리며 종합 13위로 파이널에 진출하는데 성공하였다. 2018년 12월 3일 새벽 방송에서 C9과 계약이 종료되었음을 [[https://www.twitch.tv/dingception/clip/FunTentativePoxDancingBaby|발표]]했다. Cloud9 KR 자체가 해체되었다고 한다. [[Cloud9 KR#s-4.10|C9 KR의 해체 문단]]에도 서술돼있듯, 급여와 장비 등을 비롯한 운영비는 C9에서 지원해줬지만 그 이외의 비용은 딩셉션이 거의 도맡고 있었고, 이로 인한 경제적 문제가 다소 있었다고 한다. 그러던 와중 C9와 계약이 종료되며 결국 팀을 해체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후 프로는 더 이상 생각이 없으며 스트리머로써 활동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 주요 컨텐츠 == === [[PUBG: BATTLEGROUNDS|PLAYERUNKNOWN'S BATTLEGROUNDS]] === 오픈 초기부터 2017년 3월 23일부터 5월 31일까지 193번의 솔로 1위를 달성했으며, 승률은 33%, TOP 10 진입률은 73%에 달했다.[[https://pubg.me/dinghiskhan|#]] [[https://pubg.me/doligodoligo|##]] 가끔 아시아 서버가 아닌 다른 서버로도 큐를 돌리며, 4인 전용 큐를 혼자서 돌린 뒤 랜덤으로 잡힌 스쿼드를 통째로 캐리하는 모습도 보여준다. 차량을 우선 확보하고 비행기 루트와 반대편인 곳에서 안전한 파밍을 하고 주로 건물이나 무적존 위주로 자기장에 맞춰 이동하며 TOP 10까지 차량을 활용하는 그의 플레이는 초창기 배그 솔로 플레이의 1등 공식이라고 할 정도로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현재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는 물론이고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해설 또한 딩셉션의 방송을 보며 PUBG를 배웠다고 할 정도로 초창기 얼리 엑세스 시절에는 그야말로 독보적인 존재였다. 순수 샷빨에 있어서는 최상위권 프로들에 비해 뒤떨어지는 편이기도 하고, 쏘는대로 다 맞히는 것도 아니며, 자잘한 실수도 저지르지만 그 모든 것을 커버하는 '''판단력과 시야'''가 이 사람의 랭커 유지의 원천이다. 소속팀 C9의 롤러코스터급 성적과 일부 극성 팬들의 악명 때문에 그의 실력이 평가절하되기도 하지만 차량 활용 능력이나 순간적인 상황 판단력과 같은 운영력, 특히 차량 운용을 통해 피격을 최소화하며 자리를 잡는 등의 전술적 측면과 게임 센스에 있어서는 독보적인 위치에 서 있다. 특별히 선호하는 주무기는 없고 나오는 것을 쓰는 편인데, 매번 총이 바뀌는 편이지만 일반적인 선호도는 M16